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정서인식 명확성이 매개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남녀 대학생 250명을 대상으로 생활스트레스척도, 성인 인터넷 중독 척도,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척도, 정서인식 명확성 척도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생활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보인 반면, 생활스트레스와 정서인식 명확성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인터넷 중독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간에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나타낸 반면, 생활스트레스와 정서인식 명확성 간에는 유의한 부적 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생활스트레스와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생활스트레스와 인터넷 중독의 관계를 정서인식 명확성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결과를 바탕으로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개입방안에 대해 논의하고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emotional clarit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 Therefore, 250 university students were asked to complete a series of questionnaires consisting of Life Stress Scale for College Students, Internet Addiction Proneness Scale for Adults(A-Scal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IUS) and Trait Meta-Mood Scale(TMM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daily stress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ernet addiction a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Further, internet addiction showe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clarity. Second, intolerance of uncertainty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Finally, emotional clarity part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daily stress and internet addiction. Based on these results, programs can be developed for internet addiction prevention and care for university students.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provided.
강현주, 이정화(2015). 일개치위생과대학생의인터넷중독과 건강 관련성. 한국치위생학회지, 15(1), 91-99.
김가희 (2015).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에미치는 영향: 자기자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건양대학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동은, 장성숙 (2011). 자기불일치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학생생활상담, 29, 89-110.
김민경 (2005). 심리적 취약성 요인과 음주행동 간의 관계에서 음주동기의 매개효과 검증: 대학생과 알코올 중독자를 대상으로.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민경 (2013).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및 문제음주가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1(2), 29-36.
김붕년 (2007). 청소년 인터넷 중독 상담과 치료에 관한국제 심포지움: 인터넷을 넘어 가족넷으로. 국가청소년위원회.
김선혜 (2014). 스트레스와 반추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의 조절된 매개효과검증.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성경 (2003).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2), 215-237.
김슬기 (2014).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지각된부모의 과보호가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과도한 재확인 추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영경 (2013). 의대생의 스트레스와 알코올 중독, 인터넷 중독 및 도박중독과의 관계: 영적 안녕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1), 97-114.
김영혜 (2007).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적 수용과 정서적 지지, 그리고 심리적 안녕과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25, 37-58.
김예린 (2014). 직장 내 대인관계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정서인식명확성의 매개효과. 부산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윤희 (2006). 인터넷 중독 청소년의 정신건강 모형구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김재옥, 김봉환 (2013). 고등학생의 스트레스와 신체증상의 관계에서 정서명확성 및 신체귀인의 영향. 인간이해, 34(1), 135-149.
김정원, 민병배 (1998). 걱정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부족 및 문제해결방식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998, 83-92.
김정호 (2001). 체계적 마음챙김을 통한 스트레스관리:정서 마음챙김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1), 23-58.
김지윤 (2014). 직장인의 직무스트레스와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의 관계: 공유가치의 조절효과를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지은 (2014).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인지통제가 불안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지혜, 현명호 (201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및 지각된 통제력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인지적 회피의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0(4), 1149-1164.
김현숙 (2014). 대학생의 진로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불확실성에 대한 감내력 부족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1(2), 449-467.
김현정 (2007). 대학생의 사회적지지와 스트레스 및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용인대학교 학생생활연구, 15, 69-88.
김현주 (2013). 청소년의 정서자각, 지각된 스트레스, 스트레스 대처와의 관계.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현진 (2002). 인터넷 중독적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 연구.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남진열 (2009). 대학생의 인터넷 중독 경향성에 영향을미치는 관련변인 연구. 청소년복지연구, 11(1), 121-140.
박경 (2009). 생활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 마음챙김과 성향적 낙관주의의 중재효과. 스트레스연구, 17(4), 369-378.
박성덕, 이우경 (2008). 정서중심적 부부치료 – 이론과실제 -. 서울: 학지사.
박소희 (2002). 대학생들의 인터넷 중독과 사회적 지지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건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박순영 (2013).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자아탄력성이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박지연, 양난미, 송미경 (2013). 대학생의 인터넷 사용에대한이해: 성격, 정서, 적응, 인터넷사용동기와중독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10(1), 111-137.
박효수, 전종수, 남길우, 고영삼, 엄나래 (2014). 2013년인터넷중독 실태조사. 서울 : 미래창조과학부, 한국정보화진흥원.
서승연, 이영호 (2007). 일상적 스트레스, 사회적지지, 몰두 성향과 인터넷 중독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6(2), 391-405.
설승원, 오경자 (2008).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정서 통제감이 걱정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문제해결 지향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임상, 27(1), 209-235.
손인수 (2013).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가 인터넷 중독에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조절효과 검증.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송남옥 (2004). 대학생의 스트레스, 자기통제력, 자아존중감과 인터넷 사용 수준. 연세대학교 생활환경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송소원 (1999).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스트레스 지각수준,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관계연구. 학생생활연구, 12, 1-30.
신여운, 현명호 (2004). 병리적 걱정을 하는 사람의 걱정에 대한 신념과 대처방략.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3(2), 45-63.
신은경 (2012).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 우울, 불안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안계훈 (2014). 정서적 고통 감내력과 불확실성에 대한인내력 부족이 걱정 증상에 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양경은, 박기환 (2014).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정서조절곤란이 걱정에 미치는 영향: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87-201.
연미정, 김건엽, 이무식, 홍지영, 배석환, 황혜정 (2010). 도농간 중학생의 인터넷 중독과 건강문제 비교연구. 한국융합학회논문지, 1(1), 41-47.
오영아, 정남운 (2011).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걱정의 관계: 경험적 회피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3(3), 671-691.
이선주 (2008). 사적 자의식과 정서 경험이 신경증적 경향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선주, 김귀애, 홍창희 (2011). 인터넷 사용동기와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병리적 인터넷 사용에 미치는 영향: 성별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16(3), 265-284.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이순묵, 반재천, 이형초, 최윤경, 이순영, 김혜수, 김미화 (2005). 성인 인터넷 중독 진단척도 개발 연구. 한국정보문화진흥원.
이연수 (2010). 초등학생의 스트레스가 인터넷중독에 미치는 영향: 역기능적 인지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교육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은석 (2001). 청소년의 스트레스와 방어기제 수준과의관계 연구. 한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정민 (2010). 청소년들의 인터넷 중독과 부정적 정서, 상위인지, 상위-기분간의 관계.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주은 (2012). The Specific Mechanism of How Intolerance of Uncertainty Leads to Maladaptation : the Mediating Role of Coping Style.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이지영 (2007). 대학생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에 관한 연구.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이지영, 권석만 (2006). 정서조절과 정신병리의 관계: 연구 현황과 과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8(3), 461-493.
이현주 (2014). 대학생의 취업스트레스 요인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자기격려의 조절효과. 교육문제연구, 53(4), 1-25.
이형초 (2002). 인터넷게임 중독의 진단척도 개발과 인지행동치료효과. 고려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청구논문.
임전옥, 장성숙 (2004). 스트레스, 정서인식의 명확성과생활만족도의 관계. 학생생활상담, 22, 67-84.
장정임, 윤인노, 김성봉 (2014).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도박중독과의 관계: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1(11), 101-123.
전겸구, 김교헌 (1991).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의개발 : 제어 이론적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137-158.
전겸구, 김교헌, 이준석 (2000). 개정판 대학생용 생활스트레스 척도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5(2), 316-335.
전호선, 장승옥 (2014).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8), 103-129.
정동화 (2009). 대학생의 생활스트레스와 그에 따른 불안 및 우울에 대한 스트레스 대처의 효과. 敎育問題硏究, 33, 221-244.
정새롬 (2014). 여대생의 대학생활스트레스가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의 매개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제현채, 김정규 (2014). 내현적 자기애가 인터넷 중독에미치는 영향: 경험회피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4(3), 477-489.
조민자 (2011). 우울, 불안 및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가 인터넷 중독에 미치는 영향 : 정서인식 명확성, 자아존중감 및 자기통제력의 조절효과. 대구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조선미, 김현수, 신윤미 (2007). 청소년 인터넷 중독 상담과 치료에 관한 국제 심포지움. 온라인게임 중독내담자의 특성연구. 국가청소년위원회.
조성경, 최연실 (2014). 남·녀 대학생의 우울과 불안에미치는 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의 영향. 한국가족치료학회지, 22(1), 53-74.
조성연 (2014).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및 지각된통제감이걱정에미치는영향: 부정적문제지향의매개효과 검증.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조성은, 오경자 (2007). 정서인식의 명확성, 정서강도, 정서주의력과 스트레스 대처 및 우울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4), 797-812.
조소현 (2004). 정서 강도와 정서 인식의 명확성이 자기파괴적 충동 행동에 미치는 영향: 폭식 행동과 중독적 인터넷 사용을 중심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청구논문.
조한익, 정미영 (2009).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이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스트레스 대처전략을매개변인으로. 청소년상담연구, 17(1), 1-14.
최혜경 (1997). 만성적 근심이 문제해결에 미치는 역기능적 효과.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한성열, 허태균, 김동직, 채정민 (2001). 스트레스 상황특성에 따른 적응적인 대처양식: 대처양식의 유연성 제안.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6(2), 123-143.
허유리 (2015).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신체화의 관계에서정서인식 명확성과 낙관성의 조절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허은정 (2015). 정서인식 명확성이 자기 파괴적 행동에미치는 영향: 충동성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5). 정신질환의진단 및 통계 편람 – 제5판[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Fifth Edition] (권준수, 김재진, 남궁기, 박원명, 신민섭, 유범희, 윤진상, 이상익, 이승환, 이영식, 이헌정, 임효덕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2013에 출판).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Buhr, K., & Dugas, M. J. (2002). The intolerance of uncertainty scal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English version.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0(8), 931-945.
Dugas, M. J., Buhr, K., & Ladouceur, R. (2004). The Rol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Etiology and Maintenance. In Heimberg, R. G., Turk, C. L., & Mennin, D. S. (Eds.). (2004).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Advances in Research and Practice(pp. 143-163). New York, US: Guilford Press.
Dugas, M. J., & Koerner, N. (2005). Cognitivebehavioral treatment for generalized anxiety disorder: Current status and future directions.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19(1), 61-81.
Dusunceli, B., & Seda Colak, T. (2012). Investig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the problematic internet use. Global Journal on Technology, 1, 1256-1265.
Freeston, M. H., Rhéaume, J., Letarte, H., Dugas, M. J., & Ladouceur, R. (1994). Why do people worry?.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7(6), 791-802.
Goeders, N. E. (2003). The impact of stress on addiction. European Neuropsychopharmacology, 13(6), 435-441.
Gohm, C. L. (2003). Mood regulation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dividual differenc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3), 594-607.
Kandell, J. J. (1998). Internet addiction on campus:The vulnerability of college students. CyberPsychology & Behavior, 1(1), 11-17.
Kraemer, K. M., McLeish, A. C., & O'Bryan, E. M. (2015). The role of intolerance of uncertainty in terms of alcohol use motives among college students. Addictive Behaviors, 42, 162-166.
Leung, L., & Lee, P. S. (2012). The influences of information literacy, internet addiction and parenting styles on internet risks. New Media &Society, 14(1), 117-136.
Moriya, J., & Takahashi, Y. (2013). Depression and interpersonal stress: The mediating role of emotion regulation. Motivation and Emotion, 37(3), 600-608.
Salovey, P., Mayer, J. D., Goldman, S. L., Turvey, C., & Palfai, T. P. (1995). Emotional attention, clarity, and repair: Exploring emotional intelligence using the Trait Meta-Mood Scale. Emotion, Disclosure, and Health, Washington, DC: APA, 125-154.
Seligman, L. (2011). 상담 및 심리치료의 이론 제2판[Theories of Counseling and Psychotherapy:Systems, Strategies, and Skills] (김영혜, 박기환, 서경현, 신희천, 정남운 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2006에 출판).
Sinha, R. (2008). Chronic Stress, Drug Use, and Vulnerability to Addiction.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1141(1), 105-130.
Suler, J. (1996). Why is the Thing Eating My life? Computer and Cyberspace Acciction at the ‘Palace’. Retrieved January, 5, 2008.
Tavolacci, M. P., Ladner, J., Grigioni, S., Richard, L., Villet, H., & Dechelotte, P. (2013). Prevalence and association of perceived stress, substance use and behavioral addictions: a cross-sectional study among university students in France, 2009–2011. BMC Public Health, 13(1), 724.
Widyanto, L., & Griffiths, M. (2011). Internet Addiction: Does It Really Exist? In Gackenbach, J. (Ed.). (2011). Psychology and the Internet:Intrapersonal, Interpersonal, and Transpersonal Implications(pp. 141-163). San Diego, CA:Academic Press.
Young, K. S. (1998). Caught internet: How to recognize internet addiction and a winning strategy for recovery. NY:John Wiley & Sons, Inc.
Young, K. S. (1999). Internet Addiction: symptoms, Evaluation and Treatment. in Innovations in Clinical Practice. Professional Resouce Pres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