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growth with 205 effect sizes of 32 studies conducted in Korea until July, 2019. The effectiveness was evaluated on dependent variables categorized with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variables, and negative variables. The moderating effect was also analyzed with moderator variables which included participants’ age, type of trauma, type of intervention, major intervention, number of sessions, and duration per session. The average effect sizes were large for posttraumatic growth (g = 1.141) and positive variables (g = .979), and moderate for negative variables (g = -.618). The moderation analyses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t effects were found in negative variables according to type of trauma and major interven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osttraumatic growth and positive variables. The real effect sizes maybe smaller than estimated effect sizes because of the publication bias in our results. However, the corrected values of effective sizes were still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growth is effective in faciliating growth as well as increasing adaptive aspect and decreasing maladaptive aspect for the mental health of Korean clients with trauma.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강남구 (2018). 암 환자의 지지적 공감 집단과 구조화된 표현적 글쓰기 집단 간 삶의 질 비교.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고아름 (2012). 수용-전념치료가 죽음관련 외상경험이있는 청소년들의 심리적 고통, 부정적 정서수준 및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고혜경 (2018). 외상 후 성장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성폭력피해경험여성의 정서 조절, 성폭력 귀인 및 성장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권도연 (2019). 시간관 치료(Time Perspective Therapy)가 외상 경험자들의 인지 및 정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정희 (2014). 집단미술치료가 남한 거주 북한이탈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과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지경, 장현아 (2014). 외상 후 성장 연구의 국내 동향과 과제. 인지행동치료, 14(2), 239-265.
류혜경 (2019). 청소년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 메타분석. 대구대학교 재활과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경, 전진수, 정선용 (2013). 한국형 마음챙김 명상기반 스트레스 완화 프로그램(K-MBSR)이 유방암환자의 심리적 증상, 수면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스트레스연구, 21(3), 249-262.
박미향 (2017). 부인암 생존자를 위한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검증. 계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박미향, 박정숙 (2016). 암환자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중재연구에 대한 메타분석. Asian Oncology Nursing, 16(1), 9-19.
박성효 (2019). 관계상실 경험자의 자기분석과 자기노출이 외상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소영 (2018). 용서글쓰기가 집단따돌림 피해경험자의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수진 (2016). 시나리오치료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정, 장현아 (2015). 실연 경험 대학생을 위한 외상 후성장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예비연구. 사회과학연구, 39(3), 311-333.
박지은, 정남운 (2016). 외상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후성장의 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 대인관계 외상경험자를 중심으로. 인간이해, 37(2), 167-185.
서영석, 조화진, 안하얀, 이정선 (2012). 한국인이 경험한 외상 사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4(3), 671-701.
손희정 (2011). 주관적 외상 사건에 대한 구조화된 글쓰기의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송수지 (2016). 관계상실을 경험한 청소년을 위한TF-CBT 기반 애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전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우정, 임동호 (2018). 춤 치유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쉼터거주 가정폭력 피해여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8(2), 158-168.
양준석 (2018). 사별경험 중년여성의 역경 후 성장과애도 프로그램 효과.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엄성혜, 전효정, 고은경 (2019). 긍정심리치료 기반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9(5), 989-1022.
엄재승 (2017). 심상재각본 집단프로그램이 사건충격과외상후성장에 미치는 효과: 언어화매개전략과 시각화매개전략의 활용. 한국상담대학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오성삼 (2002). 선행연구 결과의 통합과 재분석을 위한메타분석의 이론과 실제. 서울: 건국대학교 출판부.
유새봄 (2016). 수용전념치료(ACT)가 아동기 정서적 피학대 경험이 있는 대학생의 복합 PTSD 증상, 내면화된 수치심, 수용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전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윤미라 (2014). 유방암 생존자를 위한 마음수련 명상프로그램이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이민진 (2017). 성장글쓰기가 관계상실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수림 (2013). 외상 유형이 외상후성장 및 지혜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와 대처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19(3), 319-341.
이양자, 정남운 (2008). 외상후 성장에 대한 연구 개관.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1), 1-23.
이영경 (2011). 이별경험을 한 대학생을 위한 이성관계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광운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이정임 (2018). 안구운동 민감소실 재처리요법 통합집단치료프로토콜(EMDR-IGTP)이 보건복지 방문종사자의 업무관련 심리적 외상에 미치는 효과. 한양대학교 임상간호정보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이혜미 (2018). PTSD 위험군 초등학생의 PTSD 증상감소와 PTG 증진을 위한 NLP 집단상담 프로그램개발 및 효과성 검증.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임선영 (2013). 역경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관계상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장재혁 (2013). 글쓰기 프로그램의 효과: 상실 외상 경험이 있는 대학생을 대상으로. 영남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장한, 김진숙 (2017). 외상후성장과 관련 변인들 간의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상담학연구, 18(5), 85-105.
장혁란 (2019). 재난 경험 중년여성을 위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 기반 외상 후 성장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지진 경험 중년여성을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조명희 (2012). 마음챙김 명상 집단 프로그램이 대학생들의 실연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아라 (2014). 외상 경험에 대한 글쓰기 자기노출이반추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충남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조용래, 노상선, 조기현, 홍세희 (2014). 우울과 불안증상에 대한 마음챙김에 기반을 둔 개입의 효과: 메타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4), 903-931.
차지영 (2017). 외상경험 청소년의 외상 후 성장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청구논문.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하늘 (2012). 용서 글쓰기치료가 성피해자의 우울과 수치심,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상미, 조용래 (2017). 긍정심리개입이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심리적 건강 및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6(2), 223-241.
한상미, 조용래 (2018).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심리적 건강에 대한 긍정심리개입의 효능: 조절변인으로서외상의 유형. 인지행동치료, 18(2), 199-224.
황성동 (2014). 알기 쉬운 메타분석의 이해. 서울: 학지사.
황정현 (2016). 웰빙인지 기법이 성인의 실연 스트레스, 반추,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 (5th ed.). Washington, DC: Author.
Antoni, M. H., Lehman, J. M., Kilbourn, K. M., Boyers, A. E., Culver, J. L., Alferi, S. M., Harris, S. D. (2001). Cognitive-behavioral stress management intervention decreases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and enhances benefit finding among women under treatment for early-stage breast cancer. Health Psychology, 20(1), 20-32.
Borenstein, M., Hedges, L. V., Higgins, J. P. T., & Rothstein, H. R. (2009).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Chichester, UK: John Wiley &Sons.
Borenstein, M., Hedges, L., Higgins, J., & Rothstein, H. (2013). Comprehensive meta-analysis (Version 3) [Computer software]. Englewood, NJ: Biostat.
Calhoun, L. G., & Tedeschi, R. G. (1999). Facilitating posttraumatic growth: A clinician’s guide.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4).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New considerations. Psychological Inquiry, 15(1), 93-102.
Calhoun, L. G., & Tedeschi, R. G. (2006). The found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An expanded framework. In L. G. Calhoun & R. G. Tedeschi (Eds.), Handbook of posttraumatic growth: Research and practice (pp. 3-23).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Card, N. A. (2012). Applied meta-analysis for social science research. New York, NY: Guilford Publications.
Cohen, J.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d ed.). Hillsdale, NY:Lawrence Earlbaum Associates.
Duval, S., & Tweedie, R. (2000). Trim and fill: a simple funnel-plot-based method of testing and adjusting for publication bias in meta-analysis. Biometrics, 56(2), 455-463.
Egger, M., Smith, G. D., Schneider, M., & Minder, C. (1997). Bias in meta-analysis detected by a simple, graphical test. BMJ-British Medical Journal, 315(7109), 629-634.
Helgeson, V. S., Reynolds, K. A., & Tomich, P. L. (2006). A meta-analytic review of benefit finding and growth.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74(5), 797-816.
Higgins, J. P. T., & Green, S. (2011). Cochrane handbook for systematic reviews of interventions. Chichester, UK: John Wiley & Sons.
Jadad, A. R., Moore, R. A., Carroll, D., Jenkinson, C., Reynolds, D. J. M., Gavaghan, D. J., & McQuay, H. J. (1996).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led Clinical Trials, 17(1), 1-12.
Joseph, S., & Linley, P. A. (2008).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posttraumatic stress: An integrative psychosocial framework. In S. Joseph & P. A. Linley (Eds.), Trauma, recovery, and growth: Positive psychological perspectives on posttraumatic stress (pp. 3-20). Hoboken, NJ: John Wiley & Sons.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Moher, D., Liberati, A., Tetzlaff, J., & Altman, D. G. (2009). Preferred reporting items for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es: The PRISMA statement. BMJ, 339(b2535), 1-8.
Park, C. L. (1998). Implications of posttraumatic growth for individuals. In I. B. Weiner (Ed.),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changes in the aftermath of crisis (pp. 157-180). Mahwah, NJ:Lawrence Erlbaum Associates.
Park, C. L., Cohen, L. H., & Murch, R. L. (1996). Assessment and prediction of stress‐related growth. Journal of Personality, 64(1), 71-105.
Roepke, A. M. (2015). Psychosocial interventions and posttraumatic growth: A meta-analysis.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83(1), 129-142.
Rosenthal, R., & Rubin, D. B. (1982). A simple, general purpose display of magnitude of experimental effec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74(2), 166-169.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pp. 3-12). New York, NY:Oxford University Press.
Shiyko, M. P., Hallinan, S., & Naito, T. (2017). Effects of mindfulness training on posttraumatic growth: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Mindfulness, 8(4), 848-858.
Tedeschi, R. G., & Calhoun, L. G. (1996). The posttraumatic growth inventory: Measuring the positive legacy of trauma. Journal of Traumatic Stress, 9(3), 455-471.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Walker, E., Hernandez, A. V., & Kattan, M. W. (2008). Meta-analysis: Its strengths and limitations. Cleveland Clinic Journal of Medicine, 75(6), 431-439.
Wolf, F. M. (1986). Meta-analysis: Quantitative methods for research synthesis. Newbury Park, CA: Sage.
Zoellner, T., & Maercker, A. (2006). Posttraumatic growth in clinical psychology - A critical review and introduction of a two component model. Clinical Psychology Review, 26(5), 626-6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