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초월적 시간관 척도(TFTPS) 타당화

A Validation Study of the Transcendental-Future TimePerspective Scal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21, v.26 no.6, pp.961-983
https://doi.org/10.17315/kjhp.2021.26.6.001
이덕희 (성균관대학교)
남슬기 (성균관대학교)
이동훈 (성균관대학교)

초록

본 연구는 죽음 이후 시간에 대한 개인의 태도, 가치관, 신념을 의미하는 초월적 미래 시간관을 측정하는 초월적 시간관 척도(the Transcendental-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TFTPS)를 국내 성인을 대상으로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번역, 역번역 과정을 거친 TFTPS를 국내 일반성인 682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요인구조를 확인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전체 682명 중 절반인 339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총 9문항으로 이루어진 2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요인은 요인의 특성에 맞게 ‘심신 이원론적 관점’과 ‘초월적 관점’으로 명명하였으며, 각각 ‘심신 이원론적 관점’ 3문항, ‘초월적 관점’ 6문항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343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2요인 모델이 적합함을 확인하였다. 전체 682명을 대상으로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시간관,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낙관성, 희망을 통해 준거 타당도를 확인하였으며, 성별, 연령, 종교유무를 통해 집단 변별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와 선행연구 결과들을 비교함으로써 학문적 의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으며,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TFTPS, 시간관, 타당화,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낙관성, 희망, TFTPS, time perspective, validation, self-esteem, self-resilience, hope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alidate a Korean version of the Transcendental-Future Time Perspective Scale (TFTPS) from transcendental-future time perspective, meaning personal attitude, values, and beliefs toward the time after death. To this end, 682 Korean adults were administered TFTPS which was adapted through translation and back-translation. Data were examined for factor structure, reliability, and validity. First, explor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a sample of 339 out of 682 Korean adults. Two factors with 9 items (mind-body dualism factor with 3 items and transcendental factor with 6 items) were obtained. Second, confirmatory factor analyses were conducted for a sample of 343 Korean adults. Results showed that the 2 factor model was adequate. Third, criterion-related validity was confirmed through time perspective, self-esteem, self-resilience, optimism, and hope. Discriminant validity was also confirmed through gender, age, and religious affiliation. Finall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TFTPS, 시간관, 타당화, 자아존중감, 자아탄력성, 낙관성, 희망, TFTPS, time perspective, validation, self-esteem, self-resilience, hop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