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HIV 감염인의 우울과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Depression among HIV-infected People and Social Support on Quality of Life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3, v.18 no.2, pp.363-378
https://doi.org/10.17315/kjhp.2013.18.2.007
임세아 (삼육대학교 간호학과)
김일옥 (삼육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HIV 감염인의 일반적 특성과 우울, 사회적 지지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것이다. 자료 수집은 2012년 7월 1일부터 2012년 8월 31일까지 질병관리본부에서 시행하고 있는 의료기관 감염인 상담 사업에 참여하는 14개 기관 중 사업 책임자의 연구 승낙이 이루어진 11개 의료기관에서 시행되었다. 상담을 받고 있는 HIV 감염인에게 연구 목적을 설명하고 이에 동의한 경우에 서면 동의서를 받은 후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총 155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경제수준이 낮고 기혼일 때 우울정도가 높게 나타났고, 연령이 낮고 경제수준이 높을수록, 동거인이 있는 경우에 사회적 지지 정도가 높았으며, 경제수준이 높고 직업이 있는 경우, 여자보다는 남자가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HIV 감염인은 우울정도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낮았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삶의 질이 높게 나타났다. HIV 감염인의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보면 통제변수인 성별, 연령, 교육수준, 경제수준, 직업유무, 감염기간은 삶의 질을 14.8% 설명하였고(F=3.65, p<.01), 우울을 추가시켰을 때는 38.9%를 설명(F=11.64, p<.001)하였으며, 사회적 지지를 추가시켰을 때는 47.8%의 설명력(F=14.73, p<.001)을 보였다. HIV 감염자라는 낙인과 차별로 자존감이 저하되어 사회적 지지가 매우 중요하였고, 우울이 삶의 질에 큰 영향을 미치므로 다양한 지지체계의 질적·양적 향상을 위한 국가와 사회의 지원과 중재가 요구된다.

keywords
HIV-infected people, depression, social support, quality of life, HIV 감염인, 우울, 사회적 지지, 삶의 질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urvey the effect of general characteristics, depression and social support of HIV- infected people to their quality of life. To achieve the purpose, 11 medical institutions were selected out of 14 institutions participating in a consultation project for HIV-infected people, which is part of a program conducted by th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from July 1, 2012 to August 31, 2012. Under the approval of the people in charge of the institutions, a total of 155 HIV-infected people receiving medical consultations in said institutions responded to the survey after listening to the explanation of the objective of this study as well as providing written consent for the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Regarding the correlation withi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quality of life among the HIV-infected people, the quality of life was lower when the degree of depression was higher, and the quality of life was higher when social support was higher. Looking into the influence factors affecting the quality of life of HIV-infected people, sex, age, educational level, economic level and infectious period explain 14.8% of the quality of life(F=3.65, p<.01), 38.9%(F=11.64, p<.001) when the factor of depression was added and 47.8%(F=14.73, p<.001) when the factor of social support was included. Social support was very important for HIV-infected people, who usually have lower self-esteem due to negative social marking, in addition depression was also a significant factor in their quality of life. In conclusion, it is essential to prepare various social support systems in order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HIV-infected people.

keywords
HIV-infected people, depression, social support, quality of life, HIV 감염인, 우울, 사회적 지지, 삶의 질

참고문헌

1.

강병철(2002). HIV/AIDS 감염인의 질병 적응에 영향을미치는 요인.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

강옥경(2001). 정신장애인의 주관적 삶의 질에 영향을미치는 사회 환경요인: 지역사회 정신보건서비스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강현숙(1984). 재활강화교육이 편마비환자의 자가간호수행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실험적 연구.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

경북대학교·질병관리본부(2011). K-WHOQOL-HIV BREF. 질병관리본부.

5.

권석만, 김선영, 이주실, 고운영(2001). 한국 남성 HIV감염자의 정신건강상태 및 관련요인.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0(1), 219-228.

6.

권윤형(2009). HIV 감염인의 자살생각과 결정요인. 충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7.

권윤희, 김정남, 곽오계(2011). 맞춤형 방문건강 관리대상 노인의 우울 및 삶의 질 영향 요인.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2(3), 262-271.

8.

김은영, 이명선(2000). HIV 감염자의 생활경험에 관한현상학적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2(4),497-506.

9.

김현철, 김세주, 최낙경, 김영신, 이병철, 이병철, 이만홍 (2002). 뇌졸중 후 삶의 질에 관한 추적연구.대한신경과학회지, 14(4), 681-692.

10.

림금란, 김희경, 안정선(2011). 여성독거노인의 우울과삶의 질과의 관계: 사회적지지, 사회적 활동의조절효과와 매개효과. 한국노년학회지, 31(1),33-47.

11.

박용순, 송진영(2012). 만성질환 남성노인의 우울감과삶의 만족도 간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한국사회복지교육, 17, 79-96.

12.

손애리, 문정선, 박지은, 천성수, 고승덕(2007). 서울시중·고등학생의 에이즈 지식과 차별태도. 보건과사회과학, 21, 25-49.

13.

신승배(2011). HIV 감염인 및 AIDS환자의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보건 사회연구,3(4), 424-453.

14.

이 철, 강문원, 김정진, 이창욱, 이수정, 백인호(2001).인간면역결핍바이러스(HIV) 양성 환자의 심리사회적 변인. 신경정신의학, 40(6), 1055-1061.

15.

이순희(1999). HIV/AIDS 환자의 삶의 질.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이익섭, 김동기, 엄태영(2007). 만성질환을 앓고 있는 의료급여 수급자의 자아존중감이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우울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17, 79-104.

17.

이지현(2005). HIV/AIDS 감염인 남성의 사회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전겸구, 권기덕, 김상기(1999). 한국판 CES-D 개정 연구: Ⅰ. 사회과학연구, 6(1), 429-451.

19.

질병관리본부(2009). 에이즈 감염인 편견 및 차별해소를위한 미디어 캠페인 평가 보고서. 질병관리본부: 서울.

20.

질병관리본부(2012). 2012 HIV/AIDS 관리지침. 질병관리본부: 서울.

21.

차동필(2004). 에이즈 문제에 대한 관여도 차원별 인식의 차이와 낙관적 편견에 관한 연구. 홍보학연구, 8(1), 137-160.

22.

태영숙(1985). 암환자가 지각한 사회적 지지와 우울과의관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23.

태영숙, 강은실, 이명화, 박금자(2001). 암환자가 지각한사회적지지, 희망과 삶의 질과의 관계. 재활간호학회지, 4(2), 219-231.

24.

Charles, B., Jeyaseelan, L., Pandian, A. K., Sam, A. E., Thenmozhi, M., & Jayaseelan, V. (2012). Association between stigma, depression and quality of life of people living with HIV/AIDS(PLHA) on South India- a community based cross sectional study. BMC Public Health, 12:463. 1-12. doi: 10.1186/1471-2458-12-463.

25.

Cobb, S.(1976). Social support as a moderation of life stress. Psychosomatic Medicine, 38(5), 621-627.

26.

Friedland, J., Renwick, R., & McColl, M. (1996). Coping and social support as determinants of quality of life in HIV/AIDS. AIDS Care. 8(1). 15-31.

27.

Lichtenstein, B., Laska, M. K., & Clair, J. M. (2002). Chronic sorrow in the HIV-positive patient: Issues of race, gender, and social support. AIDS patient care and Standards, 16(1), 27-38.

28.

Michael, L. C., Allyn, K. N., & Arthur, J. D. (2003). Self-reporte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persons with HIV infection; results from a multi-site interview project. Health and Quality of life Outcomes. 1(12). 1-6.

29.

Peirce, R. S., Frone, M. R., Russell, M., Cooper, M. L., & Mudar, P. (2000). A longitudinal model of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alcohol use. Health Psychology, 19(1), 28-38.

30.

Robert, H. (2008). Life expectancy of individuals on combination antiretroviral therapy in high-income countries; A collaborative analysis of 14 cohort studies. The Lancet. 372, 293-299.

31.

The United Nations Programme on HIV/AIDS: UNAIDS (2010). Global report: UNAIDS report on the global AIDS epidemic 2010.

32.

William, E. C., Stephen, C., Samuel, B., & Ron, D. H. (2005). The association of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with survival among persons with HIV infection in the United States. Journal of General International Medicine, 20(1), 1497-1525.

33.

Worawan, P., Joan, S. G., Erica, P., Norman, L. K., & James, L. R. (2009). Family relationships in people living with HIV in a city in the USA. AIDS Care 2009. 21(3) 384-388.

34.

World Health Organization(2002). Department of Mental Health and Substance Dependence. CH-1211 Geneva 27, Switzerland.

35.

Worthington, C., & Krentz, H. B. (2005). Socio-economic factor and health-related quality of life in adults living with HIV. International Journal of STD & AIDS, 16(9). 608-614.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