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미운정 고운정)의 심리적 구조, 행위 및 기능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Cheong(情), and Its Actions and Function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00, v.14 no.1, pp.203-222
최상진(Sang-Chin Choi)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김지영(Ji-Young Kim)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김기범(Kibum Kim)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초록

한국인들의 우리는 남에 대해 배타적인 우리이고, 가족같은 친근하고 끈끈한 관계이며, 마음으로 맺어진 관계이다. 이러한 우리성 관계를 형성하는 것은 정으로, 우리성과 정은 상호혼합관계로 정이 우리성이고 우리성에서 정이 느껴지는 불가분의 관계이다. 한국인들은 정이 깊이 든 관계를 '미운정 고운정 다 들었다'는 말로 표현한다. 또 한국 속담에 '정 각각 흉 각각'이라는 말도 있는데 이는 우리성 -정 관계에서 상대의 단점이나 나쁜 행동도 모두 수용할 수 있음을 말한다. 한국의 시어머니는 며느리에게 어려운 어른으로서 대접받기를 원하고 권위를 내세우며, 이로 인해 며느리는 불만을 느끼고 자연, 시어머니와 며느리 사이에는 갈등과 싸움이 잦다. 그러나 이들은 해어질 수 없는 불가분 관계, 당위적 우리성 관계로 묶여 수 십 년을 같이 살면서 한 가족이라는 공동운명체 의식을 공유하고 외부의 어려움이나 남으로부터 당하는 피해를 공동으로 대처하게 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고부간에는 갈등과 화해, 우리편 아껴주기의 정을 자신도 모르게, 무의식적으로 쌓게 되고 오랜 세월이 흐른 뒤 '미운정 고운정 다 들었다'는 회고적 감정을 느낄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정이 가지는 심리적 속성과 특성을 파악하기 위해서 미운정 고운정을 바탕으로 한 정의 구성요인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정의 표현행위와 기능간의 구조적 관계성을 알아보았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정과 정의 표현행위 및 정 표현행위와 그 기능간에는 모두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정이 든다'함은 아껴주는 마음을 담은 행위 등을 수반하게 되고 그러한 행위는 든든하고 의지가 되는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keywords

Abstract

According to past scholars and researchers the concept and phenomena of Cheong(情) is the most unique characteristics of Koreans interpersonal relationship. Past studies have examined the positive and simplistic aspects of Cheong(情), which is defined as uncalculating, self-sacrificing and unconditional support for a long period of time within we-ness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further examine the complex and dynamic concept, expressive behaviours of Cheong, and function of Cheong within the we-ness interpersonal relationship. More specifically, the focus of this present paper is to examine the psychological dynamics of ko-un(sweet) and mi-un(hateful) Cheong. According to results by lisrel, Cheong has significant effects on expressive behaviors and the expressive behaviors of Cheong also has significant effect on function of Cheong.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