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용서과정 척도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of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1, pp.123-142
https://doi.org/10.17315/kjhp.2012.17.1.007
정성진 (삼육대학교)
장성숙 (가톨릭대학교)
서경현 (삼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인관계에서 상처 받은 사람이 경험하는 용서과정에 근거하여 용서과정 척도를 개발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이경순의 용서과정 모형을 근거로 총 60문항을 구성하였다. 예비연구에서 내용타당도 점검과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6요인이 추출되었다. 6개 요인은 증오기, 고투기, 안정기, 재정의기, 용서기, 성숙기로 명명하고 각 요인 당 5문항씩 총 30개의 최종문항을 확정하였다. 개발된 척도는 전체문항과 하위요인들 모두 양호한 신뢰도를 보였다. 개발된 용서과정 척도의 타당도 분석은 네 가지 방법으로 이루어졌다. 용서과정 척도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6요인 구조는 양호한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수렴타당도 분석 결과, 용서과정 척도의 하위요인은 Rye 용서 척도(FS) 및 한국인 용서 척도(KFS)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용서과정 척도의 점수는 용서 수준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준거관련타당도 분석 결과, 용서과정 척도의 하위요인들은 분노, 불안, 우울과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졌다. 이러한 결과들은 용서과정 척도가 신뢰롭고 타당한 심리측정적 속성을 지닌 도구임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를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keywords
용서, 용서과정, 척도개발, 타당화, forgiveness, forgiveness process, development of scales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which is based on the process of forgiveness experienced by people who were hurt i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ere was an attempt to find differences in psychological coping methods in each phase of the Forgiveness Process. For this purpose, three interrelated studies have been performed. Study 1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based on the Process of Forgiveness Model by Lee, Kyoung-Soon. From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ix factors have been derived: ‘Hatred,’ ‘Struggle,’ ‘Stabilization,’ ‘Redefinition,’ ‘Forgiveness’ and ‘Maturing.’ Five items for each of these factors, thirty in total, have been formulated. In Study 2,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a reasonable fit index for 6 factors of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Convergent validity with the Rye Forgiveness Scale (FS) and the Korean Forgiveness Scale (KFS) was verified showing a significant correlation coefficient.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reliably differentiated upper forgiveness level group from lower forgiveness level group. As a result of concurrent criterion-related validity analysis, sub-factors of the Forgiveness Process Scale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o anger, anxiety, and depression.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nd practice are discussed.

keywords
용서, 용서과정, 척도개발, 타당화, forgiveness, forgiveness process, development of scales

참고문헌

1.

권석만 (2006). 젊은이를 위한 인간관계의 심리학. 서울:학지사.

2.

김지영, 권석만 (2009). 용서특질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8(1), 239-261.

3.

박종효 (2003). 용서와 건강의 관련성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8(2), 301-321.

4.

박종효 (2006). Enright 용서심리검사(EFI-K)의 타당화연구. 교육심리연구, 20(1), 265-282.

5.

성태제 (2007). SPSS/AMOS를 이용한 알기 쉬운 통계분석. 서울: 학지사.

6.

손운산 (2008). 용서와 치료. 서울: 이화여자대학교출판부.

7.

`신재은, 현명호 (2010). 종교성향, 종교적 대처와 상황적 용서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699-710.

8.

오영희 (2006). 한국인의 상처와 용서에 대한 조사. 교육심리연구, 20(2), 467-486.

9.

오영희 (2008). 한국인 용서 척도 개발을 위한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45-1063.

10.

이경순 (2008). 용서과정에 대한 질적 연구: 근거이론을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237-252.

11.

이아롱, 구재선 (2009). 용서와 성격 특성의 관계: 누가용서를 하는가?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23, 89-105.

12.

이주일 (1988). 이분척도와 Likert형 7점 척도의 신뢰도,타당도, 반응양식의 비교: 자기검색 척도와 자기의식 척도를 대상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D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59-76

14.

전겸구, 한덕웅, 이장호, Spielberger (1997). 한국판 STAXI 척도 개발: 분노와 혈압. 한국심리학회 지: 건강, 2(1), 60-78.

15.

정성진, 서경현 (2011). 대학생의 특성용서, 상태용서,용서 결정요인의 관계. 청소년학연구, 18(6),147-169.

16.

한덕웅, 이장호, 전겸구 (1996). Spielberger의 상태-특성 불안검사 Y형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14.

17.

홍세희 (2000). 구조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167-177.

18.

Baskin, T. W., & Enright, R. D. (2004). Intervention studies on forgiveness: A meta-analysi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82, 79-90.

19.

Enright, R. D., & Fitzgibbons, R. P. (2006). Helping clients forgive: An empirical guide for resolving anger and restoring hope.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20.

Enright, R. D., & the Human Development Study Group. (1996). Counseling within the forgiveness triad: On forgiving, receiving forgiveness, and self-forgiveness. Counseling and Values, 40, 107-126.

21.

Knutson, J., Enright, R. D., & Garbers, B. (2008). Validating the developmental pathway of forgiveness. Journal of Counseling & Development, 86, 193-199.

22.

McCullough, M. E., Pargament, K. I., & Thoresen, C. E. (2000). The psychology of forgiveness: History, conceptual issues, and overview. In M. E. McCullough, K. I. Pargament, & C. E. Thoresen (Eds.), Forgiveness: Theory, research, and practice (pp. 1-16). New York: Guilford Press.

23.

McCullough, M. E., Rachal, K. C., Sandage, S. J., Worthington, E. L., Jr., Brown, S. W., & Hight, T. L. (1998). Interpersonal forgiving in close relationships. II. Theoretical elaboration and measuremen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586-1603.

24.

Rye, M. S., Loiacono, D. M., Folck, C. D., Olszewski, B. T., Heim, T. A., & Madia, B. P. (2001). Evaluation of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wo forgiveness scales. Current Psychology: Developmental·Learning· Personality·Social, 20, 260-277.

25.

Subkoviak, M. J., Enright, R. D., Wu, C., Gassin, E. A., Freedman, S., Olson, L. M., & Sarinopoulos, I. (1995). Measuring interpersonal forgiveness in late adolescence and middle adulthood. Journal of Adolescence, 18, 641-655.

26.

Trainer, M. F. (1981). Forgiveness: Intrinsic, role-expected, expedient, in the context of divor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Boston University.

27.

Truong, K. T. (1991). Human forgiveness: A phenomenological study about the process of forgiv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ted States International University.

28.

Wade, S. H. (1989).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forgive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Fuller Theological Seminary.

29.

Walker, D. F., & Gorsuch, R. L. (2004). Dimensions underlying sixteen models of forgiveness and reconciliation. Journal of Psychology and Theology, 32, 12-25.

30.

Worthington, E. L. Jr. (2005). More questions about forgiveness: Research agenda for 2005-2015. In E. L. Worthington, Jr. (Ed.), Handbook of forgiveness. (pp. 557-573). New York: Routledge.

31.

Worthington, E. L., Jr. (2006). 용서와 화해 [Forgiving and reconciling: Bridges to wholeness and hope]. (윤종석 역). 서울: IVP. (원전은 2003 에 출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