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곽재석(한국침례신학대학교) ; 김예나(한국침례신학대학교) ; 권선중(한국침례신학대학교) pp.817-840 https://doi.org/10.17315/kjhp.2023.28.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네트워크 분석으로 돈내기게임 유형, 도박문제, 자발적 회복행동의 관계망을 분석해 남녀 청소년의 서로 다른 연결 특징을 살펴보는 것이다. 네트워크 분석은 특정 구조나 잠재변수를 가정하지 않고 관계 패턴을 추정하므로 변인 간 복잡한 연결망을 이해하는 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6개월씩 네 차례 수집한 국내 청소년 종단 자료에서 일정 수준 도박문제를 보고한 대상을 추린 뒤, 남녀 청소년의 네트워크를 추정해 여러 시점에서 공통되고 일관된 특징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첫째, 돈내기게임 이용률과 도박문제, 자발적 회복행동의 모든 수준에서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높았다. 둘째, 남녀 청소년 모두 불법 돈내기게임 간 연결을 보였는데, 그중 남자 청소년은 사다리·달팽이·그래프·로하이 등 돈내기게임을 중심으로 한 온라인 유형이, 여자 청소년은 스포츠토토 이용이 특징적이었다. 셋째, 도박문제는 남녀 청소년 모두 사회ㆍ경제적 폐해 연결이 공통됐으나 남자 청소년이 모든 문항에서 더 많이 연결됐다. 넷째, 자발적 회복행동에서 남자 청소년은 자신과 돈내기게임을 단절 및 차단해 가용성을 낮추려는 특징을 보였고, 여자 청소년은 관계 중심의 대처를 통해 접근성을 낮추는 특징을 보였다. 다섯째, 남녀 청소년 간 네트워크 구조 및 연결 강도를 비교한 결과, 남자 청소년이 전체 네트워크에서 구조적 차이를 보였고, 도박문제 연결 강도도 더 강했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 등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network of gambling types, gambling problems, and natural recovery behavior through network analysis to examine the different connection characteristics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To this end, after selecting the subjects who reported certain levels of gambling problems from the adolescents’ longitudinal data collected four times for six months, the network of male and female adolescents was analyzed to derive common and consistent characteristics at various points. As a result, first, male adolescents showed higher levels than female adolescents in all measurements. Second, both male and female teenagers showed a connection in illegal gambling games, among which male teenagers were characterized by online types centered on gambling games such as ladders, snails, graphs, and lohai, and female teenagers we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Sports Toto. Third, both male and female teenagers had a common connection between social and economic harm, and male teenagers were more connected in all items. Fourth, in voluntary recovery behavior, male adolescents were characterized by cutting off and blocking gambling types from themselves to reduce availability, and female adolescents were characterized by lowering accessibility through relationship-oriented coping. Fifth,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network structure and connection strength, male adolescents had structural differences in the entire network, and the connection strength of the gambling problem was stronger. Finally, the significance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오주용(서울대학교) ; 이슬아(차의과학대학교) pp.841-859 https://doi.org/10.17315/kjhp.2023.28.4.002
초록보기
초록

불편하고 모호한 신체증상을 신체이상이나 질병으로 오해석하는 것은 질병불안의 주된 특징으로 알려져있다. 이러한 신체증상 해석편향은 누구나 경험하는 보편적 현상으로, 경미한 경우에는 건강 관리에 도움이 되는 적응적 신호일 수도 있으나, 과도하면 병리적인 질병불안으로 이어질 수 있다. 신체증상을 치명적인 질병의 증거로 오해석하는 사람들이 질병불안을 경험하는 데에는 죽음을 다루는 태도가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죽음에 대한 태도는 죽음공포, 죽음회피, 그리고 도피적, 접근적, 중립적 죽음수용으로 다양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체증상 해석편향과 질병불안의 관계에서 죽음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한국리서치 MS 패널 온라인 설문 시스템을 통해 20~70대의 성인 297명을 대상으로 질병불안, 신체증상 해석편향, 죽음태도를 측정하였으며, 회귀 분석과 기울기 분석, Johnson-Nayman 기법을 이용하여 죽음태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죽음공포와 중립적 죽음수용은 신체증상 해석편향과 질병불안의 관계를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체적으로는 죽음공포 수준이 높을 때 신체증상 해석편향과 질병불안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강해지며, 반대로 중립수용 수준이 높을 때 신체증상 해석편향과 질병불안 간의 정적 상관관계가 약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죽음공포와 중립적 죽음수용 수준에 따라 신체증상 해석편향이 질병불안을 증가시키는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을 의미하며, 죽음공포 완화와 중립적 죽음수용 증진을 통해 질병불안이 과도해지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Misinterpreting an uncomfortable and ambiguous somatic symptom as a physical problem or illness is known to be a key feature of illness anxiety. This symptom interpretation bias is a universal phenomenon that everyone experiences. In mild cases, it can be an adaptive signal that help us manage our health. However, when it is excessive, it can lead to pathological illness anxiety. Attitude toward death may affect illness anxiety in people who misinterpret somatic symptoms as a fatal illness. There are various death attitudes such as fear of death, death avoidance, and avoidant, approaching, or neutral acceptance of death.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attitud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matic symptom interpretation bias and illness anxiety. A total of 227 adults aged 20 to 70 years were recruited through Korea Research MS Panel online survey system. Illness anxiety, somatic symptom interpretation bias, and death attitudes were measured. Regression analysis, slope analysis, and Johnson-Nayman technique were used to verify the moderating effect of death attitude. As a result, fear of death and neutral death acceptance moder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omatic symptom interpretation bias and illness anxiety.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matic symptom interpretation bias and illness anxiety increased as the level of fear of death increased, whereas the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matic symptom interpretation bias and illness anxiety decreased as the level of neutral acceptance of death increased.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extent to which somatic symptom interpretation bias exacerbates illness anxiety might vary depending on levels of fear of death and neutral death acceptance. Reducing fear of death and promoting neutral death acceptance might prevent excessive illness anxiety.

조예진(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861-883 https://doi.org/10.17315/kjhp.2023.28.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기질적 취약요인으로 알려진 정서 반응성이 우울 및 신체화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또한 세 변인 간 관계에서 감정표현불능증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만 19세 이상의 성인 247명을 대상으로 조사를 진행하였고, 조절된 매개분석을 통해 변인 간 관계를 파악하였다. 연구 결과, 정서 반응성은 우울을 매개로 신체화에 간접 영향을 미쳤고, 이 영향은 감정표현불능증 수준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정 정서 차원에서는 감정표현불능증이 위험요인이었으나, 긍정 정서 차원에서는 다른 양상을 보였다. 이는 정서가에 따라 감정표현불능증의 영향이 달라지며, 긍정 정서와 부정 정서를 처리하는 효과적인 방법이 다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상기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논하고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Reactivity(ER) which is considered a temperamental vulnerability, depression, somatization and alexithymia. The study was conducted on 247 adults over the age of 19 and analyzed using Moderated-Mediation analysis with SPSS Process Macro. As a result,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R and somatization, and the indirect effect of ER through depression on somatization was moderated by alexithymia. In negative valence, a high level of alexithymia was a risk factor, but in positive valence, it showed different patterns. This suggests that the effect of alexithymia varies depending on the emotional valence, and the effective way of dealing with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may be different. Based on the finding, research limitation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조나영(아주대학교) ; 김은정(아주대학교) pp.885-991 https://doi.org/10.17315/kjhp.2023.28.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내재화 증상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상위인지신념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를 검증하여, 공병률이 높은 우울과 불안의 취약성 요인들의 관계를 규명하고 정신건강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대학생 438명을 대상으로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 역기능적 상위인지신념, 경험회피, 우울, 불안을 측정하는 자기보고형 설문지를 실시하였고, 자료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내재화 증상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상위인지신념과 경험회피는 각각 유의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욱이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 부족과 내재화 증상의 관계에서 역기능적 상위인지신념과 경험회피의 순차적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부분매개모형과 완전매개모형의 적합도 비교에서 완전매개모형이 유의하게 더 적합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불확실성에 대한 인내력이 부족할수록 역기능적 상위인지신념과 경험회피가 많아지고, 그로 인해 내재화 증상이 많아지는 것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초진단적 변인들 간 관계의 단일한 통합 모델을 제시하였고, 정신병리의 공통요인들의 치료 방안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dysfunctional metacognitive beliefs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internalizing symptoms in college students. In doing so, we sort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vulnerability factors for depression and anxiety, which have a high rate of comorbidity, and to identify potential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ental health. 438 college students completed self-report questionnaires to measure intolerance of uncertainty, dysfunctional metacognitive beliefs, experiential avoidance, anxiety, and depress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The results indicated that dysfunctional metacognitive beliefs and experiential avoidance had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olerance of uncertainty and internalizing symptoms, individually. Moreover,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 of dysfunctional metacognitive beliefs and experiential avoidance in this relationship was foun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a full-mediation model demonstrated a significantly better model fit than a partial-medi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intolerance of uncertainty may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internalizing symptoms by increasing dysfunctional metacognition and experiential avoidance. Through an integrated understanding of transdiagnostic variables, we tried to find a treatment plan targeting common factors associated with psychopathology.

김혜진(한양사이버대학교) ; 하승수(한양사이버대학교) pp.913-930 https://doi.org/10.17315/kjhp.2023.28.4.00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취약성 자기애가 신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 과정에서 사회부과적 완벽주의와 우울의 매개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성인 669명을 대상으로 병리적 자기애 척도,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체형만족도 평가지, 우울 척도로 구성된 자기보고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확인하였다. 첫째, 취약성 자기애, 사회부과 완벽주의, 우울, 신체불만족의 모든 변인 간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둘째, 취약성 자기애가 신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은 단순 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셋째, 취약성 자기애가 신체불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부과 완벽주의와 우울은 순차적으로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취약성 자기애를 가진 사람의 경우 높은 수준의 사회부과 완벽주의를 보인다면 우울을 경험할 수 있고, 이들 매개변인을 통해 신체불만족의 문제를 드러낼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vulnerability narcissism on body dissatisfaction and to confirm the sequential mediating effects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between them.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based on 669 adults was conducted and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the pathological narcissism inventory(PNI), the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s(MPS), the depression scale(CES-D), and the body shape questionnaire(BSQ).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among all the variables of vulnerability narcissism,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depression, and body dissatisfaction. Second, in the effect of vulnerability narcissism on body dissatisfact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showed a simple mediating effect. Third, in the effect of vulnerability narcissism on body dissatisfaction,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were sequentially mediat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ople with vulnerable narcissism may experience depression if they show a high level of socially prescribed perfectionism, and may reveal the problem of body dissatisfaction through these mediating variables.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studies are presented.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