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Mediating Effects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Support and Happines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9, v.24 no.3, pp.769-784
https://doi.org/10.17315/kjhp.2019.24.3.013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diation of self-estee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multidimensional support and happiness of adolescents. To this end, the data of 339 male and female teenagers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were collected by SPSS 18.0 We applied the simple regression method to the statistic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esteem is partially mediated in relation to multidimensional supportive happiness. Second, self-esteem is partially mediated in relation to emotional support of parents' happiness satisfaction. Third, self-esteem is complete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emotional support and happiness satisfac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n happiness by subdividing emotional support and satisfaction of parents and teachers. These findings can increase happiness by increasing parental and teacher multidimensional support in adolescents with low emotional support and satisfaction in positiv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eachers, and by imbuing them with self-esteem. implying that it can facilitate them adjustment to life. On the basis of thi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presented.

keywords
Multidimensional Support, Self-Esteem, Happiness, 다차원 지지, 자아존중감, 행복

Reference

1.

구재선, 서은국 (2011). 단축형 행복 척도(COMOSWB)개발 및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5(1), 96-114.

2.

김경호, 김영기 (2013). 노인요양시설에 대한 기부자의신뢰가 기부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계 몰입의 매개효과. 노인복지연구, 62, 7-34.

3.

김명숙 (1995). 아동의 사회적 지지와 부적응과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4.

김애경, 김성봉 (2018). 청소년의 부모애착, 또래애착, 교사애착, 자아탄력성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5(10), 273-297.

5.

김종백, 김남희 (2014). 교사와 학생이 지각한 학생-교사 관계의 변화가 학생의 학교행복과 수업참여를매개로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1(12), 285-315.

6.

김지은 (1998). 청소년의 재비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청송 (2014). 가족기능과 청소년 분노반응의 관계에서자아존중감의 중재효과. 청소년학연구, 21(3), 385-407.

8.

김청송 (2017). 인간발달과 자기이해. 경기: 싸이북스.

9.

김청송 (2018).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행복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5(4), 177-197.

10.

김홍순, 송민경, 김청송 (2012). 청소년의 행복과 심리적특성과의 관계에서 감사성향과 사회적 지지의 중재모형.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1), 253-270.

11.

명수정 (2011). 중학생의 행복에 대한 사회적 지지와 학업성취 및 낙관성의 효과. 강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문종원 (2013). 외로움 안아주기. 서울: 바오로딸.

13.

박희수, 문승연 (2014). 대학생의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학교생활적응의 매개효과. 한국자치행정학보, 28(3), 197-218.

14.

반포종합사회복지관, 서울대학교 실천사회복지연구회 (2015). 실천가와 연구자를 위한 사회복지 척도집. 제2판. 서울: 나눔의 집.

15.

소선숙, 김청송 (2016).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감과 학교적응의 보호요인 및 위험요인 연구. 청소년학연구, 23(7), 375-400.

16.

송미라, 한기백 (2015). 과학고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 학업적 자기 효능감과 또래관계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 22(4), 93-111.

17.

신동윤 (2018). 이주배경 청소년의 정서적 지지와 행복과의 관계: 부적응적 사고와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8.

신명희, 서은희, 송수지, 김은경, 원영실, 노원경, 김정인, 강소연, 임호용 (2017). 발달심리학 2판. 서울: 학지사.

19.

신주연, 이윤아, 이기학 (2005). 삶의 의미와 정서조절양식이 청소년의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치료, 17(4), 1035-1057.

20.

신미, 전성희, 유미숙 (2013). 청소년의 삶의 만족과 안녕에 관한 요인연구. 한국청소년학회 학회지, 17(9), 131-150

21.

이미리 (2003). 청소년기 행복감 수준의 일상 맥락 변화에 따른 다양성. 한국심리학회지 : 발달, 16(4), 193-209.

22.

오승환 (2001). 저소득 결손가족 청소년의 적응 결정요인.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3.

오순옥 (2006). 사회적지지와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에서정서조절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유미숙, 정계숙, 박수홍, 차지량, 홍광표 (2013). 아동 및청소년이 지각하는 행복에 대한 인식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1(3), 15-26.

25.

이유신, 김한성 (2014). 중도입국 아동·청소년의 차별경험과 학교생활부적응: 교사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학교사회복지, 29, 263-282.

26.

이희숙 (2013). 부모의 정서적 지지가 고등학생의 행복에 미치는 영향: 정서지능과 자기존중감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희자, 김경원 (2000). 부모-자녀간 의사소통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사회성 발달과의 관계. 한국생활과학회지, 9(3), 283-295.

28.

장은영 (2016). 사회적 지지가 청소년의 내재적 학습동기 및 행복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전기숙 (2016). 청소년의 행복 요인 탐색. 청소년학연구, 23(10), 411-429.

30.

전혜진, 유미숙 (2015). 청소년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자아존중감, 진로성숙도 및 미시체계 변인의 경로분석. 청소년학연구, 22(6), 75-104.

31.

정옥분, 정순화 (2016). 부모교육 2판. 서울: 학지사.

32.

정윤미 (2014). 학생-교사 애착관계가 학급풍토 및 학교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3.

정혜숙, 김영희 (2014). 아동이 지각한 행복 결정요인:심리특성·사회활동 ·관계적 요인을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7), 89-118.

34.

차은미, 문민경, 신동윤 (2017). 좋은 부모되기 시민운동: 2017 수원시 좋은 부모상(像) 실태조사. 경기:수원시청소년육성재단.

35.

Argyle, M. (2001). The Psychology of Happiness. New York: Taylor & Francis Inc.

36.

Barber, B. K. (1997). Introduction: Adolescent socialization in context-the role of connection, regulation and autonomy in the family. Journal of Adolescent Research, 12(1), 5-11.

37.

Baron, R. M., & Kenny, D. A. (1986).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6), 1173-1182.

38.

Baumgardner, S. R., & Crothers, M. K. (2013). 긍정심리학 Positive Psychology: (안신호, 이진환, 신현정, 홍창희, 정영숙, 이재식, 서수균, 김비아 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39.

Cheng, H., & Furnham, A. (2014). The Associations Between Parental Social-Economic Conditions, Childhood Intelligence, Adult Personality Traits, Social Status and Mental Well-Being.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17(2), 653-664.

40.

Cohen, S., & Hoberman, H. M. (1983). Positive Events and Social Supports as Buffers of Life Change Stres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3(2), 99-125.

41.

Coopersmith, S. (1967).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42.

Gilligan, T. D., & Huebner, E. S. (2002). Multidimensional life satisfaction reports of adolescents:a multitrait-multimethod study. Personality and Indiviual Differences, 32(7), 1149-1155.

43.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 Psychological Bulletin, 93(3), 542-575.

44.

DuBois, D. L., & Hirsch, B. J. (2000). Self-esteem in early adolescents: From stock character to marquee attraction. Journal of Early Adolescence, 20(1), 5-11.

45.

Harter, S. (1999). The construction of the self: A developmental perspective. New York: Guilford.

46.

Maslow, A. H. (1971). Adolescents behavior and development. Hinsale Illinois: The Dryden Press Ins.

47.

Jang, H., Reeve, J., Ryan, R. M., & Kim, A. (2009). Can self-determination theory explain what underlies the productive, satisfying learning experiences of collectivistically oriented Korean stud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01(3), 644-661.

48.

Kahn, R. L., & Antonucci, T. C. (1980). Conveys Over The Life Course: Attachment Roles, Social Support. In Paul B. Battes and Orville G. Brim, Jr.(Eds.), Life-span Development and Behaviors. New York: Academic Press.

49.

Khaleque, A. (2013). Perceived parental warmth, and children's psychological adjustment, and personality dispositions: A meta-analysis. Journal of Child and Family Studies, 22(2), 297-306.

50.

King, A. L. D., Huebner, S., & Valois, R. F. (2006). An ecological view of schol satisfaction in adolescence : Linkages between social support and behavior problems.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1(3), 279-295.

51.

Pianta, R. C. (1999). Enhancing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 and teachers. Washington, D. C.: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52.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53.

Seligman, M. E. P. (2004). Authentic Happiness. New York: Free Press.

54.

Thompson, R. A. (1994). Emotion regulation: A Theme in search of definition. Wiley Online Library, 59(3), 25-52.

55.

Thompson, R. A., Flood, M. F., & Goodvin, R. (2006). Social Support and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In D. Cicchetti & D. J. Cohen (Eds.), Developmental psychopathology: Risk, disorder, and adaptation (pp. 1-37). Hoboken, NJ, US: John Wiley & Sons Inc.

56.

Vitrano, C. (2006). The Structure of Happines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New York.:City Universit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