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최소 집단 상황에서의 집단구분과 집단간 차별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Social Categorization and Group Discrimination on Self-Esteem in the Minimal Group Situation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1, v.6 no.1, pp.47-57
이종숙(Jong-Sook Lee) (덕성여대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최소집단 상황에서 집단간 차별과 자아존중감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수행되었다. 많은 연구 결과에 의하면 무선적으로나 혹은 아주 사소한 기준에 의해서 집단으로 구분하면 피험자들은 집단의 이익을 위해서 경쟁적으로 행동하며 내집단을 선호하는 결정을 내린다는 것이 증명되었다. Tajfel의 사회정체감 가설에 의하면 집단간 차별을 하는 것은 피험자들이 자신을 자신이 속한 집단과 동일시하고 외집단과 비교하여 내집단이 더 우수하다는 결정을 함으로써 자신의 자아존중감을 높이려 하는 전략이라고 설명한다. 본 연구의 가설은 집단구분을 하면 사람들은 집단간 차별을 하는가와 집단구분과 집단간 차별은 자아존중감에 어떤 영향을 주며, 다양한 집단간 분배 유형은 자아존중감에서 다른가이다. 연구의 결과 사람들은 집단 구분을 하면 집단간 차별을 하며 집단구분은 자아존중감을 낮추며 집단간 차별은 손상된 자아존중감을 회복시킨다. 그러나 집단간 차별 뿐만 아니라 공평한 분배도 자아존중감을 회복시켜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자아존중감이 높아지는 것은 자신과 남을 스스로 비교할 수 있다는 통제감에 의해 일어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keywords

Abstract

This experiment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ergroup discrimination and self-esteem in the minimal group situation. It has been demonstrated repeatedly that when subjects were merely categorized into groups and asked to distribute some values to others in the groups, they discriminated competitively in favor of their own group and strived for their own group's profit even though the criterion for the categorization was very trivial or random. Tajfel in the Social Identity Theory contends that the intergroup discrimination is a strategy for achieving self-esteem via social competition. When categorized, the subjects identify themselves with their own group, compare the ingroup with the outgroup and attempt to establish relative superior status of the ingroup to the outgroup. Thus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test hypotheses whether the categorization into groups makes subjects discriminate in fovor of their own group, whether the categorization or the discrimination affects self-esteem, and whether various types of distributions, (either discriminatory or fair and either voluntary or forced) also affect self-esteem. The result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when categorized, subjects discriminated in intergroup distributions, and that categorization deteriorated self-esteem and discrimination increased the deteriorated self-esteem. In addition, all types of distributions, discriminatory as well as fair and voluntary as well as forced, increased self-esteem compared to the categorization without distribu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social comparison and evaluation performed by oneself provides one internal locus of control and high self-esteem.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