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 중심으로

Factors influencing the quality of life for Korean adolescents and adults at home, school, work and leisure settings : Indigenous psychological analysi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4, v.9 no.4, pp.973-1002
김의철 (인하대학교)
박영신 (인하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이 연구에서는 한국 청소년과 성인 세대의 삶의 질 인식과 관련된 토착심리를 분석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청소년과 성인의 종합적인 삶의 질 뿐만 아니라, 하위영역으로서 가정생활과 여가생활에서의 삶의 질에 대한 인식을 다루었다. 또한 청소년 경우는 학교생활에서 삶의 질을, 성인 경우는 직장생활에서의 삶의 질을 하위영역으로 추가하였다. 이러한 각 영역에 대해,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삶의 질 수준에 대한 지각의 차이를, 세대별 성별 및 성취정도별로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총 3,406명으로서, 청소년 1,331명과 성인 2,075명이었다. 질문지는 연구자에 의해 제작되었으며, 자료는 2004년 4월-6월에 수집되었다. 분석 결과, 첫째, 종합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서, 청소년은 자기조절, 학업성취, 원만한 인간관계가, 성인은 경제적 요인, 자기조절, 화목한 가정이 중요하였다. 둘째, 청소년과 성인은 삶의 질 수준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청소년이 성인보다 가정생활과 여가생활 및 종합적인 삶의 질을 더욱 높은 것으로 지각하였다. 셋째, 성별로는 여가생활에서만 차이가 있었는데, 남자가 여자보다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이 더 높다고 인식하였다. 넷째, 성취정도별로는 높은 성취를 하는 사람일수록 삶의 질을 높게 지각하였다. 마지막으로, 가정생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청소년과 성인 모두 화목한 가족관계, 경제적 여유를 대표적으로 지적했다. 청소년의 학교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는 친구관계, 학업성취였다. 성인의 직장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중요한 요소는 남녀 모두 원만한 인간관계를 대표적으로 지적했다. 직장생활성취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성취 상집단은 성취감을, 중집단은 원만한 인간관계를, 하집단은 경제적 요인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였다. 여가생활에서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로, 청소년은 다양한 취미생활을, 성인은 경제적 여유를 가장 많이 지각하였다.

keywords
Quality of life, indigenous psychology, family life, school life, work setting, leisure setting, human relationship, harmonious family, self-regulation, 삶의 질, 토착심리,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장생활, 여가생활. 인간관계, 화목한 가정, 자기 조절

Abstract

This article examines factors that influence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t home, school, work and leisure settings. Using the indigenous psychological approach, a total of 3,406 participants (1,331 adolescents 2,075 adults) completed an open-end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the present authors. First, for the overall quality of life, factors that raise quality of life for adolescents are self-regulation, academic achievement, and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For adults, they are financial security, self-regulation, and harmonious family life. Second, adolescents report higher levels of the overall quality of life and also for the quality of life at home and leisure settings than adults. Third, males respondents report higher quality of life at leisure settings than female respondents. Fourth, those respondents with higher levels of achievement report higher quality of life. Within the home setting,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for both adolescents and adults are harmonious family relationships and financial security. Within the school setting, factors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re relationship with friends and academic achievement. Within the work sett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is harmoniousinterpersonal relationships. With the adult sample, those respondents with a high level of achievement report their occupational achievement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at influence quality of life at work. Those respondents with moderate level of achievement report harmonious interpersonal relations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Those respondents with low levels of achievement report financial security the most important factor. As for the leisure setting, adolescents report personal hobbies and adults report financial security as being the most important factor.

keywords
Quality of life, indigenous psychology, family life, school life, work setting, leisure setting, human relationship, harmonious family, self-regulation, 삶의 질, 토착심리, 가정생활, 학교생활, 직장생활, 여가생활. 인간관계, 화목한 가정, 자기 조절

참고문헌

1.

(2004) 한국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 모형 개발: 자존심의 매개효과 검증.,

2.

(2004) 한국 노인의 신체건강과 주관안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

3.

(2003) 한국 성인의 행복한 삶의 구성요인 탐색 및 척도 개발,

4.

(2003) 한국인의 행복 현주소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중심으로,

5.

(2003) 한국 남녀의 삶의 질 차이에 관한 연구 ,

6.

(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7.

(2002) 대학생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삶'의 구성요소 탐색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분석 ,

8.

(2000181-204) 청소년과 성인간의 세대차이와 유사성,

9.

(1999) IMF시대가 한국인의 스트레스에 미친 영향: 토착심리학적 접근,

10.

(2001) IMF시대 한국 학생과 성인의 스트레스와 대처양식 및 생활만족도에 대한 연구 사회적 지원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11.

(2004) 청소년과 부모의 인간관계를 통해 본 신뢰의식: 토착심리학적 접근. ,

12.

(2004) 한국에 대한 사회적 표상과 신뢰 청소년과 성인의 지각을 통해 본 토착심리 분석,

13.

(2003) 한국 중학생, 대학생, 성인의 미국에 대한 인식: 반미감정의 심리 사회 문화적 토대 탐색.,

14.

(2004) 대학생의 한국사회 삶의 질에 대한 지각 :토착심리학적 접근,

15.

(2001) 한국인에 대한 토착심리학적 접근의 함의: 자기, 성취, 스트레스, 안전의식을 중심으로.,

16.

(1999) 실패와 미래성취에 대한 의식: 토착심리학적 접근., 한국교육학회

17.

(20011997) 자기효능감과 삶의 질: 교육 건강 운동 조직에서의 성취., 교육과학사

18.

(2002) 한국 사회의 교육적 성취: 현상과 심리적 기반, 한국교육심리학회

19.

(2004a) 한국인의 부모자녀관계: 자기개념과 가족역할 인식의 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20.

(2004b) 한국의 청소년 문화와 부모자녀관계: 토착심리 탐구, 교육과학사

21.

(2004c) 청소년의 인간관계와 일탈행동: 부모자녀관계, 친구관계, 교사학생관계를 중심으로.,

22.

(2002) IMF시대 이후 초, 중, 고, 대학생과 부모의 스트레스 경험과 대처양식 및 사회적 지원: 토착심리학적 분석.,

23.

(2002) 부모의 사회적 지원 청소년의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 변화에 대한 종단자료 분석과 생활만족도 형성에 대한 구조적 관계 분석 , 한국교육심리학회

24.

(2000) 초 중 고등학생의 생활만족도 차이와 형성 및 영향,

25.

(2002) IMF시대 이후 한국 학생과 성인의 성공에 대한 의식 토착심리학적 분석,

26.

(2004) 한국 일탈 청소년의 토착심리 탐구 보호관찰 청소년과 일반 청소년의 부모자녀관계에 대한 비교를 중심으로,

27.

(2003) 노인의 생활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에 대한 탐색,

28.

(2000) 투표에서의 연고주의 집단주의 경향성과의 관계 및 기저 동기,

29.

(1994) 연고주의가 한국 사회의 발전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과 이에 대한 대안의 모색,

30.

(2003) 한국인 이해의 개념틀, 나남출판

31.

(2004년7월16일자) 한국 '삶의 질' 세계 28위,

32.

(2000) 한국인 심리학, 중앙대학교 출판부

33.

한덕웅, (1994) 한국 사회문제에 대한 국민의 지각,

34.

(2003) 한국유학심리학, 시그마프레스

35.

(2000) 한국 사회에서 사회문제의 지속과 변화,

36.

(2003) 한국인의 인생관으로 본 가치관 변화: 30년간 비교.,

37.

(1997) Self-efficacy:The exercise of control, Freeman

38.

(1984) Subjective well-being,

39.

(2000185-218) Money and happiness: Income and subjective well-being across nations, The MIT Press.

40.

(2000) Culture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IT Press

41.

(2000) Perceived control and subjective well-being across nations and across the life span , The MIT Press

42.

(1999) After the "crisis" in social psychology: The development of the transactional model of science. ,

43.

(2001) Chapter 8. Ethnography of Korean people and culture, Kyoyookkwahaksa.

44.

(2003) Science, religion, philosophy, and culture: Psychological analysis of western, islamic, and east asian world views., Fagbokforlaget.

45.

(1993) Research and experience in cultural context, Sage Publications

46.

(2000) Confucianism and family values: Their impact of educational achievement in Korea.,

47.

(2003) Chapter 9. An indigenous analysis of success attribution: Comparison of Korean students and adults., Greenwood Publisher.

48.

(2004a)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the relational self in East Asia A challenge to Western conceptualizations of child development and attachment,

49.

(2004b) Indigenous psychologies., Elsevier Academic Press

50.

(1999) The Korean indigenous psychology approach: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 applications.,

51.

(2000) The pursuit of happiness and the realization of sympathy: Cultural patterns of self, social relations, and well-being. , The MIT Press.

52.

(2000) Age and sex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across cutures, The MIT Press.

53.

(2004) Well-being., Elsevier Academic Press

54.

(2002) Parent-child relationship and subjective well-being: Redefining human agency and meaning systems.,

55.

(2003)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Korean adolescents and adults With specific focus on the indigenous analysis of parent-child relationship ,

56.

(2004) Paths to academic achievement, delinquency and life-satisfaction: Longitudinal analysis of influences of psychological, relational and cultural factors.,

57.

(2004) The basis and evolution of trust in relational cultures: Psychological, indigenous, and cultural analysis.,

58.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 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 well-being,

59.

(1995) The structure of psychological wepp-being revisited ,

60.

(2000) Measuring subjective well-being to compare the quality of life of cultures , The MIT Press

61.

Triandis, H. C. , (2000) Cultural syndrome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 MIT Press.

62.

(2001) 신뢰의 구조 동서양의 비교, 교육과학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