본 연구에서는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부모와의 갈등이 주관적 웰빙과 어떻게 관계하고 있는지를 탐색하고, 그 관계를 원한 동기가 매개하는지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남녀 대학생 273명이었으며, 연령 분포는 만 17세에서 41세 사이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심리검사는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부모-자녀 갈등경험검사, TRIM 척도, Diener 등의 삶의 만족 척도, 정서빈도검사, Lyubomirsky와 Lepper의 주관적 행복 척도이다. 상관분석 결과,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부모와의 갈등 모두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과 부적으로 관계하고 있었는데, 대인관계 스트레스보다 부모와의 갈등이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에 대한 설명력이 강했다. 대인관계 스트레스와 부모와의 갈등은 원한 동기와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부모와의 갈등보다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원한 동기와 더 많은 변량을 공유하고 있었다. 원한 동기는 대학생의 주관적 웰빙과도 부적 상관이 있었고, 대인관계 스트레스나 부모와의 갈등과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에서 매개변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원한 동기는 그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고 있었다. 이는 대인관계에서 스트레스나 부모와의 사이에서 갈등을 경험한 대학생이 마음속에 원한을 품을 경우 주관적 웰빙 수준이 낮아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결과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와 怨의 개념을 바탕으로 해석하고 용서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d how interpersonal stresses and conflicts with parents are related to subjective well-being of college students, and examined mediating effects of resentment motivation between these relationships. The participants were 273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whose ages ranged from 17 to 41. The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research included the following: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Negative Parent-Child Conflict Scale, TRIM (Transgression Related Interpersonal Motivations) Scal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Emotion Frequency Test, and Subjective Happiness Scale. The correlational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interpersonal stresses and conflicts with par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and conflicts with parents accounted more variance of subjective well-being than interpersonal stresses did. And interpersonal stresses and conflicts with par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resentment motivation, and interpersonal stresses shared more variance with resentment motivation than conflicts with parents did. In addition, resentment motivation was also negatively correlated with subjective well-being. Resentment motivation was a mediating variable of interpersonal stresses/conflicts with parents and subjective well-being. It partially mediated these relationships. This result suggests that college students bitterly resent being maltreated by parents or having stresses in interpersonal relation may have lower subjective well-being. It was interpreted with previous studies and the concept of resentment, and discussed based on the perspective of forgiveness.
김광수 (1999). 용서교육 프로그램 개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 325-345.
김정호, 은희진 (2010). 성경의 웰빙인지와 웰빙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673-685.
김희영, 김정희, 이연숙 (2004). 용서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용서 정도와 분노, 불안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분산형 집단상담과 집중형 집단상담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 347-366.
두산동아편집부 (2008). 동아 새국어사전. 서울: 두산동아.
박경 (2003). 부정적인 생활 스트레스와 대인관계 문제가 여성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 581-593.
박경 (2010). 지각된 스트레스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상위인지와 마음챙김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617-634.
박영신, 김의철 (2000). 부모 - 자녀관계 변화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교육학연구, 38, 109-147.
박영신, 김의철 (2004). 청소년의 인간관계와 일탈행동: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교사학생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87-115.
박종효 (2003). 용서와 건강의 관련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 301-321.
박종효 (2006). 용서 심리이론과 교육프로그램에 관한개관연구. 인간발달연구, 13, 117-134.
박준호 (2009). 스트레스 사건에 관한 반복생각과 자기노출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 125-145.
서경현, 이경순 (2010). 대학생의 생활 스트레스와 사회비교 및 주관적 웰빙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327-343.
손운산 (2008). 용서와 치료.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신아영, 김정호, 김미리혜 (2010). 정서 마음챙김이 여자대학생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 정서 조절과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635-652.
오영희 (1995). 용서를 통한 한의 치유: 심리학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과 심리치료, 7, 70-94.
오영희 (2004). 대학생의 부모-자녀 갈등경험, 용서, 정신건강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8, 59-77.
오영희 (2006). 한국인의 상처와 용서에 대한 조사. 교육심리연구, 20, 467-486.
이경순 (2002). 용서: 현상학적 접근. 정신간호학회지, 11, 388-397.
이경순 (2008). 용서 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 237-252.
이은혜, 이초롱, 현명호 (2009). 데이트 폭력 관계를 유지시키는 요인으로서 용서: 투자모델에 더하여.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 385-403.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 316-335.
정성진 (2011). 용서과정 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최상진 (2000).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Arnold, J. C. (1999). The lost art of forgiving: Stories of healing from the cancer of bitterness. Farmington: Plough Publishing House.
Brown, G. W., & Harris, T. O. (1989). Life events and illness. London: Guilford.
Buscaglia, L. (1984). Loving Each Other: The Challenge of Human Relationships. New York, NY: Fawcett.
Coyne, J. C. (1999). Thinking interactionally about depression: A Radical restatement. In T. Joiner & J. C. Coyne (Eds.) The interactional nature of depression: Advances in interpersonal approaches (pp. 365–39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Diener, E., Suh, E.,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Dohrenwend, B. S., & Dohrenwend, B. P. (1974). Stressful life events: Their nature and effects. New York: Wiley.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Enright, R. D. (2004). 용서치유 [Forgiveness is a choice]. (채규만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1에 출판).
Enright, R. D., & Fitzgibbons, R. P. (2002). Helping Clients Forgiv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Enright, R. D., & the Human Development Study Group. (1991). The moral development of forgiveness. In W. Kurtines & J. Gerwirtz (Eds.), Handbook of moral behavior and development (Vol. 1; pp. 123-152).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Horowitz, L. M., Rosenberg, S .E., Baer, B. A., Ureño, G., Villaseñor, V. S. (1988). Inventory of interpersonal problems: psychometric properties and clinical applicat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56, 885-892.
Joiner, T. E., Jr., & Metalsky, G. I. (1995). A prospective test of an integrative interpersonal theory of depression: A naturalistic study of college roommates. Journal of Personality & Social Psychology, 69, 778-788.29.
Kessler, R. C., & Magee, W. J. (1993). Childhood adversities and adult depression: basic patterns of association in a U.S. national survey. Psychological Medicine, 23, 679-690.
Laursen, B., Cy, K. C., & Collins, W. A. (1998). Reconsidering changes in parent-child conflict across adolescence: A meta-analysis. Child Development, 69(3), 817-832.
Lynch, J. (1979). The Broken Heart: The Medical Consequences of Loneliness. New York, NY: Basic Book.
Lyubomirsky, S., & Lepper, H. S. (1999). A measure of subjective happiness: Preliminary reliability and construct validation. Social Indicators Research, 46, 137-155.
McCullough, M. E. (2000). Forgiveness as human strength: Theory, measurement, and links to well-being.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9, 43-55.
McCullough, M. E., Rachal, K. C., Sandage, S. J., Worthington, E. L., Jr., Brown, S. W., & Hight, T. L. (1998). Interpersonal forgiving in close relationships. II. Theoretical elabor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586-1603.
McCullough, M. E., Rachal, K. C., Sandage, S. J., Worthington, Jr., E. L., Brown, S. W., & Hight, T. L. (1998). Interpersonal forgiving in close relationships: Theoretical elabor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586-1603.
Ng, W., Diener, E., Aurora, R., Harter, J. (2009). Affluence, feelings of stress, and well-being. Social Indicators Research, 94, 257-271.
Palamattathil, G. V. (2002). The impact of integrated forgiveness intervention in enhancing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recently divorced adults.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B., 62, 4799.
Powell, B. (1987). Good Relationships Are Good Medicine. Emmaus, PA: Rodale Press.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 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 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 Review Psychology, 52, 141-166.
Thompson, L. Y., & Snyder, C. R. (2003). Measuring forgiveness. In S. J. Lopez, & C. R. Snyder, (Eds.), Positive psychological assessment: A handbook of models and measures (pp.301-31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Worthington, E. L., Jr. (2006). 용서와 화해 [Forgiving and reconciling: Bridges to wholeness and hope]. (윤종석 역). 서울: IVP. (원전은 2003 에 출판)
Zubin J., & Spring B. (1977). Vulnerability: A new view of schizophrenia.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6, 103-1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