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소년범의 피학대 경험과 문제행동의 관계에서 정신질환의 매개효과

Juvenile’s problematic behavior followed by abused experience: Influence of mental illnes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7, v.31 no.1, pp.79-95
https://doi.org/10.21193/kjspp.2017.31.1.005
조보아 (경기대학교)
이수정 (경기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청소년 비행에 있어서 가정환경과 정신질환이 가지는 높은 영향력은 선행연구들을 통해 많이 알려져 있으며 강조되어왔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소년범을 대상으로 하여 피학대 경험에 따른 문제행동에 있어서 정신질환의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임시퇴원 심사 대상자 신청서에 기록되어 있는 소년원생 중 1년 이상 2년 이내의 장기 소년원 송치 처분인 10호 처분을 받은 264명의 자료를 기반으로 하여 평정자들을 통해 피학대 경험의 유, 무 집단으로 분류하였다. 이후 집단을 기반으로 소년원 내, 외의 문제행동 및 정신질환 유무에 대한 차이를 검증하고 정신질환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피학대 경험이 있는 집단은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유의미하게 높은 총 수용기간, 벌점, 근신일수를 나타내었으며 낮은 교정성적, 상점을 나타내었다. 또한 피학대 경험이 있는 집단에서 더 높은 정신질환보유율을 나타내었다. 정신질환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실시한 결과, 정신질환이 피학대 경험과 총 수용기간, 상점, 벌점, 동종비행전력으로 구성된 문제행동 간의 관계에 대해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분적으로 검증되었던 피학대 경험과 정신질환, 문제행동의 관계를 하나의 모형으로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소년범의 문제행동 감소를 위해 가정환경과 정신질환을 고려한 처우가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keywords
피학대 소년범, 피학대 경험, 문제행동, 정신질환, 경로분석, Abused juvenile inmates, Abused experience, Problem behavior, Mental illness, Path analysis

Abstract

Family background and mental illness have been identified and emphasized as a risk factor for delinquency in previous studies.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mediating effect of mental illness between history of abuse and problematic behavior in juvenile criminal. The subjects were 264 inmates who have applied for conditional release and they divid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abuse experience.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group t-test were conducted to identify difference in mental illness and problematic behavior between abuse history and non-abuse history groups, and path analysis was performed to demonstrate mediating effect of mental illness.The result revealed that juvenile inmates with abuse experience tended to have more penalty point, longer probation and detention period, less correction score and bonus point, and showed more mental illness symptom. Moreover, mental illness worked as mediator between abuse experience and problematic behavior, which included detention period, bonus point, penalty point and similar type of criminal record.

keywords
피학대 소년범, 피학대 경험, 문제행동, 정신질환, 경로분석, Abused juvenile inmates, Abused experience, Problem behavior, Mental illness, Path analysis

참고문헌

1.

곽영숙, 이혜숙 (2006). 가출청소년에서 학대력과 정신병리와의 관계. 소아청소년정신의학, 17(2), 149-162.

2.

김재엽 (1998). 연구논문/한국 가정의 미성년 자녀폭력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복지학, 6(단일호), 41-64.

3.

김재엽, 이지현, 정윤경 (2008). 청소년들의 가정폭력노출경험이 학교폭력가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학교폭력에 대한 태도의 매개효과. 한국아동복지학, 26(단일호), 31-59.

4.

김혜영 (2000). 초기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이 심리사회적 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사회복지학회 2000년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205-223.

5.

박소은 (2009). 비행청소년의 정신장애 성향과 폭력범죄와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소년분류심사원에 위탁 수용된 비행청소년을 중심으로.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6.

법무연수원. (2015). 범죄백서.

7.

여성가족부. (2015). 청소년 백서.

8.

이명진, 조주연, 최문경 (2007). 부모의 아동학대가 청소년 비행에 미치는 영향. 사회연구, 14(2), 9-42.

9.

이혜지, 이수정, 윤희진 (2015). 가정폭력 피해 경험이 비행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9(2), 41-56.

10.

조윤오, 이유진 (2011). 소년원생의 출원 후 생활실태 및 욕구조사. 한국청소년개발원 연구보고서, 1-112

11.

통계청. (2016). 청소년 통계. 서울: 통계청.

12.

홍영오, 노성호, 이수정, 고려진 (2009). 소년범의 검사 결정전조사제도를 위한 위험성평가도구 개발연구. 형사정책연구원 연구총서, 19-335.

13.

Afifi, T. O., Brownridge, D. A., Cox, B. J., & Sareen, J. (2006). Physical punishment, childhood abuse and psychiatric disorders. Child abuse & neglect, 30, 1093-1103.

14.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DSM 5.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5.

Becker, S. P., & Kerig, P. K. (2011).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are associated with the frequency and severity of delinquency among detained boys. Journal of Clinical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40, 765-771.

16.

Brooker, C., Sirdifield, C., Blizard, R., Denney, D., & Pluck, G. (2012). Probation and mental illness. Journal of Forensic Psychiatry & Psychology, 23, 522-537.

17.

Brown, S. E. (1982).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buse and delinquency. Journal of Crime and Justice, 5, 47-51.

18.

Browne, M. W., & Cudeck, R. (1993). Alternative ways of assessing model fit. Sage focus editions, 154, 136-136.

19.

Colins, O., Vermeiren, R., Vahl, P., Markus, M., Broekaert, E., & Doreleijers, T. (2011). Psychiatric disorder in detained male adolescents as risk factor for serious recidivism.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56, 44-50.

20.

Colins, O., Vermeiren, R. R. J. M., Vahl, P., Markus, M., Broekaert, E., & Doreleijers, T. (2012). Parent-reported attention-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nd subtypes of conduct disorder as risk factor of recidivism in detained male adolescents. European Psychiatry, 27, 329-334.

21.

Dodge, K. A., Pettit, G. S., Bates, J. E., & Valente, E. (1995). Social information-processing patterns partially mediate the effect of early physical abuse on later conduct problem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4, 632-643.

22.

Fergusson, D. M., & Lynskey, M. T. (1997). Physical punishment/maltreatment during childhood and adjustment in young adulthood. Child abuse & neglect, 21, 617-630.

23.

Hildyard, K. L., & Wolfe, D. A. (2002). Child neglect: Developmental issues and outcomes. Child abuse & neglect, 26, 679-695.

24.

Holmes, S. E., Slaughter, J. R., & Kashani, J. (2001). Risk factors in childhood that lead to the development of conduct disorder and antisocial personality disorder. Child psychiatry and human development, 31, 183-193.

25.

Jaffe, P. G., Hurley, D. J., & Wolfe, D. (1990). Children's observations of violence: Critical issues in child development and intervention planning. Canadian Journal of Community Mental Health, 35, 466-470.

26.

James, D. J., & Glaze, L. E. (2006). Highlights mental health problems of prison and jail inmates. Mental Health Weekly, 16, 1-7

27.

Landis, J. R., & Koch, G. G. (1977). The measurement of observer agreement for categorical data. biometrics, 33, 159-174.

28.

McReynolds, L. S., Schwalbe, C. S., & Wasserman, G. A. (2010). The contribution of psychiatric disorder to juvenile recidivism. Criminal Justice and Behavior, 37, 204-216.

29.

O'Keefe, M. (1996). The differential effects of family violence on adolescent adjustment. Child and Adolescent Social Work Journal, 13, 51-68.

30.

Skrondal, A., & Rabe-Hesketh, S. (2005).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Categorical variables. NY: John Wiley & Sons.

31.

Vermeiren, R., Schwab-Stone, M., Ruchkin, V., De Clippele, A., & Deboutte, D. (2002). Predicting recidivism in delinquent adolescents from psychological and psychiatric assessment. Comprehensive psychiatry, 43, 142-149.

32.

Widom, C. S., DuMont, K., & Czaja, S. J. (2007). A prospective investigation of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comorbidity in abused and neglected children grown up.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64, 49-56.

33.

Zingraff, M. T., Leiter, J., Myers, K. A., & Johnsen, M. C. (1993). Child maltreatment and youthful problem behavior. Criminology, 31, 173-202.

34.

정성호, ‘정신병력 가진 소년범 276, 상근 정신과 전문의는 0명’, 국회의원 보도자료, 2016.09.21. http://blog.naver.com/jsh35351/220818744792.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