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가 폭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폭식행동, 정서적 섭식, 정서조절곤란 및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Program on Binge Eating Behavior, Emotional Eating,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Alexithymia of the Binge Eating-Prone University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2, v.17 no.4, pp.841-859
https://doi.org/10.17315/kjhp.2012.17.4.005
전소라 (전북대학교)
손정락 (전북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MBCT) 프로그램이 폭식 경향성을 가진 대학생들의 폭식 행동, 정서적 섭식, 정서조절곤란 및 감정표현불능증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전북지역 남녀 대학생들 중 폭식척도에서 18점 이상에 해당하고, 정서적 섭식, 정서조절곤란, 감정표현불능증 점수가 높은 학생들 20명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사전 검사에서 폭식척도, 정서적 섭식척도,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한국판 정서조절곤란척도를 실시하였고, 최종 선발된 20명을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집단에 10명, 통제 집단에 10명씩 배정하였다.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프로그램은 총 9회기로 실시되었고,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검사가 실시되었으며, 6주 후 추적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집단이 통제집단보다 폭식행동, 정서조절곤란, 감정표현불능증, 정서적 섭식 중 불안으로 인한 섭식 수준이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추적검사까지 유지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keywords
binge eating behavior, emotional eating,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lexithymi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폭식행동, 정서적 섭식, 정서조절곤란, 감정표현불능증,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MBCT) on binge eating behavior, emotional eating,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alexithymia of the binge eating-prone university students. University students who lived in chonbuk province completed Binge eating scale (BES), Emotional Eating Scale (EES),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DERS), and 20-Item Alexithymia Scale. Twenty participants who gained more than 18 point score by binge eating scale and have higher emotional eating,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alexithymia were screened. Twenty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10 in the MBCT group and 10 in the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completed Binge eating scale (BES), Emotional Eating Scale (EES),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Scale (DERS), and 20-Item Alexithymia Scale at pretreatment, end of treatment, and at 6 weeks follow-up periods. MBC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9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has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binge eating,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nd alexithymia after therapy and 6 weeks later follow-up period. Emotional eating was decreased by eating in response to anxiety in the MBCT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binge eating behavior, emotional eating, difficulties in emotional regulation, alexithymia,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폭식행동, 정서적 섭식, 정서조절곤란, 감정표현불능증, 마음챙김 기반 인지치료

참고문헌

1.

강상현, 손정락(2004). 사이코드라마가 대학생의 감정표현불능증, 신체화 증상 및 삶의 질에 미치는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243-263.

2.

김미리혜(2008). 폭식행동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7(3), 605-619.

3.

김연주(2008). 폭식 행동에 대한 게슈탈트 집단치료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4.

김재현, 김한주, 소광, 유용진, 이귀행, 전현태(2000). 감정표현불능증, 신체적 호소, 정서 및 어휘의 관계. 정신신체의학, 8(1), 58-64.

5.

김정호, 조현진(2002). 마음챙김명상을 통한 체중조절프로그램의 실제. 학생생활연구, 18, 89-109.

6.

김준기(1997). 폭식증의 인지행동치료. 대한정신약물학회지, 8(1), 23-40.

7.

김혜은, 박경(2010). 우울, 정서조절, 마음챙김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2),541-557.

8.

메디컬 헤럴드(2011). 거식증·폭식증 환자 10명 중 4명20~30대 여성 4년새 환자 수 30% 증가. 2011,7, 21.

9.

보건복지부(2011).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10.

소원현(2009). 부적 정서가 신경성 폭식자의 과식행동에미치는 영향: 분노, 불안 및 우울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2), 419-432.

11.

식품의약품안정청 (2010). 국내 청소년 비만관련 식습관형태조사. 서울: 식품의약품안정청.

12.

신아영(2008). 정서 마음챙김이 정서인식의 명확성과 인지적 정서조절, 신체증상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여대생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13.

신현균, 원호택(1997).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6(2), 219-231.

14.

안윤숙(2007). 정서 경험의 개인차가 정신 건강에 미치는 영향: 중독행동과 신체화 증상, 감정표현불능증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오자영(2006). 섭식행동에 있어서 정서 수용 및 정서 억제의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 학위 청구논문.

16.

우주미(2011).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여고생의폭식 행동에 미치는 효과. 영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이미현(2009). 부정적 정서와 폭식행동의 관계: 정서조절곤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이상선(2007). 폭식행동의 이중-경로모형에 관한 검증 :부정정서 경험 측정과 부정 정서 조절 기대 구분의 필요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883-902.

19.

이수현, 현명호(2001). 여중생의 비만도와 신체상 만족도 및 폭식행동이 우울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195-207.

20.

이연희(2010). 폭식 행동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이윤정, 손정락 (2010). 스트레스 관리 프로그램이 폭식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스트레스, 대처방식, 정서적 섭식 및 폭식행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5(3), 409-425.

22.

이정윤(2003). 여대생의 이상식사행동 수준에 따른 심리적, 정서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5(1), 111-124.

23.

이희주(2001). 완벽주의 성향과 신경성 폭식증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과 자아통제감의 매개효과. 강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전미애, 김정모(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3), 741-759.

25.

전미애, 김정모(2011). 정서조절을 위한 MBCT가 임상군 환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0(1), 113-135.

26.

전미애(2010). 정서조절을 위한 MBCT의 치료적 과정:근거이론 연구. 영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27.

조용래(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판 척도의 심리측정적 속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1015-1038.

28.

최미례(2009).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연구의현황과 쟁점. 한국심리치료학회지, 1(1), 31-44.

29.

홍성영(2006). 마음챙김명상이 비만 여대생의 스트레스,섭식조절 및 비만도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황효정, 김교헌(1999). 인지-행동 프로그램과 명상 훈련프로그램이 여중생의 신체상 불만족과 폭식의개선 및 체중감소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4(1), 140-154.

31.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ental disorder, 4th ed, Washington, DC: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32.

Arnow, B., Kenardy, J., & Agras, W. S. (1995). The emotional eating scale: the development of a measure to assess coping with negative affective by eating.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18(1), 79-90.

33.

Baer. R. A. (2009). 마음챙김에 근거한 심리치료[Mindfulness-based treatment approaches].(안희영, 김재성, 박성현, 김영란, 조옥경 역).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5년에 출판).

34.

Baer, R. A., Fischer, S., & Huss, D. B. (2005).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applied to binge eating: A case study. Cognitive and Behavioral Practice, 12, 351-358.

35.

Brownell, K. D. (1991). Dieting and the search for the perfect body: Where physiology and culture collide. Behavioral Therapy, 22, 1-22.

36.

Carano, A., De Berardis, D., Gambi, F., Di Paolo, C., Campanella, D., Pelusi, L., Sepede, G., Mancini, E., La Rovere, R., Salini, G., Cotellessa, C., Salerno, R. M., & Ferro, F. M. (2006). Alexithymia and body image in adult outpatients with binge eating disorder.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39, 332-340.

37.

Cooper, Z. & Fairburn, C. G. (2003). Refining the definition of binge eating disorder and nonpurging bulimia nervosa.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ders, 34, 89-95.

38.

De Groot, J. M., Rodin, G., & Olmsted, M. P. (1995). Alexithymia, depression, and treatment outcome in bulimia nervosa. Comprehensive psychiatry, 36, 53-60.

39.

Deaver, C. M., Miltenberger, R. G., Smyth, J., Meidinger, A., & Crosby, R. (2003). An evaluation of affect and binge eating. Behavior Modification, 27(4), 578-599.

40.

Didie, E. R. & Fitzgibbon, M. (2005). Binge eating and psychological disstress: Is the degree of obesity a factor?. Eating Behaviors, 6, 35-41.

41.

Dorard, G., Berthoz, S., Phan, O., Corcos, M., & Bungener, C. (2008). Affect dysregulation in cannabis abusers: A study in adolescents and young adults. European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17(5), 274-282.

42.

Fairburn, C. G. & Wilson, G. T. (1993). Cognitive-behavioral therapy for binge eating and bulimia: a comprehensive treatment manual. In Binge eating; Nature, assesment and treatment, Guilford Press, N. Y.

43.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n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44.

Heatherton, T. F. & Baumeister, R. F. (1991). Binge eating as escape from self-awareness. Psychological Bulletin, 110, 86-108.

45.

Jimerson, D. C., Wolfe, B. E., Franko, D. L., Covino, N. A. & Sifneos, P. E. (1994). Alexithymia ratings in bulimia nervosa: Clinical correlates. Psychosomatic Medicine, 56, 90-93.

46.

Peterson, C. B. & Michell, J. E. (1999). Psychosocial and pharmacological treatment of eating disorders: A review of research finding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5(6), 685-697.

47.

Polivy, J. & Herman, P. C. (1993). Etiology of binge eating: Psychological mechanisms. in C. G. Fairburn & G. T. Wilson. (Eds), Binge Eating: Nature, assessment and treatment. New York: Guilford Press.

48.

Polivy, J., Herman, P. C., & McFarlane, T. (1994). Effects of anxiety on eating: Does palatability moderate distress-induced overeating in diet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3(3), 505-510.

49.

Quinton, S. & Wagner, H. L. (2005). Alexithymia,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on, and eating attitude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8(5), 1163-1173.

50.

Roemer, L. & Orsillo, S. M. (2003). Mindfulness: A promising intervention strategy in need of further study. Clinical Psychology Science and Practice, 10, 172-178.

51.

Rick, A. D. & Vanheule, S. (2007). Alexithymia and DSM-Ⅳ personality disorder traits in alchoholic inpatients: A study of the relation between both construc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43(1), 119-129.

52.

Sanftner, J. L.. & Crowther, J. H. (1998). Variability in self-esteem, Moods, shame, and guilt in women who binge. International Journal of Eating Disorders, 23, 391-397.

53.

Segal, Z. V., Williams, J. M. G., & Teasdale, J. D.(2002).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 우울증 재발 방지를 위한 새로운 치료법[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relapse]. (이우경, 조선미, 황태연 역). 서울:학지사.

54.

Sperraza, M., Corcos, M., Loas, G., Stephan, P., Guilbaud, O., Perez-Diaz, F., Venisse, J. L., Bizouard, P., Halfon, O., Flament, M., & Jeammet, P. (2005). Depressive personality dimensions and alexithymia in eating disorder. Psychiatry Research, 135, 153-163.

55.

Stice, E. & Agras, W. S. (1999). Subtyping bulimic women along dietary restraint and negative affect dimension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7(4), 460-469.

56.

Stice, E., Presnell, K., & Spangler, D. (2002). Risk factors for binge eating onset in adolescent girls: A 2-year prospective investigation. Health Psychology, 21(1), 131-138.

57.

Timmerman, G. M. (1999). Binge eating scale: Further assessment of validity and relibility. Journal of Applied Biobehavioral Research, 4(1), 1-12.

58.

Whiteside, U., Chen, E., Neighbors, C., Hunter, D., Lo, T., & Larimer, M. (2007). Difficulties regulating emotions: Do binge eaters have fewer strategies to modulate and tolerate negative affect?. Eating Behaviors, 8, 162-16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