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Effects of the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K-MBSR) Program on Self-absorption, Emotional Regulation, Psychological Symptom and Mindfulness Level in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Individual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3, v.18 no.1, pp.35-52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3



Abstract

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Korean versio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K-MBSR) Program on Self-absorption, Emotional Regulation, Psychological symptom and Mindfulness Level in Defensive Self-focused attention individuals. The SDSAS, K-DERS, K-FFMQ and SCL-47 were used for screening in pre-test. Twenty Six individuals who satisfied the defensive self-focused level in this study. These individuals were assigned to the K-MBSR program group (n=9), wait-control group (n=9) or non-treated group (n=8). The K-MBSR program group participated in the K-MBSR program for eight sessions, once a week. The non-treated group was watching a video during the same period. Self-absorption, emotional regulation, psychological symptom and mindfulness level were assessed at the pre-test, post-test and 4-week follow-up periods. The result of this study was that scores of self-absorption, emotional regulation and psychological symptom in the K-MBSR progra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and Mindfulness Level was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those i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were discussed.

keywords
self-focused attention, K-MBSR, mindfulness, emotional regulation, K-MBSR, 자기초점주의, 정서조절곤란, 마음챙김

Reference

1.

권석만 (2006). 위빠사나 명상의 심리치유적 기능.불교와 심리, 1(1), 9-50.

2.

김경의, 김교헌 (2008). 마음챙김과 반추 및 우울의관계.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48-49.

3.

김광일, 김재환, 원호택 (1984). 간이정신진단검사 실시요강. 서울: 중앙적성 출판사.

4.

김설환, 손정락 (2010). 한국형 마음챙김 스트레스감소(K-MBSR)에 기반을 둔 인지치료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우울, 자살생각 및 충동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 임상,29(1), 189-204.

5.

김영아, 오경자, 문혜신, 김진관 (1999). 사적 자의식구인의 두 가지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8(1), 69-78.

6.

김완석, 전진수 (2012). 경험논문: 한국형 마음챙김기반 스트레스 감소(K-MBSR) 프로그램이마음챙김 수준, 심리적 증상,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자기수련량 및 참여 동기의 역할.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79-98.

7.

김잔디, 김정호, 김미리혜 (2012). 마음챙김 명상의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한국건강심리학회 학술대회 및 워크숍 자료집, 101-102.

8.

김정모, 전미애 (2009). 마음챙김에 기초한 인지치료가 일반 대학생의 정서조절에 미치는 효과.한국심리학회지 : 임상, 28(3), 741-759.

9.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 관리 : 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건강, 6(1), 23-58.

10.

김진영 (2000). 우울한 기분에 대한 두 가지 자기초점적 반응양식: 반추적 반응양식 대 반성적반응양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김환 (2010). 자기초점의 역기능적 속성이 반추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성현 (2006). 마음챙김 척도 개발. 가톨릭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성현, 성승연 (2008). 자기-초점적 주의와 심리적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조절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20(4), 1127-1147.

14.

보건복지부 (2011).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2011. 보건복지부 자료실 웹사이트, http://library.mw.go.kr

15.

신아영, 김정호, 김미리혜 (2010). 정서 마음챙김이여자 대학생의 정서인식의 명확성, 인지적정서조절과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635-652.

16.

왕인순, 조옥경 (2011). 경험논문 : 자애명상이 자기자비, 마음챙김, 자아존중감, 정서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16(4), 675-690

17.

용홍출 (2008).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의효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변화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재활과학과.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안양규, 장현갑, 백경임, 김도균, 이관, 장문선 (2011).임산부를 위한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의 개발과 심리적 효과에 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3(3), 321-337.

19.

원두리, 김교헌 (2006). 한국판 5요인 마음챙김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11(4), 871-886.

20.

윤병수 (2012).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감소(K-MBSR) 프로그램이 주의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2) 521-540.

21.

이가영 (2012). 마음챙김이 사회불안과 사후반추에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2.

이미경 (2009).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이혼여성의 자아존중감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이봉건 (2008).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K-MBSR)이대학생의 우울증상, 마음챙김 수준 및 몰입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27(1). 333-345.

24.

이지영, 권석만 (2005).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 척도의 개발: 사회적 상황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2), 451-464.

25.

이지영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26.

이지영 (2009). 사회불안과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의관계. 인지행동치료. 9(1), 39-55.

27.

이지영 (2010). 자기초점적 주의 성향과 정신병리의관계: 적응적 대 부적응적 자기초점적 주의.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2), 371-388.

28.

이지영 (2011). 자기초점적 주의와 정서조절의 관계.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1).113-133.

29.

이훈구 (1986). 한국고교생의 심리적 성숙에 관한 연구: Y대학 신입생에 관한 조사 분석. 인문과학, 56, 145-164.

30.

장현갑, 김정모,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 SCL-90-R로 본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2(4), 833-850.

31.

전미애, 김정모 (2011). 정서조절을 위한 MBCT가임상군 환자들에게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1), 113-135.

32.

정승아, 오경자 (2004). 부적응적 자기초점화 척도의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23(2), 471-482.

33.

조용래 (2007). 정서조절곤란의 평가.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4), 1015-1038.

34.

조용래 (2012).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정서조절개입이 심리적 건강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와 그변화기제: 정서조절곤란과 마음챙김의 매개역할.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2), 773-799.

35.

Baer, R. A., Smith, G. T., Hopkins, J., Krietemeyer, J., & Toney, L. (2006). Using self-Report assessment methods to explore facets of mindfulness. Assessment, 13(1), 27-45.

36.

Buss, A. (1980). Self-consciousenss and social anxiety. San Francisco: Freeman.

37.

Clark, D. M., & Wells, A. (1995).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Newyork: Guilford Press.

38.

Derogaits, L. R., Lipman, R. S., & Covi, L. (1973). SCL-90: An outpatient psychiatric rating scale-Preliminary report. Psychopharmacology Bulletin, 9, 13-28.

39.

Derogatis, L. R. (1977). SCL-90 (Revised) Manual Ⅰ. Clinical Psychometrics Research Unit, Baltimore, Johns Hopkins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40.

Elisabeth, H., Nina, R., Ulrich, V., Thomas, H., Christoph, N., Nicola, T., Nirmal, H., & Ann, K. K. (2012).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in obsessive-compulsive disorder--A qualitative study on patients' experiences. BMC Psychiatry, 12, 185.

41.

Fenigstein, A., Scheier, M. F., & Buss, A. H. (1975). Public and private self-consciousness: Assessment and theor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3(4), 522-527.

42.

Gratz, K. L. & Roemer, L. (2004). Multidimensional assessment of emotion regulation and dysregulation: Development, factor structure,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difficulties if emotion regulation scale. Journal of Psychopathology and Behavioral Assessment, 26(1), 41-54.

43.

Gross, J. J. (1998). The emerging field of emotion regulation: An integrative review.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3), 271-299.

44.

Gross, J., & Gabrieli, J. (2001). Mindfulness Meditation Research Findings. http://www-psych.stanford.edu/~pgoldin/ Buddhism/MindfulnessMeditation Summary.Doc.

45.

Ingram, R. E. (1990). Self-focused attention in clinical disorders: Review and a conceptual model. Psychological Bulletin, 107(2), 156-176.

46.

Kabat-Zinn, J. (1990). Full Catastrophe Living : Using the Wisdom of your body and Mind to Face Stress, Pain, and Illness. New York : Dell Publishing.

47.

Lybomirsky, S., & Nolen-Hoeksema, S. (1995). Effects of self-focused rumination on negative thinking and interpersoanl problem solv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176-190.

48.

McFarland, C., & Buehler, R. (1998). The impact of negative affect on autobiographical memory: the role of self-focused attention to mood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424-1440.

49.

Ramel, W., Goldin, P. R., Carmona, P. E., & McQuaid, J. R. (2004).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cognitive processes and affect in patients with past depression.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8, 433-455.

50.

Rachman, S. (1980). Emotional processing.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18, 51-60.

51.

Scheier, M. F., Carver, C. S., & Matthews, K. A. (1983). Attentional factors in the perception of bodily states. In J. Cacioppo and R. Petty (Eds.), Social psychophysiology(pp. 510-542). New York: Guilford Press.

52.

Segal, Z., Williams, M., & Teasdale, J. (2002).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for depression: A new approach to preventing relapse. New York : Guilford Press.

53.

Shapiro, S. L., & Schwartz, G. E., & Bonner, G. (1998). Effects of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on medical and premedical students.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21(6), 581-599.

54.

Slagter, H. A., Luts, A., Greischar, L. L., Nieuwenhuis, S., & Davidson, R. J. (2008). Theta phase synchrony and conscious target perception: Impact of intensive mental training. Journal of Cognitive Neuroscience, 21, 1536-1549.

55.

Teasdale, J. D., Williams, J. M., Soulsby, J. M., Segal, Z. V., Ridgeway, V. A., & Lau, M. A. (2000). Prevention of 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4), 615-623.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