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들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예비적 연구

The Effects of Mindfulness Meditation on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and Psychological States of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 Preliminary Study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3, v.18 no.1, pp.53-68
https://doi.org/10.17315/kjhp.2013.18.1.004
김주희 (덕성여자대학교)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들의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 및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서울소재 여자대학교 학생들 중 사전평가를 통해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을 2가지 이상 보고한 16명을 선발하여 마음챙김 명상 치료집단과 비교 집단에 각 8명씩 배치하였다.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은 한 회기 당 60-70분씩 총 8회기가 실시되었다. 비교 집단에게는 스트레스 교육을 한 회기 당 60분씩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판 Nepean 소화불량증 설문지(NDI-K), 스트레스 반응 척도(SRI), 통합적 한국판 CES-D, 상태-특성 불안 척도(STAI),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자각 척도(MAAS), 심리적 수용 척도(AAQ-16)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마음챙김 명상 집단이 스트레스 관리 집단에 비해 기능성 소화불량증 증상의 빈도, 강도, 괴로운 정도가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스트레스반응, 우울, 상태 불안과 같은 심리적 특성에서는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마음챙김 명상이 일반적인 스트레스 교육보다도 상복부 통증, 불편감, 쓰림, 팽만감 등의 상복부를 중심으로 일어나는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주된 증상들을 완화시켜주는 치료적 효과가 있음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 추후연구에 대한 제안사항을 논의하였다.

keywords
기능성 소화불량증, 스트레스, 우울, 상태 불안, 마음챙김 명상, functional dyspepsia, stress, depression, anxiety, mindfulness meditation

Abstract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mindfulness meditation can help individuals with symptoms of functional dyspepsia (FD). The participants were 16 female undergraduate students and they were assigned to either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or a comparative group. The 8 participants in the meditation group received 8 sessions in mindfulness training, that lasted 60-70 minutes each. The 8 participants in the comparative group received 8 sessions of stress management education. that lasted 60 minutes each. Measures included Nepean Dyspepsia Index-Korean version (NDI-K), Stress Response Index (SRI),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STAI), Mindfulness Attention Awareness Scale (MAAS), and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16 (AAQ-16). The data analyses reveal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Mindfulness Meditation group and comparative group on frequency, intensity and severity of abdominal symptom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on any psychological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Mindfulness Meditation program can be more effective treatment for FD symptoms than general stress management education.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keywords
기능성 소화불량증, 스트레스, 우울, 상태 불안, 마음챙김 명상, functional dyspepsia, stress, depression, anxiety, mindfulness meditation

참고문헌

1.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개발. 대한정신의학회지, 39, 707-719.

2.

김수지, 안상섭 (2009). 한국형 마음 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이 만성통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3),359-375.

3.

김수진 (2003). 마음챙김 명상이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의 통증과 기능장애의 감소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정택, 신동균 (1978). STAI의 한국 표준화에 관한연구. 최신의학, 21(11), 69-75.

5.

김정호 (1995). 마음챙김 명상의 소집단 수행에 관한연구. 학생생활연구, 11, 1-35. 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6.

김정호 (1996a). 위빠싸나 명상의 심리학적 고찰. 사회과학연구, 4, 35-60.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7.

김정호 (1996b). 한국의 경험적 명상연구에 대한 고찰.사회과학연구, 3, 79-131.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8.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23-58.

9.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 287-315.

10.

김정호, 김미리혜, 김수진 (2003). 호흡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의 증상에 미친 효과: 예비적 연구. 인지행동치료, 3(1), 69-80.

11.

김정호, 조현진 (2002). 마음챙김명상을 통한 체중조절프로그램의 실제. 학생생활연구, 18, 83-109.덕성여자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12.

김정호 (2004a). 마음챙김 명상의 유형과 인지행동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 4(2), 27-44.

13.

김정호 (2004b). 마음챙김이란 무엇인가?: 마음챙김의임상적 및 일상적 적용을 위한 제언.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511-538.

14.

김정호 (2011). 마음챙김 명상 멘토링. 서울: 불광출판사.

15.

김철환, 신호철, 박용우, 이행 (2000). 기능성 위장장애의 소화장애 정도와 Helicobacter pylori 및 스트레스와의 관련. 가정의학회지, 21, 28-37.

16.

문현미 (2006). 심리적 수용 촉진 프로그램의 개발과효과: 수용-전념 치료 모델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7.

배재홍, 장현갑 (2006).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정서반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4), 673-688.

18.

이광재 (2005).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치료 가이드라인.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11(3), 25-29.

19.

이병호, 현진해 (1989). 소화성궤양 환자의 성격 및 심리적 특성: MMPI 와 Spielberger 불안척도를중심으로. 대한내과학회지, 36(5), 646-657.

20.

이봉건 (2008). 한국판 마음챙김 명상(K-MBSR)이 대학생의 우울증상, 마음챙김 수준 및 몰입수준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333-345.

21.

이상열, 최석채, 조유경, 최명규 (2003). 일반연제: 한국판 Nepean 소화불량증 특이적 삶의 질 설문지의 신뢰도와 타당도. 대한소화관운동학회,15, 48.

22.

이신휘, 장호선, 조홍준 (1992). 기능성 소화장애 환자의 우울성향. 가정의학회지, 13(2), 125-131.

23.

이주연 (2007). 마음챙김 명상 중심의 건강 프로그램이 비만 여자 중학생의 폭식 행동, 비만 행동,자기존중감 및 우울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4.

이지선, 김정호, 김미리혜 (2004). 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여자 중학생을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027-1040.

25.

이태선, 김정호, 김미리혜 (2010). 마음챙김 명상이 여고생의 근골격계 통증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 281-294.

26.

임성견, 김정호 (2008). 호흡마음챙김 명상이 여대생의월경전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3, 221-236.

27.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471-492.

28.

장현갑, 김정모, 배재홍 (2007).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의 개발과SCL-90-R로 본 효과성 검증. 한국심리학회:건강, 12(4), 833-850.

29.

전겸구, 최상진, 양병창 (2001). 통합적 한국판 CES - D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 59-76.

30.

전종희, 이우경, 이수정, 이원혜 (2007).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 자각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예비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 201-212.

31.

정연승, 이영호 (2005). 건강통제소제와 통증수용, 통증대처가 통증 환자의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3), 615-629.

32.

조유경, 최명규, 김세희, 이인석, 김상우, 정인식, 이상열, 최석채, 설상영 (2004). 기능성 소화불량증의 삶의 질에 대한 모사프리드의 효과. 대한소화기학회지, 43, 160-167.

33.

추교영, 최명규, 최황, 이동수, 김진일, 김성수, 방춘상,박수헌, 김재광, 한석원, 최규용, 정인식, 정규원, 선희식 (2006). 우리나라 농촌지역사회 주민의 위장관 증상의 유병률. 대한소화관운동학회지, 6, 31-43.

34.

Bates, S., SjÖdén, P. O., Nyrên, O. (1988). Behavioral treatment of non-ulcer dyspepsia. Scandinavian Journal of Behaviour Therapy, 17(2), 155-165.

35.

Bennett, E., Beaurepaire, J., Langeluddecke, P., Kellow, J., & Tennett, C. (1991). Life stress and non-ulcer dyspepsia: A case-control study. Journal of Psychosomatic, 35, 579-590.

36.

Bennett, E. J., Piesse, C., Palmer, K., Badcock, C. A., Tennant, C. C., & Kellow, J. E. (1998). 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ders: psychological, social, and somatic features. Gut, 42, 414-420.

37.

Benson, H. (1975). The relaxation response. New York: William Morrow and Company.

38.

Brannon, L., & Feist, J. (2000). Health psychology: An introduction to behavior and health. Belmont: Wadsworth.

39.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40.

Carlson, L. E., Speca, M., Patel, K. D., & Goodey, E. (2004).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 in relation to quality of life, mood, symptoms of stress and levels of cortisol, dehydroepiandrosterone sulfate(DHEAS) and melatonin in breast and prostate cancer outpatients. Psychoneuroendocrinology, 29(4), 448-474.

41.

Cheng, C., Hui, W. M., & Lam, S. K. (1999). Coping style of individuals with functional dyspepsia. Psychosomatic Medicine, 61, 789– 795.

42.

Colgan, S., Creed, F., Klass, H. (1988). Symptom complaints, psychiatric disorder and abdominal illness behaviour in patients with upper abdominal pain. Psychological Medicine, 18, 887-892.

43.

Copp, L. A. (1974). The spectrum of suffering. American journal of nursing, 74(3), 491-495.

44.

Craig, T. K. J., & Brown, G. W. (1984). Goal frustration and life events in the aetiology of painful gastrointestinal disorder.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28, 411-421.

45.

Creed, F., & Guthrie, E. (1987). Psychological factors in the irritable bowel syndrome. Gut, 28, 1307-1318.

46.

Epstein, R. M. (2003a). Mindful practice in action(I): Technical competence, evidencebased medicine, and relationship-centered care. Families, Systems & Health, 21(1), 1-9.

47.

Epstein, R. M. (2003b). Mindful practice in action (Ⅱ): Cultivating habits of mind. Families, Systems & Health, 21(1), 11-17.

48.

Hamilton, J., Guthrie, E., Creed, F., Thompson, D., Tomenson, B., Bennett, R., Moriarty , K., Stephens, W., & Liston, R. (2000).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of psychotherapy in patients with chronic functional dyspepsia. Gastroenterology, 119, 661-669.

49.

Haug, T. T. (2002). Cognitive therapy in functional dyspepsia. International Congress Series, 1241, 127-130.

50.

Hu, W. H. C., & Talley, N. J. (1998). Functional (non-ulcer) dyspepsia: unexplained but not unmanageable(pp. 507-509). Australasian Medical Pub. Co.

51.

Hui, W. M., Shiu, L. P., & Lam, S. K. (1991). The perception of life events and daily stress in non-ucler dyspepsia.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86, 292-296.

52.

Jorgensen, L. S., Bonlokke, L., & Christensen, N. J. (1986). Life strain, life events, and autonomic response to a psychological stressor in patients with chronic upper abdominal pain.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1(5), 605-613.

53.

Kabat-Zinn, J. (1982). An outpatient program in behavioral medicine for chronic pain patients based 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meditati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preliminary results. General Hospital Psychiatry, 4(1), 33-47.

54.

Kabat-Zinn, J., Lipworth, L., & Burney, R. (1985). The clinical use of mindfulness meditation for the self-regulation of chronic pain.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8, 163-190.

55.

Kabat-Zinn, J. (2010). 명상과 자기치유(상, 하). (장현갑, 김교헌, 김정호 역). 서울: 학지사

56.

Kaplan, K. H., Goldberg, D. L., & Galvin-Nadeau, M. (1993). The impact of a meditation-based stress reduction program on fibromyalgia. General Hospital Psychiatry, 15(5), 284-289.

57.

Larson, D. B., Koenig, H. G., Kalpan, B. H., Greenberg, R. S., Logue, E., & Tyroler, H. A. (1989). The impact of religion on men's blood pressure. Journal of Religion and Health, 28(4), 265-278.

58.

Magni, G., Di Mario, F., Bernasconi, G., & Mastropaolo, G. (1987). DSM-III Diagnoses Associated with Dyspepsia of Unknown Caus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44, 1222.

59.

Nicholas, W. R. (1999). Functional dyspepsia: A case of indecision. Gastroenterology, 116(3), 761-763.

60.

Radolff, L. S. (1977). The CES-D scale : A self-report depression scale for research in the general population. Applied Psychological Measurement, 1, 385-401.

61.

Rothenbacher, D., Peter, R., Bode, G., Adler, G., & Brenner, H. (1998). Dyspepsia in relation to Helicobacter pylori infection and psychosocial work stress in white collar employee. American Journal of gastroenterol, 93, 1443-1449.

62.

Schweitzer, B. (2006). Medically unexplained symptoms. Continuing Medical Education, 24(8), 441-444.

63.

Singh, N. N., Wechsler, H. A., Curtis, W. J., Sabaawi, M., Myer, R. E., & Singh, S. D. (2002). Effects of role-play and mindfulness training on enhancing the family friendless of the admissions treatment team process. Journal of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10(2), 90-98.

64.

Spielberger, C. D., Gorsuch, R. L., & Lushene, R. E. (1970). Manual for the state-trait anxiety inventory. Pal Altro, CA: Consulting Psychology Press.

65.

Talley, N. J., & Piper, D. W. (1986). Major life event stress and dyspepsia of unknown cause: a control study.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7(2), 127-134.

66.

Talley, N. J., & Piper, D. W. (1987). A prospective study of social factors and major life event stress in patients with dyspepsia of unknown cause. Scandinavian Journal of Gastroenterology, 22(3), 268-272.

67.

Talley, N. J., Haque, M., Wyeth, J. W., Stace, N. H., Tytgat, G. N., Stanghellini, V., Holtmann, G., Verlinden, M., Jones, M. (1999). Development of a new dyspepsia impact scale: the Nepean Dyspepsia Index. Aliment Pharmacology Therapy, 13(2), 225-235.

68.

Teasdale, J. D., Segal, Z. V., & Williams, J. M. G. (1995). How does cognitive therapy prevent depressive relapse and why should attentional control (mindfulness) training help. Behavior Research Therapy, 33(1), 25-39.

69.

Teasdale, J. D., Segal, Z. V., Williams, J. M. G., Ridgeway, V. A., Soulsby, J. M., & Lau, M. A. (2000). Prevention of relapse/recurrence in major depression by 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8(4), 615-623.

70.

Uhes, M. J., Sweet, A. A., & Cowles, S. (1989). A behaviorally orientated stress reduction program and its effects upon self-reported gastric complaints. Stress, 5, 57-61.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