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웰빙인지기법이 버스 운전기사들의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Well-Being Cognition on Bus Drivers' Stress and Physical Well-being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1, pp.63-82
https://doi.org/10.17315/kjhp.2014.19.1.004
민경은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김미리혜 (덕성여자대학교)
김정호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웰빙인지가 스트레스와 웰빙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강북구 소재 운수회사 두 곳에서 모집한 버스 운전기사 14명으로 실험집단과 대기-통제집단에 각각 7명씩 무선할당 하였다. 실험집단에 할당된 버스 운전기사들은 운행 중 개인이 선택한 웰빙인지문구가 부착된 물병 소지, 주3회 웰빙인지문구를 문자 메시지로 수신, 주1회 웰빙인지와 관련한 개인피드백으로 6주간 웰빙인지에 노출되었고, 통제집단은 대기자 명단 집단이었다. 연구 결과 웰빙인지 적용 집단은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전체 직무 스트레스와 역할갈등, 역할 과부하 및 작업환경 관련 직무 스트레스에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삶의 만족 점수에서 유의한 증가를 보였고, 부정정서에서는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또한 스트레스 반응 전체와 신체화, 우울, 분노 등 하위척도에서도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그러나 직무 스트레스 중 역할 모호성과 대인관계 관련 직무 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직무몰입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또한 삶의 만족예상과 긍정정서서도 웰빙인지기법 적용 집단과 대기-통제집단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끝으로 이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를 논하였다.

keywords
웰빙인지, 버스 운전기사, 스트레스, 웰빙, 긍정인지, 긍정심리중재법, 안녕감, well-being cognition, bus drivers, stress, well-being, positive cognition,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Abstract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effects of well-being cognition on stress and psysical well-being among professional bus drivers. Participants consisted of 14 bus drivers from two bus companies in Seoul, all being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well-being cognition active treatment group [n=7, mean age=50.86 years, SD=5.27] or a waitlist control group [n=7, mean age=45.71 years, SD=11.12]. The bus drivers in the well-being cognition group were guided to engage in well-being cognitions which involved positive and optimistic self-talks in order to generate a state of positive effects within themselves. They were given water bottles written with well-being cognition statements and were instructed to read and recite the statements each time they drank water while driving. They also received text message reminders to recite the well-being cognitions three times a week over a period of 6 weeks. Results revealed that overall job stress and the majority of job stress-related sub-scales (including role conflicts, overload, and work environment-related stress) significantly decreased within the well-being cognition treatment group. The well-being cognition treatment group also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life satisfaction levels and significant decreases in negative effects and stress response behaviors. There were,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groups with respect to the role ambiguity, job stress due to interpersonal relations, job satisfaction, job commitment,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or positive effects of well-being cognitions.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웰빙인지, 버스 운전기사, 스트레스, 웰빙, 긍정인지, 긍정심리중재법, 안녕감, well-being cognition, bus drivers, stress, well-being, positive cognition,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s

참고문헌

1.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개발. 한국신경정신의학회지, 39, 707-719.

2.

고은미 (2011). 웰빙인지목록기법이 여자대학 신입생의부정기분 조절기대, 웰빙 및 스트레스에 미치는효과.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3.

권선중, 김교헌, 이홍석 (2006). 한국판 감사 성향 척도(K-GQ-6)의 신뢰도 및 타당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77-190.

4.

김은선 (2012). 긍정심리중심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 자녀를 둔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감소와부모 효능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정호 (1985). 합치도 원리: 약호화 특수성 원리에 대한 대안. 행동과학연구, 7, 65-76.

6.

김정호 (1991). 효율적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위한인지심리학적 고찰: 안-밖 합치도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3, 117-130.

7.

김정호 (2000a). 조금 더 행복해지기: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 서울: 학지사.

8.

김정호 (2000b). 스트레스의 원인으로 작용하는 동기 및인지. 학생생활연구, 16, 1-26. 덕성여자대학교학생생활연구소.

9.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87-315.

10.

김정호:(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453-484.

11.

김정호 (2006a). 동기충족 및 동기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동기 상태 이론의 적용. 스트레스연구, 14(2), 184.

12.

김정호 (2007). 삶의 만족 및 삶의 만족예상과 스트레스및 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13.

김정호 (2008). 긍정심리학과 한의학.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 1-22.

14.

김정호, 김선주 (1998a).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서울:도서출판 아름다운 세상.

15.

김정호, 김선주 (1998b).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을통한 스트레스 관리. 사회과학연구, 5, 59-78. 덕성여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16.

문장옥 (2011). 긍정기도문쓰기가 군생활 만족도 및 자아존중감, 군생활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박영수, 양대승, 서진교(2010). 태권도 선수의 인지 재구성에 의한 시합 불안 감소 연구. 국기원 태권도연구, 1, 57-65.

18.

박재옥 (2008). 직무스트레스의 예방관리전략에 관한연구. 한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

신아영 (2008). 정서 마음챙김이 정서인식의 명확성와인지적 정서조절, 신체 증상 및 웰빙에 미치는효과.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0.

신정원, 이인혜 (2003). 낙관주의 성향과 유도된 기분상태가 만성 통증 지각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건강, 8, 457-472.

21.

오정석 (2012). 경찰 직무스트레스와 긍정적 사고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세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오화미(1998). 긍정적사고와부정적사고가심리적안녕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3.

원두리, 김교헌 (2006). 심리적 웰빙을 어떻게 추구할것인가: 웰빙에 영향을 주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125-145.

24.

은희진 (2008). 성경의 웰빙인지가 웰빙증진에 미치는효과. 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석사학위논문.

25.

이선규 (1992). 직무 스트레스 유발요인, 대처전략과 조직구성원의 태도에 관한 실증적 연구.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이종목 (1997). 스트레스가 직무수행행동에 미치는 후효과에 관한 이론적 고찰. 전남대학교 논문집, 제31집.

27.

이주영, 김지혜 (2002). 긍정적 사고의 평가와 활용: 한국판 긍정적 자동적 사고 질문지의 표준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 647-664.

28.

이희경 (2007). 중학생의 희망과 공감 하위집단에 따른심리적 안녕감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19, 751-766.

29.

이희경, 김혜선(2006). 놀이치료 내담아동 어머니의 대상관계수준과 희망이 부모상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심리연구, 20, 57-72.

30.

장세진 (2002). 스트레스의 사회 심리적 요인. 한국역학회 24(2).

31.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32.

조윤정 (2010). 청소년의 긍정적 사고가 성취동기와 스트레스 대처 방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3.

조현석, 권석만, 임영진(2010). 한국판 향유신념 척도의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9, 349-365.

34.

최승미, 강태영, 우종민 (2006).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근로자 대상. 한국신경정신의학회지, 45(6), 541-553.

35.

최유희, 이희경, 이동귀 (2008). Snyder의 희망척도 한국 번역판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2, 1-16.

36.

황준승 (1998). 시내버스 운전자의 직무스트레스 분석. 성균관대학교 교통행정학과 석사학위논문.

37.

Beck, A. T., Rush, A. J., Shaw, B. F., & Emery, G. (1979). Cognitive therapy of depression. New York: Guilford Press.

38.

Bower, G. H. (1981). Mood and memory. American Psychologist, 36, 129-148.

39.

Brayfield, A. H., & Rothi, H. F. (1951). An index of job satisfaction.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35, 307-311.

40.

Buck, R. (1988). Human motivation and emotion (2nd Ed.), New York: John Wiley & Sons.

41.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42.

Dunham, R. B. (1984). Organizational behavior. Homewood: Richard D. Irwin, INC, p.443.

43.

Evans, G. W. (1991). Traffic congestion perceived control and psychophysiological stress among urban bus drivers.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76.

44.

Fredrickson, B. L., & Levenson, R. W. Positive emotions speed recovery from the cardiovascular sequelae of negative emotions. Cognition & Emotion, 12, 191-220.

45.

Goodhart, D. E. (1980). Cognitive resolutions of ordinary life crises and psychological well-being. Doctoral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Dissertation Abstracts International, 41, 2760.

46.

Goodhart, D. E. (1985). Some psychological effects associated with positive and negative thinking about stressful event outcomes: Was Pollyanna righ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iatry, 130, 1107-1111.

47.

Kim, J. H. (1986a). Some difficulties of 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5, 154-166.

48.

Kim, J. H. (1986b). Compatibility principle model: A general framework for memory research. Research Review (Duksung Women's University), 6, 69-103.

49.

Kim, J. H. (1992). Inner-outer compatibility principle model: Functionalism and Computationalism.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4, 165-177.

50.

Kim, J. H., Kim, S. J., & Kim, M. (1999). On the definition of stress and well-being: An extension of Lazarus model. The 3rd Conference of the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Taipei, Taiwan.

51.

Lightsey, Jr. O. R. (1994a). "Thinking positive" as a stress buffer: The role of positive automatic cognitions in depression and happin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3), 325-334.

52.

Lightsey, Jr. O. R. (1994b). Positive automatic cognition as moderators of the negative life event-dysphoria relationship. Cognitive Therapy & Research, 18, 353-365.

53.

Lightseym Jr. O. R., & Boyraz, G. (2011) Do positive thinking and meaning mediate the positive affect-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Canadian Journal of Behavioral Science, 43, 203-213.

54.

Long, L., & Perry, J. (1985). Economic and occupational causes of transit operator absenteeism: A review of research. Transport Reviews, 5, 247-267.

55.

Lyubomirsky, S., Caldwell, N.D., & Nolen-Hoeksema, S. (1998). Effects of ruminative and distracting responses to depressed mood on retrieval of autobiographical memor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166-177.

56.

Pavot, W., Diener, E., & Suh, E. (1998). The temporal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70, 340-354.

57.

Pearce, R., & Trombley, L. (2010). Positive messages attempt to improve positive thinking and overall positivity in the workplace. Journal of the American Dietetic Association, 110(9), A-67.

58.

Porter, L. W., Crampon., & F, Smith. (1997).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managerial turnover : A Longitudinal study.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15, 87-98.

59.

Rizzo, J. R., House, R. J., & Lirtzman, S. I. (1970). Role conflict and ambiguity in complex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cience Quarterly, 15, 150-163.

60.

Seligman, M. E. P. & Csikszenmihalyi, M. (2000)Pos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55, 5-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