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 대처과정에서 정보처리과정의 구성요인을 알아보고, 정보처리 대처과정이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학생과 성인노인을 대상으로 한 한국어판 정보처리과정지각 척도(K-PMPI)를 요인분석한 결과,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문제 상황에서 정보처리과정은 느낌과 지각에 의존하는 정서적 과정, 체계적이고 논리적인 해결방법에 초점을 두는 합리적 과정, 그리고 즉흥적으로 과거의 습관적 정보에 의존하는 자동적 과정의 3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처리과정지각 척도의 3 요인은 대학생과 성인노인의 전체집단에서 모두 공통적인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각 요인은 만족스러운 내적 일치도를 보여주었다. 이 결과를 통하여, 정보처리과정 지각은 생의 전 과정에 걸쳐서 나타나는 일반적이고 지속적인 특성을 갖는 것으로 간주 되었다. 대학생과 성인노인의 정보처리과정지각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대학생과 성인노인은 서로 다른 대처과정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학생은 문제 상황의 대처과정에서 합리적 과정을 자주 사용하는 반면, 성인노인은 정서적 과정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합리적 과정을 많이 사용하는 대학생일수록 정서적 과정은 적게 사용하나, 정서적 과정을 많이 사용하는 성인노인은 합리적 과정도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성인노인이 정서적 과정을 많이 사용하는 것은 성인노인이 겪는 문제 상황이 정서적 과정을 요구한다는 “상황특수성(cross-sectional effect)” 가설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성숙과 같은 개인의 발달적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는 “성숙” 가설을 지지한다. 논의에서는 성인노인의 정서적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경험과 성숙에 관해 토의 하였다.
In this study we have attempted to find the construct of perceive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s and to explain age difference in coping with stress. According to factor analysis of Perceived Modes of Processing Inventory (K-PMPI) from students and older adults, information based coping styles consist of emotional processing based on feeling and intuition, rational processing by using systematic and logical reasoning to solve problems and automatic processing from past experience. These 3 factors constitute the same items for students and older adults, and all factors have shown sufficient internal consistency.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perceive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s is seen as cognitive process as trait over lifespan. Compared to processing styles there are differences between students and older adults: students used rational processing, however older adults used emotional processing. The more students used rational processing, the less they used emotional processing. But older adults, who used emotional processing, tend to used rational processing. It is concluded that the dominant coping styles of emotional processing of older adult is not caused by specific situational demands, but it is due to individual factors like mature. It is discussed that individual experience and mature lead older adults to emotional processing.
(2003) 여성의 우울과 스트레스 대처방식이 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
(1984) 격리성장과 행동장애 생쥐를 대상으로 한 생리심리학적 연구,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3) 스트레스 지각과 대처가 여대생의 스트레스 증상과 음주관련 문제에 미치는 영향,
(1994) Why do some people get sick and some stay well? Annual Review of Psychology,
(1986) Development of the stress concept Dynamics of stress Plenum Series on Stress and Coping,
(1990) individual differences and real world problem solving across the adult life span,
(1999) Individual differences in perceived information- processing styles in stress and coping situations: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rceived modes of processing inventory,
(1989)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84) Personal control and stress and coping processes:A theoretical analysi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1987) Age differences in stress and coping processess,
(1986) Dynamics of stressful encoun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96)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tress , Academic Press
(1983) Psychological stress and coping in aging,
(1975) A historical view of the stress field,
(1982) Age differences in the use of coping mechanism,
(1989) Age differences and changes in the use of coping mechanisms,
(1977) Handbook of the psychology of aging,
(1956) The Stress of life, McGraw-Hill
(1996) Mediating' and moderating' processes in psychological stress: Appraisal, coping, resistance and vulnerability., Academic Press
(1980) Werdegaengige, Rowohlt
(1990) Appraised changeability of a stressor as a modifier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ping and depression A test of the hypothesis of fit,
(198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brief measures of positive and negativ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964) Relationship between psychological defense and mean urinary 17-hydroxycorticosteroid excretion rates A prospective study of parents of fatally ill childr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