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노인의 상실감, 응집감 및 우울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 매개된 조절효과†

The Influence of a Sense of Loss, a Sense of Coherence and Depression on Ego-integrity in the Elderly: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7, v.22 no.3, pp.687-710
https://doi.org/10.17315/kjhp.2017.22.3.012
오지희 (서울여자대학교)
김종남 (서울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우리나라 65세 이상 노인 인구의 지속적인 증가로 초고령화 사회(super-aged society)에 진입할 것이라는 예측을 토대로 노인의 성공적 노화를 이해하기 위해 진행되었다. 이에 노인의 성공적 적응 상태라고 할 수 있는 자아통합감에 영향을 미치는 상실감, 응집감 그리고 우울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65세 이상 노인 388명을 대상으로 자아통합감 척도,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응집감 척도, 한국형 노인 우울 척도 단축형을 사용하여 연구를 수행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실감과 응집감, 우울은 자아통합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상실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우울의 완전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상실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에서 응집감의 조절효과가 있었다. 넷째, 상실감과 응집감의 상호작용이 자아통합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우울의 역할을 이해하기 위해 매개된 조절효과를 검증하였고, 부분 매개된 조절효과가 확인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자아통합감에 대한 위험요인으로 상실감과 우울을, 보호요인으로는 응집감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상실감 혹은 우울과 같은 부정적인 상황에서도 어떻게 자아통합감이 회복되고 유지되며, 향상될 수 있는 지에 대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이는 성공적인 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지역사회 노인들의 심리적 적응에 대한 개입 방향을 설정하는 것에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그리고 이를 위해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점도 제시하였다.

keywords
노인, 자아통합감, 상실감, 응집감, 우울, 매개된 조절효과, elderly, ego integrity, sense of loss, sense of coherence, depression, mediated moderation effect

Abstract

This study discusse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a sense of loss, a sense of coherence, and the nature of depression which influences the ego integrity of the elderly. By targeting elderly participants aged 65+, the research utilizes the Ego Integrity Scale, the Scale of Sense of Loss for the Korean the Elderly, Sense of Coherence Scale, and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Short Form Korea Version.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sense of loss and a sense of coherenc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elderly's ego integrity; second, depression had a complete mediation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 sense of loss and ego integrity; third, a sense of cohere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of a sense of loss and ego integrity; lastly, the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a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go integrity and two intertwined parameter, a sense of loss and a sense of coherence, was studied. Through analysis, partial mediated moderation effect of depression on ego integrity was founded. As the results above indicate, the study confirms the risk factors and protection factors of the ego integrity of elderly. Moreover, it illustrates the limit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oposes a novel understanding of how the elderly can age successfully; it also proposes possible directions for how to utilize the study's results in psychological adaptations of the community's elderly.

keywords
노인, 자아통합감, 상실감, 응집감, 우울, 매개된 조절효과, elderly, ego integrity, sense of loss, sense of coherence, depression, mediated moderation effect

참고문헌

1.

김기태, 최송식, 박미진 (2007). 노인의 심리사회적 자원과 스트레스 및 우울과의 관계. 한국노인복지학회, 36, 91-111

2.

김경숙 (2013). 병원 간호사의 건강 구조모형: 건강생성이론 기반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김수영 (2016). 구조방정식 모형의 기본과 확장: MPLUS 예제와 함께. 서울: 학지사.

4.

김수옥, 박미화, 김유정 (2006). 농촌 여성노인의 스트레스, 우울 및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노인간호학회지, 8(2), 180-188.

5.

김애리 (2013). 노인의 심리적 안녕감 및 자아통합감이성공적 노화에 미치는 영향-서울시 재가노인을 대상으로. 한국자료분석학회, 15(4), 2041-2054.

6.

김정순 (1988). 노인의 사회적 활동과 자아통합감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7.

김지연, 김창엽 (2014). 통합력(sense of Coherence)과자살생각, 사회적 지지의 연관성 연구. 보건과 사회과학, 36, 77-102.

8.

김지현, 강연욱, 유경, 이주일 (2009). 성공적 노년기 자아통합감에 대한인식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에 대한연구 : 죽음에 대한 태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 사회 및 성격, 23(4), 115-130.

9.

김혜은, 박경, 박유미 (2012). 노인의 스트레스 사건, 정서경험, 우울의 관계. 심리치료, 12(1), 93-107.

10.

김후경, 이순철, 오주석 (2007). 고령자의 상실감과 자아통합감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17-32.

11.

박규리, 안정신 (2016). 남녀노인의 상실경험과 우울간의 관계: 스트레스 대처양식의 조절효과. 한국가족관계학회지, 20(4), 105-130.

12.

박미진 (2007). 생성지향모델의 일치감과 노인 우울과의관계. 한국노년학, 27(1), 39-52.

13.

배재남 (1996). DSM-Ⅲ-R 주요우울증에 대한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 정확도. 서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보건복지부 (2016). 제 14596호 노인복지법. http://www.law.go.kr/법령/노인복지법에서 2016, 5, 12 인출.

15.

신학진, 전상남, 유길준, 이은용 (2010).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주관적 건강요인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0(4), 1179-1195.

16.

여인숙, 김춘경 (2006). 노년기 자아통합감에 관련된 심리사회적 요인 분석. 사회보장연구, 22(2), 79-104.

17.

우종필 (2012). 우종필교수의 구조방정식모델 개념과 이해 (Amos 4.0~20.0 공용). 서울: 한나래출판사.

18.

우종필 (2015). 구조방정식모델과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모델 및 조절된 매개모델에 대한 고찰:만족, 신뢰, 의존이 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상품학연구, 33(4), 45-56.

19.

윤가현 (2013). 고령 사회와 초고령 사회의 대응방안:고령자를 위한 의무교육제도. 한국노년학연구, 22, 159-186.

20.

윤훈, 이순철, 오주석 (2007). 고령자의 상실감이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1-15.

21.

이금룡, 박상욱, 유은경 (2013). 노년기 생성감과 생활만족도와의 관계에서 자아통합감의 매개효과에 관한연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는 노인들을 중심으로. 한국노년학, 33(2), 365-379.

22.

이미란 (2012). 노인의 건강성과 자아통합감의 영향경로에서 가족지지 매개효과 – 연령집단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2(10), 280-290.

23.

이상우, 최재성 (2016). 초고령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관한 종단연구. 한국사회복지행정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pp.193-195, 10월 28일. 무주: 덕유산 리조트.

24.

이성찬, 김원형, 장성만, 김병수, 이동우, 배재남, ... 조맹제 (2013). 지역사회노인군에서 단축형 노인우울척도의 사용. 노인정신의학, 17(1), 36-42.

25.

이정은 (2014). 노인의 상실감이 심리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영향: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및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6.

이현주 (2013). 노년기 우울의 종단적 변화: 연령집단별차이와 위험요인. 한국노인복지학회, 61, 291- 318.

27.

이형권 (2016). 조절분석과 조절된 매개분석 및 매개된조절분석의 오해와 진실. 관광연구, 31(3), 213-248.

28.

장성옥, 공은숙, 김귀분, 김남초, 김주희, 김춘길, ... 최경숙 (2004). 노인의 자아통합감 개념 분석, 대한간호학회지, 34(7), 1172-1183.

29.

장성옥, 공은숙, 김귀분, 김남초, 김주희, 김춘길, ... 최경숙 (2007). 한국 노인의 자아통합감 측정도구 개발을 위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7(3), 334-342.

30.

전정아 (2006). 노인의 자아통합감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사회적 지지와 우울을 중심으로.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정미경, 이규미 (2009). 한국노인 상실감 척도 구성 및타당도 검증에 관한 연구. 한국상담및심리치료학회지, 21(2), 397-416.

32.

정미경, 이규미 (2011). 노인의 상실경험과 자아통합감수준에 따른 적응군집화 및 집단판별에 기여하는변인. 한국노년학, 31(1), 79-96.

33.

정선호, 서동기 (2016).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 방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257-282.

34.

정영호 (2012). 우리나라 국민의 기대여명 및 건강수명. 한국보건사회연구원, 193, 5-18.

35.

정혜선, 오현수 (2015). 노인의 자아통합감과 우울의 상호 순환적 관계에 대한 모형 검정: 다차원적 영향요인을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27(3), 262-272.

36.

조맹제, 배재남, 서국희, 함봉진, 김장규, 이동우, ... 강민희 (1999). DSM-Ⅲ-R 주요우울증에 대한 한국어판 Geriatric Depression Scale(GDS)의 진단적타당성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38(1), 48-63

37.

조은이 (2011). 신체 증상 귀인과 감정표현불능증이 신체화에 미치는 영향에서 통합성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조충은, 정재훈, 장성만 (2015). 노인에서 우울증과 위험요인 및 인지기능과의 관계. 생물치료정신의학, 21(1), 27-35.

39.

주미정, 정영숙 (2009). 내적 통제성과 후회 경험이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22(4), 15-36.

40.

최선재 (2013). 상실 경험의 의미 재구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 상담학연구, 14(1), 323-341.

41.

최현옥 (2014). 관련변인을 중심으로 비교한 자아통합척도 연구. 한국노년학, 34(3), 539-553.

42.

통계청 (2016). 장례인구추계. http://kosis.kr/statHtml/statHtml.do?orgId=101&tblId=DT_1BPA003&conn_path=I2에서 2016, 4, 5 인출.

43.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9(1), 161-177.

44.

홍세희, 정송 (2014). 회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에서의 상호작용효과 검증: 이론과 절차. 인간발달연구, 21(4), 1-24.

45.

홍주연 (2000). 성격과 자아통합감이 노인 회상 기능에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6.

Algina, J., & Moulder, B. C. (2001). A note on estima ting the Jöreskog-Yang model for latent variable interaction using LISREL 8.3.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8(1), 40-52.

47.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 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 tin, 103(3), 411-423.

48.

Antonovsky, A. (1987). Unraveling the mystery of he alth: how people manage stress and stay well. S an Francisco: Jossey-Bass.

49.

Antonovsky, A. (1996). The salutogenic model as a t heory to guide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 on International, 11(1), 11-18.

50.

Blom, E. C. H., Serlachius, E., Larsson, J. O., Theorel l, T., & Ingvar, M. (2010). Low sense of coheren ce(SOC) is a mirror of general anxiety and persi stent depressive symptoms in adolescent girls: a cross-sectional study of a clinical and a non-clini cal cohort. Health and Quality of Life Qutcomes, 8(1), 58.

51.

Dezutter, J., Wiesmann, U., Apers, S., & Luyckx, K. (2013). Sense of coherence, depressive feelings an d life satisfaction in older persons: a closer look at the role of integrity and despair. Aging & Me ntal Health, 17(7), 839-843.

52.

Faramarzi, M., Hosseini, S. R., Cumming, R. G., Khei rkhah, F., Parsaei, F., Ghasemi, N., & Bijani, A. (2015). A negative association between social sup port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population of a mirkola city. British Journal of Medicine & Med ical Research, 8(8), 707-716.

53.

Fishman, S. (1992). Relationships among an older adu lt’s life review, ego integrity, and death anxiety. International Psychogeriatrics, 4(2), 267-277.

54.

Hayes, A. F. (2012). PROCESS: a versatile computati onal tool for observed variable mediation, moderation, and conditional process modeling. http://www.afhayes.com/public/process2012/pdf.에서 인출.

55.

Hiel. A. V., & Vansteenkiste. M. (2009). Ambitions fu lfilled? the effect of intrinsic and extrinsic goal at tainment on older adults’ ego-integrity and death Attitudes.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 d Human development, 68(1), 27-51.

56.

Hong, S. I., Hasche, L., & Bowland, S. (2009).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social activities and lo ngitudinal trajectories of depression among older adults. The Gerontologist, 49(1), 1-11.

57.

Julkunen, J., & Ahlstrom, R. (2006). Hostility, anger, and sense of coherence as predictor of helath-rel ated quality of life. Result of an ASCOT substud y. Journal of Psychosomatic Research, 61, 33-39

58.

King, D. A., & Wynne, L. C. (2004). The emergence of “family integrity” in later life. Family Process, 43(1), 7-21.

59.

Marsh, H. W., Wen, Z., & Hau, K. T. (2004). Structur al equation models of latent interaction: evaluation of alternative estimation strategies and indicator c onstruction. Psychological Methods, 9, 275-300.

60.

Martin, P., Kelly, N., Kahana, B., Kahana, E., Willcox, B. J., Wilcox, C., & Poon, L. W. (2015). Defining Successful Aging: A Tangible or Elusive Concept?. The Geronotologist, 55(1), 14-25.

61.

OECD (2014). Life expectancy at 65. https://data.oecd.org/healthstat/life-expectancy-at-65.htm에서 2016, 4, 5 인출.

62.

Preacher, K. J., Rucker, D. D., & Hayes, A. F. (2007). Addressing moderated mediation hypotheses: theory, methods, and prescriptions. Multivariate Beha vioral Research, 42(1), 185-227.

63.

Sardeshmukh, S. R., & Vandenberg, R. J. (2016). Inte grating moderation and mediation: a structural eq uation modeling approach.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1-25.

64.

Schnyder, U., Buchi, S., Sensky, T., & Klaghofer, R. (2000). Antonovsky’s sense of coherence: trait or state?. Psychother Psyhosom, 69, 296-302.

65.

Silverstein, M., & Heap, J. (2015). Sense of coherence changes with aging over the second half of life. Advances in Life Course Research, 23, 98-107.

66.

Super, S., Wagemeakers, M. A. E., Picavet, H. S. J., Verkooijen, K. T., & Koelen, M. A. (2015). Strengthening sense of coherence: opportunities for theory building in health promo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1-10.

67.

Tahreen, S. F., & Shahed, S. (2014). Relationship between ego integrity, despair, social support and he alth related quality of life. Pakistan Journal of Social and Clinical Psychology, 12(1), 26-33.

68.

Volanen, S. M., Suominen, S., Lahelma, E., Koskenvu o, M., & Silventoinen, K. (2007). Negative life ev ents and stability of sense of coherence: a five-y ear follow-up study of finnish women and men. Scandinavian Journal of Psychology, 48, 433-441.

69.

Westerhof, G. J., Bohlmeijer, E. T., & McAdams, D. P. (2015). The relation of ego integrity and despa ir to personality traits and mental health. Journal of Gerontology: Series B, Psychological Sciences and Social Sciences, 72(3), 400-407.

70.

WHO (2016). Frequently asked questions. http://www.who.int/suggestions/faq/en/에서 2016, 4, 27 인출.

71.

Wiesmann, U., & Hannich, H. J. (2010). A salutogenic analysis of healthy aging in active elderly person. Research on Aging, 32(3), 349-371.

72.

Wiesmann, U., & Hannich, H. J. (2011). A salutogenic analysis of developmental task and ego integrity vs despair. The International Journal of Aging and Human Development. 73(4), 351-369.

73.

Wu, A. D., & Zumbo, B. D. (2007). Understanding an d using mediators and moderators. Social Indicat ors Research, 87, 367-392.

74.

Yesavage, JA., & Sheikh, JI. (1999). Geriatric Depress ion Scale(GDS): Recent Evidence and Developme nt of aShorter Version. Clinical Gerontologist, 5, 165-173.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