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Optimism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4, v.19 no.1, pp.99-117
https://doi.org/10.17315/kjhp.2014.19.1.006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ositive Psychotherapy (PPT) on Depression, Self-Esteem, and Optimism of Adolescents with School Maladjustments. One hundred students fome the Mental Health Center located in the Chonbuk province complete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SAS),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Self-Esteem Scale (SES) and Children's Attribution Style Questionnaire (CASQ). Twenty selected pati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PP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evenly. The PP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School Adjustment Scale (SAS),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 Depression Scale (CES-D), Self-Esteem Scale (SES) and Children's Attribution Style Questionnaire (CASQ) at the pre-test, post-test, and at 4 weeks of follow-up period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or self-esteem, the optimism of therapy group was significantly more than the control group, and the depression from the therapy group was significantly less than the control group. Finally, the implication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together with, the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keywords
School Maladjustment, Depression, Self-Esteem, Optimism, Positive Psychotherapy, 학교부적응, 우울, 자아존중감, 낙관성, 긍정 심리치료

Reference

1.

강다해 (2012). 영화를 활용한 학교적응력 향상 집단 상담이 학교부적응 고등학생의 자아존중감,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

고영미 (2010). 긍정 심리학 기반의 행복 증진 집단상담프로그램이 아동의 행복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교육과학기술(2009). http://www.mest.co.kr

4.

김교헌 (2004). 한국 청소년의 우울과 자살.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0, 55-68.

5.

김근향 (2011). 정신과 입원환자의 적응기능 향상을 위한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의 효과. 고려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망규(2011).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청소년의자아존중감,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검증:감사, 칭찬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선하 (2007). 청소년 우울감소를 위한 대인관계 집단치료와 인지행동 집단치료의 효과 비교. 경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김순복 (2007). 낙관성 향상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자아탄력성과 학교생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서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김아영(2002). 학업동기척도표준화연구. 교육평가연구.

10.

김아영, 이명희 (2008). 청소년의 심리적 욕구만족, 우울경향, 학교생활적응 간의 관계구조와 학교급간차이. 한국교육심리학회, 22(2), 423-441.

11.

김옥주 (2003). 현실요법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여중생의 내외통제와자기존중감에 미치는영향. 대구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김유리 (2009). 감사성향이 안녕감과 우울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김은유 (2008). 학교부적응 문제를 보이는 초기청소년의집단미술치료 사례연구.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김이경 (2009). 청소년의 낙관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 논문.

15.

김인선 (2009). 집단미술치료가 학교부적응 아동의 학습동기와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인간중심미술치료를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김정희 (2009). 무용/동작치료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학교 부적응 청소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김주섭 (2000). 문제해결기술훈련과 심성수련훈련의 효과 비교: 학교폭력 가해자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김진영, 고영건 (2009). 긍정 임상심리학: 멘탈 휘트니스(mental fitness)와 긍정 심리치료(positive psychology).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 155-168.

19.

김태승 (2011). 긍정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고학년 학생의 시험불안 및 학습동기에 미치는 효과 검증: 초등학교 6학년 학생을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

김희중 (2007). 긍정심리와 주관적 행복감 및 학교생활적응과의 관계. 충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남궁희승 (1997). 분노조절 프로그램의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류소영 (1995). 비행청소년을 위한 분노 대처훈련 프로그램의 효과성에 관한 일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박노용 (1999). 낙관적인 사람이 인생에서 성공하는 이유. 오리진.

24.

박승희 (2006). 학교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연구: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대상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5.

박찬빈 (2010).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26.

백순복 (2011). 긍정심리적 집단상담의 효과 검증: 긍정심리 및 자아탄력성 특성 기준에 따른 학교생활적응력 및 대인관계능력 향상 효과를 중심으로.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16(4), 135-153.

27.

변귀연 (2004). 학교부적응 학생의 학교적응력향상을 위한 집단프로그램 개발 연구. 호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성미혜 (2011).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우울성향 초등학생의 우울,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적응에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송영경 (2006).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사회적지지 및학교적응.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신수나 (2003). 인지행동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초등학교 아동의 부적응행동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효과. 카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1.

양유진 (2008). 부모양육태도가 청소년 우울에 미치는영향: 회피 적 정서조절과 정서인식의 명확성을 매개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2.

여성가족부 (2010). 청소년백서. 여성가족부.

33.

유은영, 손정락 (2013). 긍정 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우울경향이 있는 청소년의 행복감, 낙관성, 무망감및 우울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8(4), 669-685.

34.

윤민희 (2013). 긍정심리치료 프로그램이 저소득층 한부모가정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낙관성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35.

윤영 (2009). 우울-비행 청소년의 역기능적 인지 도식, 비합리적 신념, 분노표현 양식의 특성.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6.

이용자 (2000). 집단 상담이 학습된 무기력 감소와 자기효능감 및 자기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이은경 (2010).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우울성향 및 우울과 자아존중감 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의 자아정체감 지위에 따른 탐색.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8.

이훈진, 원호택 (1995). 편집증적 경향, 자기개념, 자의식간의 관계에 대한 탐색적 연구.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77-290.

39.

임영식 (1997). 청소년 자살과 예방. 중앙대학교 사회과학 연구소, 10(1), 108-133.

40.

임영진 (2010). 성격 강점과 긍정 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1.

장옥란 (2006). 낙관성 증진 집단상담이 중 학생의 낙관성, 대인관계 및 학교적응 유연성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2.

정혜연 (2009). 청소년의 낙관성과 학교생활적응의 관계: 자기효능감과 스트레스 대체의 매개효과.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조맹제, 김계희 (1993). 주요 우울증환자 예비평가에서CES-D의 진단적 타당성 연구. 신경정신의학, 32, 381-399.

44.

조옥경(1999). 낙관적-비관적 성향과 고등학생의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신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5.

채중민 (2008). 감사하기가 행복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6.

최경애 (2007). REBT 집단 상담이 중학생의 학교적응력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아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7.

최유연, 손정락 (2012). 긍정 심리치료가 사회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불안, 낙관성 및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573-588.

48.

최정희 (2010). 집단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청소년의 공격성과 자기 통제력에 미치는 효과.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9.

최지원 (2010). 학교부적응청소년의 MMPI-A 특성과 학교생활적응수준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0.

한효정 (2011). 학교부적응 청소년을 위한 문학치료 프로그램이 학교적응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 경북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51.

황유경 (2003).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아동의 학교부적응 행동에 미치는 효과. 미술치료연구, 10(3), 379-407.

52.

America Psychiatric Associaition. (2000)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for mental disorders (4th edition Textbook Revised). Washington, DC: Author.

53.

Aspinwall, L. & Taylor, S. (1992). Modeling cognitive adaptation: A longitudinal investigation of the impact of individual differences and coping on college adjustment and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3, 989-998.

54.

Bemporad, J. R. (1988). Psychodynamic treatment of depressed adolescents. Journal of Clinical Psychiatry, 49, 26-31.

55.

Chiariello, M. A. & Orvaschel, H. (1995). Patterns of parent-child communication: Relationship to depression. Clinical Psychology Review, 15, 395-407.

56.

Coopersmith, S. (1967). The antecedents of selfesteem. San Francisco: W. H. Freeman.

57.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58.

Dums, J. E. & Nilsen, W. J. (2003). Abnormal child and adolescent psychology. New York: Allyn and Bacon.

59.

Erikson, E. H.(1980). Identity and the life cycle. New York: Norton.

60.

Harter, S. (1983). Developmental perspectives of self-esteem. In P. H. Mussen(Eds.),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4, 275-385.

61.

Puig-Antich, J. (1982). Major depression and conduct disorder in prepuberty.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Psychiatry, 21(2), 118-128.

62.

Peterson, C., Semmel, A., Baeyer, C., Abramson, L. Y., Metalsky, G. I., & Seligman, M. E. P. (1982). The Attributional Style Questionnaire.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6, 287-300.

63.

Rosenberg, M. (1965). Society and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 J.: Princeton University Press.

64.

Scheier, M. F., Carver, C. S., & Breidges,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oroticism(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 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 1063-1078.

65.

Seligman, M. E. P. & Csikzentmihalyi, M. (2000). Positive psychology: A introduction. American Psychologist, 35, 5-14.

66.

Seligman, M. E. P. (1991). Learned optimism. New York: Knopf.

67.

Seligman, M. E. P. (1996). 낙관성 훈련. [Learned optimism]. (박노용, 김혜성 역). 서울: 오리진. (원전은 1990에 출판)

68.

Seligman, M. E. P. (2002). Authentic happiness:Using the new positive psychology to realize your potential for lasting fulfillment. New York: Free Press.

69.

Seligman, M. E. P. (2002).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prevention, and positive therapy. In. C. R. Snyder & S. J. Lopez (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therapy. (pp. 3-9).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70.

Seligman, M. E. P., Rashid, T., & Parks, A. C. (2006). Positive psychotherapy. American Psychologist, 61(8), 774-788.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