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Meta-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3, v.18 no.2, pp.285-299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3


Abstract

This study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and effect sizes of intervention studies on psychosocial rehabilitation. For meta-analysis, electronic literature searches were being conducted for PubMed, CINAH, RISS, Naver academic, KISS, NDSL, Nanet, Kci, DBpia, KoreaMed. Out of the 586 studies identified, 24 were used to estimate effect size with the RevMan 5.0 program of Cochrane library. Various interventions were integrated with the rehabilitation programs, social skill training programs, emotion administration training programs, social adaptation training programs, daily living skill programs and vocational rehabilitation programs. The effect size using random model effect was 1.01 (95% CI: 0.65, 1.38) for interpersonal relationship, 0.91 (95% CI: 0.35, 1.47) for problem solving, 0.03 (95% CI: -0.93, 1.00) for social behavior. This study suggest that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can increas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problem solving and social behaviors.

keywords
정신사회재활, 대인관계, 문제해결, 사회행동, 메타분석, Interpersonal relationship, problem solving,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social behavior, meta-analysis

Reference

1.

김명숙 (2011). 정신분열병환자에서의 정서관리훈련프로그램의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

김상운 (2001).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적 기능향상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성.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3.

김승용, 김상오 (2007). 지역사회복귀를 위한 정신장애인 프로그램 효과성 연구. 한국지역사회복지학회지, 22, 31-49.

4.

김영란 (2001). 낮 병원을 이용하는 정신질환자의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연구.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5.

김영천 (2006). 직업재활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대인관계와 스트레스대처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6.

김은희 (2008). 만성 정신분열증 환자를 대상으로 얼굴표정 동영상을 활용한 사회성기술훈련의 효과.충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7.

김진희, 송영선(2002). 사회적응훈련 프로그램이 만성정신분열병 환자의 자아존중감·대인관계에 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2(1), 47-55.

8.

김철권 (2003). 정신분열병과 가족. 서울: 하나의학사.

9.

김철권, 변원탄 (2000). 정신과환자를 위한 사회기술훈련. 서울: 하나의학사.

10.

박현숙, 배성우, 김이영 (2008). 정신사회재활서비스가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대한간호학회지, 38(5), 704-711.

11.

배명숙 (2008). 정서관리훈련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환자의 정서표현, 정서행동 및 대인관계에 미치는효과. 동신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2.

보건복지부 (2012). 2011년 정신질환실태 역학조사. 서울: 보건복지부.

13.

서유미 (2002). 정신분열 정신장애인에 대한 정신사회재활훈련 효과성의 메타분석. 경성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14.

서진환 (1998). 정신분열병환자의 사회적응력향상을 위한 문제해결기술훈련의 적용에 대한 연구. 연세사회복지연구, 5, 97-124.

15.

송진희 (2004). 정신장애인을 위한 사회기술훈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광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6.

양수, 김현실 (1999). 사회기술훈련이 만성 정신분열병입원환자의 대인관계와 주장행동 및 삶의 질에미치는 효과. 정신간호학회지, 8(2), 331-342.

17.

원미라 (2010). 정서관리훈련 프로그램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정서와 사회기술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18.

이영실 (1995). 정신의료과 재활. 서울: 신한.

19.

임신화, 이경희 (2001). 행동수정요법이 만성정신질환자의 자기간호 수행 및 대인관계 지각에 미치는효과. 정신간호학회지, 10(1), 87-97.

20.

전석균 (1995). 정신분열증 환자의 사회적응을 위한 사회기술훈련 프로그램.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지, 2, 33-50.

21.

정선영 (2002). 지역사회 정신장애인을 위한 통합재활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 1차 사후조사와 6개월 이후 2차 사후조사의 비교분석. 한국정신보건사회복지학회지, 14, 127-163.

22.

차선경 (2009). 만성정신분열병 환자를 위한 정서관리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고려대학교 박사학위청구논문.

23.

Angelo, B., Germana, A., Barbara, D. D., Maria, F., Antonino, G., & Mauro, T. S. (2007). Outcome of community-based rehabilitation program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 who are considered difficult to treat.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 Development, 44, 775-784.

24.

Bellack, A. S., Morrison, R. L., & Mueser, K. T. (1989). Social problem solving in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15, 101-116.

25.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 Inc.

26.

Connors, M., Siddique, C. M., Van, V. R., & Mulhall, D. (1998). Evaluation of a comprehensive community rehabilitation program.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1(3), 255-263.

27.

Crowther, R., Marshall, M., Bond, G., & Huxley, P. (2010). Vocational rehabilitation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illnes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28.

Heider, F. (1964). The psychology of interpersonal relations. New York: John Wilery & Sons, Inc.

29.

Hersen, M., & Bellack, A. S. (1976). Behavior assessment: a practical handbook. New York: Pergamin Press.

30.

Kane, J. M., & Marder, S. R. (1993). Psychopharmacological treatment of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19, 287-302.

31.

Marshall, M., & Lockwood, A. (2010). Assertive community treatment for people with severe mental disorder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32.

Moller, M. D., & Murphy, M. F. (1997). The three r's rehabilitation program: a prevention approach for the management of relapse symptoms associated with psychiatric diagnoses. Journal of Psychiatric Rehabilitation, 20(3), 42-48.

33.

Nancy, K. W. 도복늠 역 (2007). 지역사회정신건강간호학. 서울: 정담미디어.

34.

Piet, B. (2001). Measuring the subjective well-being of people in a psychosocial rehabilitation center and a residential psychiatric setting - The outline of the study and the measurement properties of a multidimensional indicator of well-being. Psychiatric Rehabilitation Journal, 24(3), 222-236.

35.

Scott, J. E., & Dixon, L. B. (1995).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schizophrenia. Schizophrenia Bulletin, 21, 621-630.

36.

Tungpunkom, P., Maayan, N., & Soares-Weiser, K. (2012). Life skills programmes for chronic mental illnesses. Cochrane Database of Systematic Review.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