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PPT) Program on happiness, optimism, hopelessness and depression of the depression-prone adolescents. Four hundred seventy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SHS),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LOT-R), Beck Hopelessness Scale(BHS), Center for Epide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students who gained more 16 point score by CES-D and have lower SHS were screened. Twenty pati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10 in the PPT group and 10 in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completed SHS, LOT-R, BHS, and CES-D at pre-treatment, end of treatment, and at 6 weeks follow-up periods. PP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appiness and optimism of therapy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And the effects of happiness was maintained up to follow- up. But hopelessness and depression were not signicant difference between therapy group and waiting-list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고영건 (2009).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와 긍정 심리치료(positiv psychotherap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 (1), 155-168.
김경미 (2011). 감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근거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23(3), 739-759.
김희중 (2007). 긍정심리와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김윤정 (1999). 우울성향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박광배, 신민섭 (1991).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자살생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98-314.
박진아 (2001). 청소년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및 자기 효능감과 우울 간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고은 (2008). 청소년의 무망감과 학업성취 및 무망감우울증상과의 관계: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임상심리학회지,9(1), 1-19.
신현숙 (2005). 청소년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대처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12(3), 165-192.
이영호 (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 계: 공변량 구조모 형을 통한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임영진 (2010). 성격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청구논문.
임영진 (2012). 주요우울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긍정심리치료의 효과, 한국임상심리학 회, 31(3),679-692.
장옥란 (2006). 낙관성 증진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낙관성,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1(1), 65-76.
조성진, 전홍진, 김장규, 서동우, 김선욱, 함봉진, 서동혁, 정선주, 조맹제 (2002). 중․고등학 교 청소년의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의 유병률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신경정신과학회지, 41(6), 1142-1155.
채중민 (2008). 감사하기가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최유연, 손정락 (2012). 긍정 심리치료가 사회 공포증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낙관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7(3), 573-588.
통계청 (2011). 2011 청소년 통계. 서울: 통계청.
한국자살예방협회 (2011). 대한민국 자살현황 연간 보고서. 서울:한국자살예방협회.
하혜신 (2007). 남녀 청소년에 따른 부적응도식, 생활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상미, 이봉건 (2012). 긍정심리치료가 노인들의 우울감,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1(4), 971-992.
Abramson, L.Y., Seligman, M.E.P., and Teasdale, I. (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7, 49-59.
Carver, ., S., Scheier, M. F., & Segerstrom, S. (2010). Optimism. Clinical Psychology Re vi ew, 30, 879-889.
Garland, E. L., Fredricksonm B. L., Kring, A M., Johbson, D. P., Meyer, P. S., & Penn, D. L. (2010). Upward spirals of positive emotions counter downward spirals of negativity: Insights from the broaden-and-build theory and affective neuroscience on the treatment of emotion dysfunctions and deficits in psychopathology.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49-864.
Helton, W. S., Dember, W. N., Warm, J. S., & Matthews, G. (2000). Optimism, pessimism, and false failure feedback: Effects on vigilance performance. Current Psychology, 18(4), 311-326.
Joseph, S., & Wood, A. M. (2010). Assessment of positive functioning in clinical psychology: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30-838.
Kashdan, T. B., & Rottenberg, J. (2010). Psychological Flexibility as a fundamental aspect of health.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65-878.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 803-855.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The American Psychologist. 61. 774-788.
Seligman, M. E. P. (2008). 학습된 낙관주의. (최영호역). 서울: 21세기북스. (원전은 1998 에 출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