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Program on Happiness, Optimism, Hopelessness, and Depression of the Depression-prone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3, v.18 no.4, pp.669-685
https://doi.org/10.17315/kjhp.2013.18.4.005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PPT) Program on happiness, optimism, hopelessness and depression of the depression-prone adolescents. Four hundred seventy high school students completed the Subjective Happiness Scale(SHS), Revised Life Orientation Test(LOT-R), Beck Hopelessness Scale(BHS), Center for Epide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CES-D). The students who gained more 16 point score by CES-D and have lower SHS were screened. Twenty patients who selected by those scales were randomly assigned to 10 in the PPT group and 10 in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All participants completed SHS, LOT-R, BHS, and CES-D at pre-treatment, end of treatment, and at 6 weeks follow-up periods. PP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Happiness and optimism of therapy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more than those of the waiting-list control group. And the effects of happiness was maintained up to follow- up. But hopelessness and depression were not signicant difference between therapy group and waiting-list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행복감, 낙관성, 무망감, 우울, 긍정 심리치료, Happiness, Optimism, Hopelessness, Depression, Positive Psychotherapy(PPT)

Reference

1.

고영건 (2009).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와 긍정 심리치료(positiv psychotherap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 (1), 155-168.

2.

김경미 (2011). 감사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근거 이론을 적용하여. 한국심리학회지:상담 및 심리치료,23(3), 739-759.

3.

김희중 (2007). 긍정심리와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4.

김윤정 (1999). 우울성향이 청소년 문제행동에 미치는영향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

박광배, 신민섭 (1991). 고등학생의 지각된 스트레스와자살생각.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10(1), 298-314.

6.

박진아 (2001). 청소년의 지각된 사회적지지 및 자기 효능감과 우울 간의 관계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신고은 (2008). 청소년의 무망감과 학업성취 및 무망감우울증상과의 관계: 자기조절학습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신민섭, 박광배, 오경자, 김중술 (1990). 고등학생의 자살 성향에 관한 연구:우울-절망-자살간의 구조적 관계에 대한 분석. 한국임상심리학회지,9(1), 1-19.

9.

신현숙 (2005). 청소년의 낙관성 및 비관성과 심리적 적응의 관계에서 대처의 매개효과. 청소년학연구.12(3), 165-192.

10.

이영호 (1993). 귀인양식, 생활사건, 사건귀인 및 무망감과 우울의 관 계: 공변량 구조모 형을 통한분석.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임영진 (2010). 성격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 학위 청구논문.

12.

임영진 (2012). 주요우울장애 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긍정심리치료의 효과, 한국임상심리학 회, 31(3),679-692.

13.

장옥란 (2006). 낙관성 증진 집단상담이 중학생의 낙관성,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전겸구, 이민규 (1992). 한국판 CES-D 개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임상, 11(1), 65-76.

15.

조성진, 전홍진, 김장규, 서동우, 김선욱, 함봉진, 서동혁, 정선주, 조맹제 (2002). 중․고등학 교 청소년의 자살사고 및 자살시도의 유병률과 자살시도의 위험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신경정신과학회지, 41(6), 1142-1155.

16.

채중민 (2008). 감사하기가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최유연, 손정락 (2012). 긍정 심리치료가 사회 공포증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낙관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7(3), 573-588.

18.

통계청 (2011). 2011 청소년 통계. 서울: 통계청.

19.

한국자살예방협회 (2011). 대한민국 자살현황 연간 보고서. 서울:한국자살예방협회.

20.

하혜신 (2007). 남녀 청소년에 따른 부적응도식, 생활스트레스, 인지적 정서조절 전략과 우울과의 관계.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1.

한상미, 이봉건 (2012). 긍정심리치료가 노인들의 우울감, 생활만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임상, 31(4), 971-992.

22.

Abramson, L.Y., Seligman, M.E.P., and Teasdale, I. (1978). Learned helplessness in humans: Critique and reformulation.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87, 49-59.

23.

Carver, ., S., Scheier, M. F., & Segerstrom, S. (2010). Optimism. Clinical Psychology Re vi ew, 30, 879-889.

24.

Garland, E. L., Fredricksonm B. L., Kring, A M., Johbson, D. P., Meyer, P. S., & Penn, D. L. (2010). Upward spirals of positive emotions counter downward spirals of negativity: Insights from the broaden-and-build theory and affective neuroscience on the treatment of emotion dysfunctions and deficits in psychopathology.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49-864.

25.

Helton, W. S., Dember, W. N., Warm, J. S., & Matthews, G. (2000). Optimism, pessimism, and false failure feedback: Effects on vigilance performance. Current Psychology, 18(4), 311-326.

26.

Joseph, S., & Wood, A. M. (2010). Assessment of positive functioning in clinical psychology: theoretical and practical issues.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30-838.

27.

Kashdan, T. B., & Rottenberg, J. (2010). Psychological Flexibility as a fundamental aspect of health.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65-878.

28.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 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 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 Bulletin, 131, 803-855.

29.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The American Psychologist. 61. 774-788.

30.

Seligman, M. E. P. (2008). 학습된 낙관주의. (최영호역). 서울: 21세기북스. (원전은 1998 에 출판)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