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실패 경험이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의 정서처리에 미치는 영향: 몰핑 기법을 활용한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 정서 스트룹을 중심으로

Influence of Failure Experience on the Emotional Process of a Group of People with a Tendency for Suicidal Ideation: An Analysis Focusing on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s Using Morphing Techniques and Emotional Stroop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2, pp.317-337
https://doi.org/10.17315/kjhp.2016.21.2.002
나진형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이상일 (동명대학교 상담심리학과)
장문선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곽호완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정서 스트룹 과제와 몰핑 기법을 이용한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를 수행하여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의 정서처리 특성과 실패 처치 조건에서 정서처리 특성을 검토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이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정서 차이가 있는지 정서 스트룹 과제와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를 실시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그리고 실패 경험을 제시하여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이 통제 집단과 정서처리 특성에서 차이가 있는지 정서 스트룹 과제와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를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자살 생각 경향 집단과 통제 집단의 반응시간을 비교한 결과, 정서 스트룹 과제에서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은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부정 및 긍정 정서 편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얼굴표정 인식 과제에 의한 정서 인식 민감도에서 집단 간 주효과 및 정서 유형 간 주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실패 경험을 제시한 후 반응시간을 비교한 결과, 정서 스트룹 과제에서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은 통제 집단과 비교하여 부정 정서 편향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으며, 얼굴표정 인식 과제에 의한 정서 인식 민감도에서 집단 간, 정서 유형 간 주효과와 집단과 정서 유형의 상호작용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은 실패 경험에 의해 정서 인식 민감도의 역치가 낮아졌으며, 부정적 정서 편향이 나타났다. 따라서 환경적 스트레스 상황이 자살 생각 경향 집단의 정서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을 종합하여 결과의 시사점과 제한점 및 추후 연구방향에 대하여 논의 하였다.

keyword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stroop task, morphing technique,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 자살 생각 경향 집단, 정서 스트룹 과제, 몰핑 기법,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

Abstract

In this research,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formation processing of a group of people with a tendency to have suicidal ideation under normal and failure treatment conditions have been studied through emotional stroop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s with morphing techniques. In the concrete, the emotional stroop and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s have been performed to confirm whether there is any difference in emotion between the group having tendencies of suicidal ideation and the control group. Furthermore, an analysis of whether there is any evidence of differences in emotion when presented with failure experiences between the group having tendencies for suicidal ideation and the control group was completed.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of reaction time tests between the group having tendencies for suicidal ideation and the control group revealed that the non-control group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al biases in the emotional stroop, and also display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ain effect in the sensitivity level between groups and emotional types for the recognition of emotion by a facial recognition task. In the comparison for the reaction time after presenting a failed experience, the non-control group indicated a significant negative-emotional bias in the emotional stroop task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non-control group displayed a significant main effect between emotional types and groups, and the interactive effect between the emotional types and the groups. In conclusion, the group having tendencies for suicidal ideation showed a lowered level of threshold for emotional recognition sensitivity and displayed a negative emotional bias. Therefore, it is confirmed that environmental stress can affect the emotion of the group having tendencies of suicidal ideation. Synthesizing the implications from the study, further discussion on the issue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 has been followed.

keywords
suicidal ideation, emotional stroop task, morphing technique, facial emotion recognition task, 자살 생각 경향 집단, 정서 스트룹 과제, 몰핑 기법, 얼굴표정 정서 인식 과제

참고문헌

1.

김교헌 (2004). 한국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55-68.

2.

김상희, 현명호 (2012). 평가 상황에서 완벽주의성향이얼굴표정 해석과 기억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1), 27-44.

3.

김효창 (2006). 성인 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5-33.

4.

박경 (2004). 청소년의 부정적인 생활스트레스와 자살사고와의 관계에서 사회적 문제해결, 자존감, 무망감의 중재효과 및 매개효과. 청소년상담연구, 12(2), 96-106.

5.

박순환 (1986). 시험불안, 성공-실패경험 및 자기지향적주의가 과제수행에 미치는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논문.

6.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1991). 우울증과 충동성이 청소년들의 자살 행위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0(1), 286-297.

7.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성향에 관한 연구: 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9(1), 1-19.

8.

양재원, 박나래, 정경미 (2011). 얼굴표정 정서 인식 능력과 고등학생의 심리사회적 적응 및 또래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0(2), 475-495.

9.

양재원, 오경자 (2009). 사회불안 증상과 얼굴표정 정서인식의 민감성과 인지 편향. 인지행동치료, 9(2), 87-107.

10.

이경진, 조성호(2004). 청소년 자살 고위험 집단의 심리적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6(4), 667-685.

11.

이선주, 장문선, 곽호완 (2013). 자살사고경향군의 주의력 및 정서처리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5(3), 603-620.

12.

이혜선, 권정혜 (2009). 한국판 자살 생각 척도(K-BSI)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8(4), 1155-1172.

13.

정명인, 오수성, 신현균 (2005). 기능적, 역기능적 완벽주의자의 성공 및 실패 사건 경험에 대한 귀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3), 709-719.

14.

제갈은주, 안창일 (2012). 정서 스트룹 과제에서 나타나는 우울증 환자들의 인지편향 현상.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1), 111-126.

15.

조하, 신희천 (2009). 생활사건 스트레스가 자살사고에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의 매개효과와 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1(4), 1011-1026.

16.

주영, 이서정, 현명호 (2012). 스트레스와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삶의 의미, 감사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1(4), 1175-1192.

17.

최아론, 이영순 (2011). 고교생의 학교계열, 생활스트레스 요인과 자살사고의 관계에서 인지적 몰락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761-784.

18.

최정인, 이훈진, 이준득 (2012). 평가적 피드백과 생활사건에 따른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자존감변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31(2), 631-639.

19.

통계청 (2013). 사망원인통계.

20.

한민지, 장문선 (2013). 성공 및 실패 경험에 따른 긍정적 부정적 완벽주의의 특성: 이분법적 사고, 자존감, 정서를 중심으로. 인간이해, 34(2), 151-171.

21.

홍영수 (2005). 청소년의 생활스트레스가 자살 생각에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원의 완충효과. 임상사회사업연구, 2(1), 249-272.

22.

Arkin, R. M., & Deutchon, C. S. (1982). Roles of attribution, affect and cognitive interference in test anxiety. Journal of Personality Social Psychiatry, 4, 1111-1124.

23.

Ballard, E. D., Lonescu, D. F., Voort, J. L. V., Slonena, E. E., Franco-Chaves, J. A., Zarate Jr, C. A., & Grillon, C. (2014). Increased fearpotentiated startle in major depressive disorder patients with lifetime history of suicide attempt.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62, 34-38.

24.

Baumeister, R. F. (1990). Suicide as escape from self. Psychological Review, 97(1), 90-113.

25.

Beck, A. T. (1976). Cognitive therapy and the emotional disorders. New York: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26.

Beck, A. T. (2008). A cognitive model of suicidal behavior: Theory and treatment. Journal of Applied and Preventive Psychology, 12, 189-201.

27.

Beck, A. T., Kovacs, M., & Weissman, A. (1979). Assessment of suicidal intention: the scale for suicide Ideation.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2), 343-352.

28.

Becker, E. S. (1999). A Specific Attentional Bias in Suicide Attempters. Journal of Nervous &Mental Disease, 187(12), 730-735.

29.

Bolton, C., Gooding, P., Kapur, N., Barrowcloough, C., & Tarrier, N. (2007). Developing psychological perspectives of suicidal behavior and risk in people with a diagnosis of schizophrenia: we know they kill themselves but to we understand why? Clinical Psychology Review, 27(4), 511-536.

30.

Chang, E. C. (2002). Predicting suicide ideation in an adolescent population: examining the tole of social problem solving as a moderator and a mediator.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 32, 1279-1291.

31.

Dixon, W. A., Heppner, P. P., & Anderson, W. P. (1991). Problem-solving appraisal, stress,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8(1), 51-56.

32.

Dixon, W. A., Rumford, K., Heppner, P., & Lips, B. J. (1992). Use of different sources of stress to predict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 college populat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9(3), 342-349.

33.

Felner, R. D., & Silverman, M. M. (1995). Suicide Prevention Program: Issues of Design, Implementation, Feasibility, and Developmental appropriateness. Suicide Prevention: Toward the Year 2000. New york: The Guilford Press.

34.

Fremouw, W. J., De Perczel, M., & Ellis, T. E. (1990). Suicide risk assessment and response guidelines. New York : Pergamon Press.

35.

Godney, R. D., Winefield, A. H., Tiggemann, M., Winefield, H. R., & Smith, S. (1989). Suicidal ideation in a young adult population.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79(5), 481-489.

36.

Goldney, R. D., Dal Grande, E., Fisher, L. J., & Wilson, D. (2003). Population attributable risk of major depression for suicidal ideation in a random and representative community sample. Journal of Affective Disorders, 74(3), 267-272.

37.

Greenhouse, S. W., & Geisser, S. (1959). On methods in the analysis of profile data. Psychometrika, 24(2), 95-112.

38.

Isaacowitz, D. M., & Stanley, J. T. (2011). Bringing an ecological perspective to the study of aging and recognition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s:past, current, and future methods. Journal of Nonverbal Behavior, 35(4), 261-278.

39.

Joormann, J., & Gotlib, I. H. (2006). Is this happiness I see? Biases in the identification of emotional facial expressions in depression and anxiety.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5, 705-714.

40.

Kohler, C. G., Bilker, W. B., Hargendoorn, M., Gur, G. E., & Gur, R. C. (2000). Emotion recognition deficit in schizophrenia; association with symptomatology and cognition. Biological Psychiatry, 48(2), 127-136.

41.

Kuo, W. H., Gallo, J. J., & Tien, A. Y. (2001). Incidence of suicide ideation and attempts in adults: the 13-year follow-up of a community sample in Baltimore, Maryland. Psychological Medicine, 31(07), 1181-1191.

42.

Lee, T. H., Lee, K., Choi, J. S., & Kim, H. T. (2006). The Korea university facial Expression Collection:KUEFC. Lab of Behavioral Neuroscience. Dept, of Psychology, Korea University. Psychiatry Research, 32, 81-88.

43.

Minkoff, K., Bergman, E., Beck, A. T., & Beck, R. (1973). Hopelessness, depression and attempted suicid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0, 455-459.

44.

Mosciki, E. K. (1995). Epidemiology of suicidal behavior. Suicide Prevention: Toward the year 2000. New York: The Guilford Press.

45.

Nock, M. K., Cha, C. B., & Park, J. M. (2010). Attentional bias toward suicide-related stimuli predicts suicidal behavio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9(3), 616-622.

46.

Ponizovsky, A. M., Ritsner, M. S., & Modai, I. (1999). Suicidal ideation and suicide attempts among immigrant adolescents from the former Soviet Union to Israel.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 Adolescent Psychiatry, 38(11), 1433-1441.

47.

Simons, R. L., & Murphy, P. I. (1985). Sex differences in the causes of adolescent suicide ideation.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14(5), 423-434.

48.

Wang, M. C., Lightsey, O. R., Pietruszka, T., Uruk, A. C., & Wells, A. G. (2007). Purpose in life and reasons for living as mediator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stress, coping, and suicidal behavior.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3), 195-204.

49.

Williams, J. M. G., Watts, F. N., MacLeod, C., & Mathews, A. (1988). Cognitive psychology and emotional disorders. Chichester: Wiley

50.

Yang, B., & Clum, G. A. (1994). Life stress, social support, and problem-solving skills predictive of depressive symptoms, hopelessness, and suicide ideation in an asian student population: A test of a model. Suicide and Life-Threatening Behavior, 24(2), 127-139.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