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지방공무원의 직무 스트레스원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the Job Stressor Scale for Local Civil Serva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2, v.7 no.2, pp.197-210
탁진국 (광운대학교)
윤해진 (광운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지방공무원의 직무스트레스 원인을 분석하기 위한 직무스트레스원 척도를 개발하고 다양한 직무스트레스원이 직무태도 및 정신건강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1차적으로 56명의 지방공무원에게 개방형 설문을 실시해서 70개 직무 스트레스원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 척도를 187명의 지방공무원에게 실시하여 얻은 자료를 토대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문항수가 31개로 줄어들었으며, 남녀간의 차별, 승진상의 문제점, 업무의 일관성 결여, 경제적 어려움, 민원인과 민원처리 어려움, 상사와의 업무갈등, 동료간의 업무갈등 그리고 업무추진 미흡 등의 8개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가운데 민원인과 민원처리 어려움이 직무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가져오는 요인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은 승진상의 문제점 요인과 경제적 어려움 순이었다. 8개 요인구조의 안정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334명의 지방공무원에게 설문을 실시한 뒤,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8개 요인구조 모형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8개의 직무 스트레스원 요인은 직무태도(직무만족, 경력몰입, 조직몰입)와는 유의하게 관련되지 않았고, 정신건강 변인과(불안, 우울, 신체화)는 다소 유의하게 관련되었다. 특히 남녀간의 차별이 정신건강 변인과 가장 높게 관련되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에 대한 시사점과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keywords
Job stressor, Job stress, public servants, Job stressor, Job stress, public servants, 직무 스트레스원, 직무스트레스, 지방공무원공무원은 국민의 공복으로서 국민들이 자유롭고 질서 있는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이다. 이들에게는 국가와 국민에 대한 사명감과 책임감이 요구되는 직업 특성이 있다. 이들은 다른 직업에 비해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국민의 공복이라는 이유 때문에 다른 직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윤리 규범을 요구받고, 무조건적인 사명감과 책임감을 강요받게 되며, 이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develope the job stressor scale for local public servants. Fifty six local public servants were asked to describe job stressors they have experienced on the job using an open-end question. Based on these responses 70 items to measure job stressors were developed. A questionnaire including 70 job stressor items was distributed to 187 local public servants.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f the job stressor scale showed that the eight factor structure was meaningful. These eight factors were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promotion problem, lack of task consistency, economic problem, civil service problem, conflict with superiors, conflict with coworkers, and lack of task promotion. The number of items of the job stressor scale reduced to 31 items. This final job stressor scale was distributed to 334 local public servants to confirm the factor structure of the eight factor model and investigate the relations of the job stressor factors with job attitude and mental health.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howed that the eight factor model fit the data well. Generally, the eight job stressor factors were not significantly related to job attitude. But these factors were more highly related to mental health. Especially discrimination against women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mental health variables. Finally, implications of the results and limitations were discussed.

keywords
Job stressor, Job stress, public servants, Job stressor, Job stress, public servants, 직무 스트레스원, 직무스트레스, 지방공무원공무원은 국민의 공복으로서 국민들이 자유롭고 질서 있는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행정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이다. 이들에게는 국가와 국민에 대한 사명감과 책임감이 요구되는 직업 특성이 있다. 이들은 다른 직업에 비해 안정적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국민의 공복이라는 이유 때문에 다른 직업에 비해 높은 수준의 윤리 규범을 요구받고, 무조건적인 사명감과 책임감을 강요받게 되며, 이로 인한 직무 스트레스가 높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