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K-MBSR) 프로그램이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경험회피 및 수치심에 미치는 효과

The Effects of the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K-MBSR) Program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Symptoms, Experiential Avoidance, and Shame in North Korean Defector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1, v.16 no.3, pp.469-482
https://doi.org/10.17315/kjhp.2011.16.3.003
최현옥 (전북대학교)
손정락 (전북대학교)

초록

북한이탈주민을 대상으로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K-MBSR)이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경험회피 및 수치심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았다. 사전조사에서 탈북자 외상척도, 수용행동능력척도, 사고억제척도 및 개인느낌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탈북자 외상척도의 하위척도 중 외상증상척도에서 DSM-Ⅳ 진단준거에 부합되고, 수용행동능력척도, 사고억제척도 및 개인느낌질문지 척도에서 절단점 이상의 점수를 받은 사람들 가운데 13명을 K-MBSR 치료집단에 6명, 통제집단에 7명을 할당하였다. 그 후 치료집단에 대해 총 8회기에 걸쳐 K-MBSR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종료 후 사후 검사가 실시되었고, 4주 후 추적 검사가 이루어졌다. 그 결과, K-MBSR 프로그램에 참여한 북한이탈주민집단이 통제집단에 비해 경험회피의 한 수준인 수용행동능력이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그러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인 재경험 증상, 회피ㆍ마비 증상, 과각성 증상과 경험회피의 다른 수준인 사고억제 및 수치심에서는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경험회피, 수치심,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K-MBSR) program, North Korean Defect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experiential avoidance, shame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effect of the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K-MBSR) program on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experiential avoidance, and shame in North Korean Defectors. Trauma Scale for North Korean Refugee(TSNKR),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aire(AAQ), White Bear Thought Suppression(WBTS), and Personal Feeling Questionnaire-2(PFQ-2) was used for selecting in pre-treatment. Thirteen peoples that had met DSM-Ⅳ criteria for PTSD in PTSD symptoms of TSNKR's subscale, and had got more than cut-off score in AAQ, WBTS, and PFQ-2 was randomly assigned to 6 in the 8-weeks K-MBSR program group and 7 in wait-list control group. The K-MBSR program for 6 peoples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Baseline, post-treatment and 4 weeks follow-up measures of PTSD symptoms, experiential avoidance and shame were completed.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that acceptance and action ability of experiential avoidance in the K-MBSR program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more than those in the wait-list control group.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reexperiencing, avoidance-numbing, and hyperarousal symptoms of PTSD, thought suppression of experiential avoidance and shame.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형 마음챙김에 기반한 스트레스 감소 프로그램, 북한이탈주민,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경험회피, 수치심, Korean Mindfulness-Based Stress Reduction(K-MBSR) program, North Korean Defector,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PTSD) symptoms, experiential avoidance, shame

참고문헌

1.

강성록 (2000). 탈북자의 외상척도 개발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김미리혜, 김정호, 한진숙 (2004). 마음챙김 명상이 과민성대장증후군 환자들의 증상과 심리적 특성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1041-1060.

3.

김수진 (2003). 마음챙김 명상이 측두하악장애 환자들의 통증과 기능장애의 감소에 미치는 효과.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박철옥 (2007). 새터민의 대인관계적 외상경험, 용서, 경험회피와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간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서주연 (2006). 북한이탈주민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와 남한사회 적응에 관한 탐색적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심종온 (1999). 수치심 경향성, 죄책감 경향성 및 사건 귀인이 우울증상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오유진 (2006). 새터민의 외상경험과 수치심에 따른 외상후 스트레스. 전남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용홍출 (2007). 마음챙김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의 효과: 장애아동 어머니의 심리적 특성 변화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9.

이용승 (2000). 강박사고 억제의 역설적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이정은 (2004). 생활 스트레스, 걱정에 대한 신념 및 경험적 회피가 일반화된 불안증상에 미치는 효과. 한림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1.

임성견 (2006). 마음챙김 명상이 월경 전 증후군에 미치는 효과: 월경 전기증상과 불안, 우울을 중심으로.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임영선 (2005). 한국사회 적응을 어렵게 하는 북한적 특성 6가지. 북한, 11, 184-187.

13.

장현갑 (2004). 스트레스 관련 질병 치료에 대한 명상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2), 471-492.

14.

장현갑 (2007). 마음챙김: 나의 마음을 경영하는 위대한 지혜. 서울: 미다스북스.

15.

전철은, 현명호 (2003). 심리적 피학대 여성의 수치심, 죄책감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4), 763-776.

16.

최영희, 김대호 (2004).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의 심리적 치료. 대한불안장애학회 2004년도 재난과정신건강 학술대회 논문집, 259-279.

17.

한성열, 이종한, 금명자, 채정민, 이영이 (2007). 남한주민과 북한이탈주민의 대인관계와 문화적응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3(2), 33-54.

18.

허성호, 박은미, 정태연 (2008). 탈북자의 C-PTSD 주된 증상 및 회피성향 개선요소.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74-175.

19.

홍창형, 유정자, 조영아, 엄진섭, 구현지, 서승원, 안은미, 민성길, 전우택 (2006). 북한 이탈주민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3년 추적연구. 신경정신의학, 45(1), 49-56.

20.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1994).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of mental disorders(4th ed.). Washington, DC: Author.

21.

Brooks, J. S. & Scarano, T. (1985). Transcendental Meditation in the treatment of the post-Vietnam adjustment.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64(3), 212-215.

22.

Brown, K. W. & Ryan, R. M. (2003). The benefits of being present: Mindfulness and its role in psychological 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4), 822-848.

23.

Forsyth, J. P., Parker, J. D., & Finlay, C. G. (2003). Anxiety sensitivity, controllability, and experiential avoidance and their relation to drug of choice and addiction severity in a residential sample of substance-abusing veterans. Addictive Behaviors, 28(5), 851-871.

24.

http://www.unikorea.go.kr/kr/CMSF/CMSFBsub.jsp?topmenu=6&menu=3&sub=3

25.

Janoff-Bulman, R. (1992). Shattered assumption: Towards a new psychology of trauma. New York: The Free Press.

26.

Kabat-Zinn, J. (1982). An outpatient program in behavioral medicine for chronic pain paatients based on the practice of mindfulness meditation. General Hospital Psychiatry, 4, 33-47.

27.

Kabat-Zinn, J. (2005). 마음챙김 명상과 자기치유 상,하. (장현갑, 김교헌 역). 서울: 학지사. (원전은 1990에 출판)

28.

Kashdan, T. B., Barrios, V., Forsyth, J. P., & Steger, M. F. (2006). Experimental avoidance as a generalized psychological vulnerability: Comparison with coping and emotion regulation strategies.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44(9), 1301-1320.

29.

Schwarz, E. D. & Kowalski, J. M. (1992). Malignant memories: Reluctance to utilize mental health services after a disaster. Journal of Nervous and Mental Disease, 180, 767-772.

30.

Sharkansky, E. J., King, D. W., King, L. A., Wolfe, J., Erickson, D. J., & Stokes, L. R. (2000). Coping with Gulf War combat stress: Mediating and moderating effect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9, 188-197.

31.

Street, A. E. & Arias, I. (2001). Psychological abuse and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in battered woman: Examing the roles of shame and guilt. Violence and Victims, 16, 65-78.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