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어판 자기개념과 정체성 척도 단축형 개발

Developing a Short Form of the Self-Concept and Identity Measure in Korea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23, v.37 no.2, pp.237-258
https://doi.org/10.21193/kjspp.2023.37.2.006
박선웅(Sun W. Park) (고려대학교)
김혜민(Hyemin Kim) (고려대학교)
이준배(Joonbae Lee) (고려대학교)
문현(Hyun Moon) (고려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Kaufman 등(2015)이 개발한 자기개념과 정체성 척도의 단축형을 개발하는 것이었다. 27문항으로 구성된 자기개념과 정체성 척도는 확고한 정체성, 교란된 정체성, 정체성 결여라는 세 가지 하위요인을 통해 정체성의 서로 다른 측면을 측정하기 위해 개발되었다. 최근 많은 연구에서 사용되고 있음에도 본 척도는 심리측정적 속성 면에서 문제가 있는 것으로 드러났고, 이에 문제가 있는 문항들을 삭제하여 12문항의 단축형 척도를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 연구를 통해 원본 척도와 단축형 척도의 모형 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또, 임종민 등(2022)이 제시한 2요인 모형과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단축형 3요인 모형 간 모형 적합도도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단축형 3요인 척도는 우수한 모형 적합도를 나타내었다. 또, 세 개의 하위요인은 심리적 웰빙, 삶의 만족, 정체성 발달의 여러 차원, 우울, 성격 장애 등의 변인과 이론적으로 예측되는 방향으로 상관이 나타났다.

keywords
정체성, 자기정체성, 정체성 발달, 자기개념과 정체성 척도, 정체성 발달의 다차원 척도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hort form of the Self-Concept and Identity Measure (Kaufman et al., 2015). The 27-item Self-Concept and Identity Measure was developed to assess different aspects of identity through three subscales: Consolidated Identity, Disturbed Identity, and Lack of Identity. However, despite being used in many recent studies, the scale has been found to have problematic psychometric properties, and we decided to create a 12-item shortened scale by deleting problematic items. In three studies, we compared the model fit of the original scale and the shortened scale, and also compared the model fit between the two-factor model proposed by Lim et al. (2022) and the shortened three-factor model proposed in this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hortened three-factor scale had good model fit, and the three subscales correlated with variables such as psychological well-being, life satisfaction, dimensions of identity development, depression, and personality disorders in the direction predicted by theory.

keywords
identity, self-identity, identity development, Self-Concept and Identity Measure, Dimensions of Identity Development Scale
투고일Submission Date
2023-04-13
수정일Revised Date
2023-05-10
게재확정일Accepted Date
2023-05-10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