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우울, 불안 및 외로움의 변화가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과정에 미치는 영향

The Impact of Change in Depression, Anxiety, and Loneliness on Progress of Smartphone Addic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0, v.25 no.1, pp.273-286
https://doi.org/10.17315/kjhp.2020.25.1.015
임숙희 (건양사이버대학교)
신현지 (충남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울, 불안 및 외로움의 변화가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 과정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기 위해 3개월 간격으로 3시점의 1년간의 단기 종단연구를 실시하였다. 성인 인터넷 패널 1,768명을 대상으로 조사가 진행되었으며 부적 정서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잠재성장곡선 간 인과모델을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스마트폰 중독 점수는 시간의 흐름에 따라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스마트폰 중독 점수의 초기치에서 개인들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변화에 있어서는 개인차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우울의 경우 초기에 우울한 개인이 스마트폰 중독이 높으며 우울이 증가할수록 스마트폰의 회복 속도가 더디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불안의 경우 초기에 불안이 높을 때 스마트폰 중독 수준도 함께 높아지지만 불안의 변화와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와는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로움에 있어서 초기에 외로움이 높을 때 스마트폰 중독이 높으며 외로움의 증가속도가 커질 때 스마트폰 중독의 회복이 더디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스마트폰 중독의 변화과정에서 부적정서의 개입 및 상담 전략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smartphone addiction, recovery factor, depression, anxiety, loneliness,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 중독 회복, 외로움, 불안, 우울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change in depression, anxiety, and loneliness on the progress of smartphone addiction, by conducting a one-year longitudinal study during three different periods at three-month intervals. The study subjects comprised 1,769 adults from an Internet panel. To identify the impact of negative emotions on smartphone addiction, a latent growth cause-and-effect model was applied. The analysis showed that smartphone addiction scores decreased gradually. While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smartphone addiction scores between individuals, the individual differences were insignificant in the progress of the addiction. Also, in the beginning, individuals with depression were more likely to manifest smartphone addiction and, when the depression increased, recovery from smartphone addiction was slower. As for anxiety, in the beginning, individuals with higher levels of anxiety were more likely to be more addicted to smartphones.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change in depression and progress of smartphone addiction. As for loneliness, in the beginning, individuals with loneliness were more likely to manifest smartphone addiction and, when the loneliness increased, recovery from smartphone addiction was slower. Last, the study discusses the intervention and counseling strategies relating to negative emotions in the progress of smartphone addiction.

keywords
smartphone addiction, recovery factor, depression, anxiety, loneliness, 스마트폰 중독, 스마트폰 중독 회복, 외로움, 불안, 우울

참고문헌

1.

고은영, 김은향 (2017). 불안과 우울이 스마트폰중독에미치는 영향: 성별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디지털융복합연구, 15(5), 419-429.

2.

고은영, 최윤영, 최민영, 박성화, 서영석 (2014). 외로움, 대인 민감 및 페이스북 중독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6(3), 713-738.

3.

권석만 (1996). 우울과 불안의 관계: 유발 생활사건과인지내용에 있어서의 공통점과 차이점. 심리과학, 5, 13-38.

4.

김경진, 임숙희, 김교헌, 신현지 (2019). 문제성 도박의발달 및 회복과 관련된 성격요인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4(3), 735-751.

5.

김교헌, 김지환 (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학생생활연구(충남대학교), 16, 13-30.

6.

김교헌, 변서영, 임숙희 (2016). 성인용 스마트폰 중독척도의 개발. 사회과학연구, 27(1), 131-154.

7.

김나미, 조현섭, 박경은 (2019). 국외 중독회복 패러다임의 변화와 발전과정. 상담학연구, 20(4), 133-153.

8.

김남희 (2017). 결혼불만족과 외로움, SNS 중독의 관계:사회자본의 조절된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69(1), 223-254.

9.

김정겸, 강영식 (2016). 유아의 스마트폰 사용 환경이사용중독과 인지 발달 행동에 미치는 영향. 예술인 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6, 169-180.

10.

김진숙, 문현주, 최은 (2019). 대학생의 SNS 중독경향성이 외로움에 미치는 영향-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인문사회 21, 10(1), 241-253.

11.

박상규 (2016). 대학생의 스마트 폰 중독과 불안과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재활심리연구, 23(3), 503-511.

12.

박상규, 손재환 (2017). 대학생의 우울, 분노공격이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정복지연구, 50, 33-56.

13.

배성만 (2014). 중학생의 지각된 부모양육태도와 친구관계 만족도가 휴대폰 중독적 사용과 우울에 미치는영향. 청소년학연구, 21(11), 271-290.

14.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2018). 2017년 사행산업 관련통계. 서울: 사행산업통합감독위원회.

15.

서원진, 김미리혜, 김정호, Chad Ebesutani, 조인성 (2015). 외로움과 SNS 중독경향성의 관계: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여대생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0(4), 443-458.

16.

신현지 (2019). 문제성 도박의 발생과 회복을 설명하는발달단계 모형. 충남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7.

신현지, 김교헌, 조성겸, 임숙희 (2017). 도박중독 자발적 회복집단의 인지 및 동기 변화과정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2(4), 1113-1126.

18.

양경미 (2016).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우울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한국융합학회논문지, 7(1), 113-123.

19.

여종일 (2016). 남녀중학생의 외로움과 스마트폰 중독증상의 관계: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학연구, 23(1), 129-152.

20.

오순옥, 이정숙 (2018). 자기회귀교차지연모형을 적용한청소년 애착외상, 스마트폰 중독 그리고 우울간의종단적 관계검증. 한국아동심리치료학회지, 13, 33-50.

21.

오지희, 최현철 (2017). 사회불안감이 스마트폰 이용과중독에 미치는 영향: 대학생을 중심으로.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18(2), 37-78.

22.

유승숙, 최진오 (2015). 대학생의 스마트폰 중독과 우울, 불안, 공격성의 관계: 자기통제의 조절효과. 청소년시설환경, 13(1), 131-144.

23.

이명은, 김승곤, 박상학, 김상훈, 박종 (2017). 청소년에서 가족, 또래, 선생님관계, 우울, 불안이 스마트폰중독에 미치는 영향. 중독정신의학, 21(2), 81-87.

24.

이미영, 강희양 (2019). 대학 기숙사생의 우울과 스마트폰 중독과의 관계에서 대인관계 문제의 매개효과. 디지털융복합연구, 17(1), 413-421.

25.

임숙희, 권선중, 엄나래, 김민정, 신현지, 김교헌 (2014). 성인의 인터넷 및 스마트폰 이용 지표 개발을 위한예비 연구. 사회과학연구, 25(2), 549-565.

26.

임숙희, 신현지, 최영임 (2017). 도박 중독의 자발적 회복, 실재의 현상인가?. 2017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387.

27.

장상필, 김지일 (2013). 대학생들의 스마트 리터러시와스마트폰 중독의 종단관계 연구. 교육종합연구, 11(4), 67-90.

28.

전혜숙, 전종설 (2019). 청소년 친구 및 학교 스트레스가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우울· 불안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복지연구, 21(1), 1-28.

29.

전호선, 장승옥 (2014). 스트레스와 우울이 대학생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청소년학연구, 21(8), 103-129.

30.

진미령, 신성만 (2016). 애착외상, 자아존중감, 우울, 자기통제력이 청소년의 스마트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도피이론 (Escape Theory)’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중독, 1(1), 31-53.

31.

차은진, 김경호 (2018). 대학생의 우울이 성인매체 몰입에 미치는 영향: 스마트폰 중독의 매개효과 검증. 청소년복지연구, 20(1), 137-161.

32.

한국정보화진흥원 (2011). 스마트폰 중독 진단척도 개발연구.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33.

한국정보화진흥원 (2019). 2018년 인터넷이용실태조사. 대구: 한국정보화진흥원.

34.

홍세희 (2000). 구조 방정식 모형의 적합도 지수 선정기준과 그 근거.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19(1), 161-177.

35.

Boivin, M., Hymel, S., & Bukowski, W. M. (1995). The roles of social withdrawal, peer rejection, and victimization by peers in predicting loneliness and depressed mood in childhood.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7(4), 765-785.

36.

Boumosleh, J. M., & Jaalouk, D. (2017). Depression, anxiety, and smartphone addiction in university students-A cross sectional study. PloS one, 12(8), e0182239.

37.

Flores, P. J. (2004). Addiction as an attachment disorder. New York: Jason Aronson.

38.

Heinrich, L. M., & Gullone, E. (2006). The clinical significance of loneliness: A literature review.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6), 695-718.

39.

Martins, B., Caceda, R., Cisler, J., Kilts, C., & James, G. A. (2017). 633. The Self and Susceptibility:The Role of the Medial Prefrontal Cortex in Addiction Comorbidity. Biological Psychiatry, 81(10), S256-S257.

40.

Perlman, D., & Peplau, L. A. (1982). Theoretical approaches to loneliness. Loneliness: A sourcebook of current theory, research and therapy. New York: Wiley.

41.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e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3), 472.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