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Effect of Ego-Resiliency on Posttraumatic Growth: The Mediating Effects of Stress Coping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3, pp.623-640
https://doi.org/10.17315/kjhp.2016.21.3.009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 of Ego-Resiliency on Posttraumatic Growth based on considering Stress Coping Strategy, and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s a mediating variable. For this purpose, a sample of 411 adults were asked to complete the Ego Resilience scale, The Brief COP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CERQ), Korea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K-PTGI), and Traumatic Experience Schedule. Data analysis included reliability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factor analysis, measurement model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analysis SPSS 21.0 and AMOS 21.0. were used for all statistical analys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was used to verify the research model. In addition, Bootstrapping method was us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Posttraumatic Growth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go Resilienc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Stress Coping Strategy. Seco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partially mediated between Ego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However, the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y was not significant. Third,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Stress Coping Strategy and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between Ego Resili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was significant.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자아탄력성, 외상후 성장, 인지적 정서조절, 스트레스 대처, posttraumatic growth, ego-resiliency, stress coping strategy,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Reference

1.

고은미 (2011). 고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학교생활적응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

김고은 (2013). 대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외상 후 성장의관계: 삶의 의미와 적극적 스트레스 대처의 매개효과. 경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김보라 (2010). 자아탄력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4.

김소희 (2004). 스트레스사건, 인지적 정서조절전략과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희정 (2008). 유방암 생존자의 외상후성장 관련 요인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6.

류경희 (2013). 지각된 위험사건의 통제가능성 여부에따른 북한 이탈주민의 낙관성과 외상 후 성장과의관계: 적극적 대처, 수용, 긍정적 재평가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전담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7.

박선미, 박병기(2014). 매개효과연구의동향분석과새로운 방향 탐색. 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28(1), 41-70.

8.

배병렬 (2011). Amos 19 구조방정식 모델링 원리와 실제. 서울: 청람.

9.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청소년들의 외상사건 경험. 교육심리연구, 26(3), 787-816.

10.

송승훈 (2007). 한국판 외상 후 성장 척도(K-PTGI)의 신뢰도와 타당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송현 (2011). 심리적 강인성과 정서지능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적극적 대처를 매개로. 전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신선영 (2009).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변인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3.

안현의 (2005). 청소년의 심리적 외상에 관한 탐색적 연구: 외상후 스트레스 증상과 성격특성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7(1), 217-231.

14.

유란경 (2012). 낙관성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사건-관련 반추 및 대처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5.

유선자 (2009). 중년여성의 자아탄력성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전략에 관한 연구.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6.

유성경, 심혜원 (2002). 적응 유연한 청소년들의 심리적보호요소 탐색. 한국교육심리학회: 교육심리연구, 16(4), 189-206.

17.

유현경 (2011). 외상 경험자의 자기노출과 소외감에 관한 연구: 우울 집단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18.

유현진 (2012). 외상경험과 외상후 성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효과. 아주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논문.

19.

유희정 (2011). 외상 후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이경숙 (2012). 노인의 자아탄력성과 자아통합감 간의관계에 미치는 스트레스대처방식의 매개효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이수림 (2013).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 문화 및 사회문제, 19(3), 319-341.

22.

임상희 (2005).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스트레스와 대처행동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3.

전보람 (2012). 위협지각, 낙관성 및 삶의 의미가 암 환자의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4.

정인명 (2009). 의도적 반추와 낙관성이 외상 후 성장에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5.

정지양 (2014). 대인관계 외상 경험 대학생의 성인애착이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6.

주성아 (2009). 직무수행 중 사상사고를 경험한 지하철승무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7.

최혜숙 (2012). 통제소재와 자아탄력성 그리고 스트레스가 긍정 및 부정 정서에 미치는 영향. 경상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8.

Abraido-Lanza, A. F., Guier, C., & Colon, R. M. (1998). Psychological thriving among Latinas with Chronic illness. Journal of Social Issues, 54, 405-424.

29.

Almedom, M. A. (2005). Resilience, hardness, sense of coherence, and posttraumatic growth : All paths leading to “light at the end of the end of the tunnel?”. Journal of Loss and Trauma, 10, 253-265.

30.

Block, J. H., & Kremen, A. M. (1996).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9, 158-167.

31.

Bonanno, G. A. (2004).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s? American Psychologist, 59(1), 20-28.

32.

Breckler, S. J. (1990). Applications of covariance structure modeling in psychology: Cause for concern? Psychological Bulletin, 107(2), 260-273.

33.

Calhoun, L. G., & Tedeschi, R. G. (1999).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MahWah, NJ : Lawrence Erlbaum Associates.

34.

Carver, C.S. (1997). You want to measure coping but your protocol's too long: consider the brief COPE. International Journal of Behavioral Medicine. 4(1), pp.92-100.

35.

Carver, C. S., Scheier, M. F., & Weintraub, J. K. (1989). Assessing coping strategies: a theoretically based approach.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 267-283.

36.

Davis, C. G., Nolen-Hoeksema, S., & Larson, J. (1998). Making sense of loss and benefiting from the experience: two construals of mea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 561-574.

37.

DiCaccavo, A. (2006). Working with parentification:implications for clients and counseling psychologist. Psychology and Psychotherapy:Theory Research and Practice, 79, 469-478

38.

Ekwall, A. K., Sivberg, B., & Hallberg, I. R. (2007). Older caregivers' coping strategies and sense of coherence in relation to quality of lif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57(6), pp. 584-596.

39.

Evers, A. W. M., Kraaimaat, F. W., Van Lankveld, W., Jongen, P. J. H., Jacobs, J. W. G., & Bijlsma, J. W. J (2001). Beyond unfavourable thinking:The illness cognition questionnaire for chronic disease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6), 1026-1036.

40.

Fredrickson, B. L., Tugade, M. M., Waugh, C. E., & Larkin, G. R. (2003). What good are positive emotins in crises? A prospectivestudy of resilience and emotions followings the terrorist attacks on the United States on September11th, 2001.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2), 365-376.

41.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 1311-1327.

42.

Goldstein, S., & Brooks, R. B. (2009). 아동 청소년 적응유연성 핸드북. (신현숙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05년에 출판)

43.

Hopper, L. M., Marotta, S. A., & Lanthier, R. P. (2008). Predictor growth and distress following childhood parentification: A retrospective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17, 693-705.

44.

Lazarus, R. S., & Folkman, S. (1984). Stress, appraisal, and coping. New York : Springer

45.

Richardson, G. E. (2002). The metatheory of resilience and resiliency.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58(3), 307-321.

46.

Schaefer, J. A., & Moos, R. H. (1992). Life crisis and personal growth. In B. N. Carpenter (Eds.). Personal coping: Theory, research, and application. New York: Praeger.

47.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5). Trauma and trans formation : growing in the after math of suffering. Thousand Oak, CA : SAGE Publications.

48.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 455-471.

49.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 Conceptual foundation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 1-18.

50.

Tugade, M., & Fredrickson, B. L. (2004). Resilient individuals use positive emotions to bounce back from negative emotional experiences. Journal of Personaliy and Social Psychology, 86(2), 320-333.

51.

Westphal, M., & Bonnano, G. A. (2007). Posttraumatic growth and resilience to trauma:Different sides of the same coin or different coins? Applied psychology: An international review, 56(3), 417-427.

52.

Woodward, C., & Joseph, S. (2003). Positive change processes and post-traumatic growth in people who have experienced childhood abuse:Understanding vehicles of change. Psychology and Psychotherapy, 76, 267-283.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