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집단 행동의 비판적 개관(Ⅱ): 집단간 관계 이론을 중심으로

A Critical Review of Current Theories in Group Processes and Intergroup Relations(II)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6, v.10 no.1, pp.39-84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집단 행동에 관한 집단간 이론들 가운데 다른 이론들과 비교 논의가 가능한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각 이론의 발전 가능성과 대안 이론들의 상대적 타당성을 검토함으로써 여러 이론들이 다양한 형태의 통합을 모색할 수 있는 방향도 모색하였다. 이 잡지의 지난 호에 실린 집단내 과정 이론들로는 집단에 적용된 추동이론, 사회비교이론, 자기제시이론, 자기주의이론이 포함되었다. 이 논문에서 집단간 과정 이론들로는 상대적 박탈이론들, 사회적 정체성이론 및 자기범주화이론, 그리고 집단간 관계를 다루는 귀인이론적 접근을 다루었다. 이 이론들 이외에 형평이론, 사회적 충격이론, 소수영향이론, 절차정의이론 등이 여러 이론들과의 관계에서 논의되었다. 전체 논의에서는 여러 집단 이론들의 위상을 정해줄 수 있는 이해의 틀이 모색되었으며, 한국 문화에서 서구의 집단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수용하는데 따르는 몇 가지 문제점들도 검토하였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critically review the major middle range theories in intergroup relations from 1980's. The intergroup theories included in this article are relative deprivation theories, social identity theory, self-categorization theory and attribution approaches to intergroup relations. In addition, equity theory, social impact theory, interdependence theory of social influence, minority influence theory and procedural justice theory among others are partly discussed in relation to the relevant theories. In order to obtain a comprehensive framework that systematize the intragroup and intergroup theories, a two-dimensional classification scheme is present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group relationships(intragroup, intergroup) and levels of analysis(individual, interpersonal and intergroup). It is emphasized that group researchers in Korea ought to take the relationship orientations of the Korean people into account in studying group behaviors and intergroup relation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