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Effects of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Technique on Well-Being and Stress in Female Freshme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5, v.20 no.1, pp.69-89
https://doi.org/10.17315/kjhp.2015.20.1.005



Abstrac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ell-Being Cognition List on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y, well-being, and stress management. The participants consisted of 40 freshmen at a women's university in Seoul, who were all randomly assigned to either a well-being cognition group (n=20) or a waitlist control group (n=20). The participants in the well-being cognition group were instructed and guided to engage in well-being cognition behavior that involved positive and optimistic self-talk in order to generate a state of positive affect within themselves. They attended five education sessions and were asked to read and recite well-being cognition statements at least 10 times, twice a day over a 3-week period. Results revealed that the well-being cognition group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ntrol group on Negative Mood Regulation Expectancies, Positive Affect, Life Orientation Test-Revised,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and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Scale at post-treatment assessment. Additionally, the well-being cognition group scored significantly lower on Negative Affect and the Stress Response Inventory (including physiological symptoms, depression, and anger).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citing 'well-being cognitions' may be an effective strategy to promote well-being and reduce stress even when applied over a short period.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re discussed.

keywords
웰빙인지, 긍정심리, 긍정적 사고, 주관적 웰빙, 스트레스, 긍정심리중재법, Well-being cognition, Positive psychology, Positive cognition, Subjective well-being, Stress,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Reference

1.

고경봉, 박중규, 김찬형 (2000). 스트레스 반응 척도의개발. 한국신경정신의학회지, 39, 707-719.

2.

김나리 (2000). 대학생의 이성관계에서 애착이 갈등해결전략에 미치는 효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

김남진 (2003). 진로집단상담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자기효능감, 진로결정 수준 및 진로 준비행동에 미치는 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성경 (2003). 대학신입생의 스트레스와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청소년학연구, 10(2), 216-237.

5.

김은영 (1993). 대학생의 심리적 독립과 사회적 적응에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6.

김재은, 이은순, 강순화 (1997). 한국 대학생의 삶의 만족도. 서울: 집문당.

7.

김정민, 박준희, 나윤정 (2009). 대학신입생의 사회적 문제해결력과 진로결정 효능감 향상을 위한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5), 69-76.

8.

김정호 (1985). 합치도 원리: 약호화 특수성 원리에 대한 대안. 행동과학연구, 7, 65-76.

9.

김정호 (1991). 효율적인 인간-컴퓨터 상호작용을 위한인지심리학적 고찰: 안-밖 합치도 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실험 및 인지, 3, 117-130.

10.

김정호 (2000). 조금 더 행복해지기: 복지정서의 환경-행동 목록. 서울: 학지사.

11.

김정호 (2002). 비합리적 인지책략과 스트레스.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7(2), 287-315.

12.

김정호 (2006). 동기상태이론: 스트레스와 웰빙의 통합적 이해.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1, 453-484.

13.

김정호 (2007a). 삶의 만족 및 삶의 기대와 스트레스 및웰빙의 관계: 동기상태이론의 적용.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2(2), 325-345.

14.

김정호 (2007b). 낙관성 척도. 덕성여자대학교 건강심리연구실. 미간행.

15.

김정호 (2008). 긍정심리학과 한의학. 동의신경정신과학회지, 19, 1-22.

16.

김정호 (2009a). ACT 효과의 기제와 동기인지행동치료. 한국인지행동치료학회 춘계학술대회 및 워크샵 발표초록집, pp. 96-103. 4월 11일. 서울: 성신여자대학교 수정관.

17.

김정호 (2009b). 마음챙김명상과 동기인지행동치료. 한국건강심리학회 2009 제1차 학술발표대회 및 워크샵 발표초록집, pp. 21-33. 5월 21-22일. 진주: 경상대학교 남명학관 남명홀.

18.

김정호 (2009c). 통합동기관리 혹은 통합동기치료: 인지행동치료의 새로운 흐름의 이해. 한국심리학회지:건강, 14(4), 677-697.

19.

김정호 (2015). 생각 바꾸기: 동기인지행동치료를 통한스트레스-웰빙 관리. 서울: 불광출판사.

20.

김정호, 김선주 (1998). 스트레스의 이해와 관리. 서울:도서출판 아름다운 세상.

21.

김정호, 은희진 (2010). 성경의 웰빙인지와 웰빙 및 스트레스와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5(4), 673-685.

22.

김정호, 임성견, 김선주, 유제민, 서경현, 김미리혜, 공수자 (2008). 긍정정서와 부정정서의 정서경험유형. 대한스트레스학회지, 16(4), 343-350.

23.

김헌수 (2001). 대학생을 위한 진로상담 프로그램 개발과 그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지, 15(4), 139-155.

24.

김헌수, 장기명, 이난 (2004).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적용이 대학생의 진로 및 자아정체감과 진로결정수준에미치는 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지, 18(1), 261-278.

25.

김희수, 박경애 (2002). REBT를 적용한 진로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진로 발달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4(2), 339-358.

26.

민경은, 김정호, 김미리혜 (2014). 웰빙인지기법이 버스운전기사들의 스트레스 및 웰빙에 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63-82.

27.

배진화 (2003). 고등학생들의 학교스트레스와 대처방식이 학교적응에 미치는 영향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박복남, 박종선, 이정란 (2009). 일 지역 3년제 간호대학신입생의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14(2), 153-164.

29.

박현진 (1999). 대학생이 지각한 가족응집성, 가족적응성, 가족체계유형과 대학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0.

박찬빈 (2011). 긍정심리상담 및 치료프로그램이 대학생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1.

손희정 (2012). 긍정심리 집단상담이 초등학생의 자기주도적 학습능력과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안지영, 임희경 (2005). 여대생의 대학생활 적응. 한국생활과학회지, 14(1), 233-239.

33.

여춘근, 이영호 (1999). 전문대학생의 자아상태 활성화와 인간관계 능력 향상을 위한 교류분석적 집단 프로그램에 관한 연구. 한국정신보건사회사업학회지, 7, 67-100.

34.

오영재 (2006). 대학 신입생의 대학생활경험에 대한 분석연구. 교육문제연구, 25, 143-166.

35.

윤병수, 정봉교 (1999). 여대생의 스트레스 요인, 수준및 증상에 대한 조사연구. 학생연구, 30(1), 27-57.

36.

은희진 (2008). 성경의 웰빙인지가 웰빙증진에 미치는효과: 기독교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덕성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7.

이기학, 이경아, 이정화 (2008). 2008학년도 신입생 실태조사. 연세상담연구. 24.

38.

이성훈 (2010). 긍정심리치료에 근거한 집단상담이 청소년의 자아탄력성, 학교생활적응력 및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효과. 경성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9.

이수정, 이훈구 (1997). Trait Meta-Mood Scale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요인에 대한 탐색.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1(1), 95-116.

40.

이숙정, 유지현 (2008). 대학생의 학업 및 진로 스트레스와 대학 생활적응의 관계에 대한 자기 효능감의매개효과. 한국교육심리학회지, 22(3), 589-607.

41.

이은희 (2004). 대학생들이 경험하는 생활스트레스와 우울: 공변량 구조모형을 통한 대처방식의 조절효과검증.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1), 25-52.

42.

이은정, 박수애, 이훈구 (1997). 성차이와 부정적인 기분조절 기대가 부정적인 기분의 조절방법에 미치는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2(1), 61-74.

43.

이혜성, 손영숙, 김미경 (1989). 대학생의 문제 진단 및해결행동 체크리스트 제작 연구. 학생생활연구. 25.

44.

임영진 (2010). 성격강점과 긍정심리치료가 행복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45.

장진우, 이윤주 (2009). 대학생을 위한 행복증진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17(2), 121-138.

46.

조명한, 차경호 (1998). 삶의 질에 대한 국가간 비교. 서울: 집문당.

47.

조성연, 문미란 (2006). 성인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18(4), 731-748.

48.

조진형, 김경미, 김동원, 김정희 (2008). 감사일지 작성이 주관적 안녕감, 자기 존중감, 자기효능감, 감사성향 및 신체 심리적 건강에 미치는 효과. 담론201, 11(2), 75-101.

49.

조혜정, 김밀양 (2006). 대학생을 위한 진로탐색 프로그램의 효과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5(2), 353-362.

50.

조화진, 서영석 (2010). 부모애착, 분리-개별화, 성인애착, 대학생활적응, 심리적 디스트레스의 관계: 대학신입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2(2), 385-411.

51.

전겸구 (1998). 대학생용 생활 스트레스 척도의 개발 연구Ⅱ. 재활과학연구, 14(1), 15-37.

52.

전지영 (2011). 행복증진에 미치는 긍정심리치료의 효과: 비자발적 내담자를 중심으로.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3.

최승미, 강태영, 우종민 (2006). 스트레스 반응 척동의수정판 개발 및 타당화 연구: 근로자대상. 한국신경정신의학회지, 14, 261-288.

54.

최승애 (2007). 인지재구조화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 스트레스 감소에 미치는 효과. 기독교상담학회지, 14, 261-288.

55.

최유연, 손정락 (2012). 긍정 심리치료가 사회공포증 경향이 있는 대학생의 사회 불안, 낙관성 및 주관적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3), 573-588.

56.

홍지연 (2004). 대학생의 스트레스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영남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57.

황상하 (1995). 대학생의 스트레스 및 대처방식과 대학생활 적응과의 관계.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8.

Arthur, N. (1998). The effects of stress, depression, and anxiety on postsecondary student's coping strategie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9, 11-22.

59.

Baker, R. W., McNeil, O. V., & Siryk, B. (1985). Expectaion and reality in freshman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32(1), 94-103.

60.

Baker, R. W., & Siryk, B. (1984).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ling Psychology, 31(1), 179-189.

61.

Bryde, J. F., & Milburn, C. M. (1990). Helping to make the transition from high school to college. In R. L., Emans (Ed), Understanding undergraduate education (pp.203-213). Vermillion, SD: University of South Dakota Press.

62.

Catanzaro, S., & Mearns, J. (1990). Measuring generalized expectancies for negative mood regulation: Initial scale development implications.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54, 546-563.

63.

Chen, H., Mishara, B. L., Liu, X. X. (2010). A Pilot study of mobile telephone message interventions with suicide attempters in china. Crisis, 31(2), 109-112.

64.

Cherners, M., Hu, L., & Garcia, B. (2001). Academic self-efficacy and first-year college student performance and adjust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1), 55-64.

65.

Coffman, D. L., & Gilligan, T. D. (2002). Social support, stress and self-efficacy: Effects on student's satisfaction. Journal of College Student Retention, 4(1), 53-66.

66.

Diener, E., Emmons, R. A., Larsen, R. J., & Griffin. S. (1985).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Journal of Personality Assessment, 49, 71-75.

67.

Fredrickson, B. L. (1998). What good are positive emotion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2, 300-319.

68.

Fredrickson, B. L., & Joiner, T. (2002). Positive emotions trigger upward spirals toward emotional well-being. Psychological Science, 13, 172-175.

69.

Froh, J. J., Sefick, W. J., & Emmons, R. A. (2008). Counting blessing in early adolescents: An experimental study of gratitude and subjective well-being. Journal of School Psychology, 46, 213-233.

70.

Garland, E. L., Fredrickson, B. L., Kring, A. M., Johnson, D. P., Meyer, P. S., & Penn, D. L. (2010). Upward spirals of positive emotions counter downward spirals of negativity: Insights from the broden-and-build theory and affective neuroscience on the treatment of emotion dysfunctions and deficits in psychopathology. Clinical Psychology Review, 30, 849-864.

71.

Giannopoulos, V. L., & Vella-Brodrick, D. A. (2011). Effects of positive interventions and orientaions to happiness on subjective well-being. The 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6, 95-105.

72.

Haines, M. E., Norris, M. P., & Kashy, D. A. (1996). The effects of depressed mood on academic performance in college students.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7, 519-526.

73.

Isen, A. M. (2002). Missing in action in the AIM:Positive affect's facilitation of cognitive flexibility, innovation, and problem solving. Psychological Inquiry, 13(1), 57-65.

74.

Kim, J.-H. (1986a). Some difficulties of encoding specificity principl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5, 154-166.

75.

Kim, J.-H. (1986b). Compatibility principle model: A general framework for memory research. Research Review (Duksung Women's University), 6, 69-103.

76.

Kim, J.-H. (1992). Inner-outer compatibility principle model: Functionalism and computationalism. Korean Journal of Experimental and Cognitive Psychology, 4, 165-177.

77.

Kim, J. H., Kim, S. J., & Kim, M. (1999). On the definition of stress and well-being: An extension of Lazarus model. The 3rd Conference of the Asian Association of Social Psychology, Taipei, Taiwan.

78.

Lightsey, Jr. O. R. (1994). Thinking positive as a stress buffer: The role of positive automatic cognitions in depression and happines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1(3), 325-334.

79.

Lightsey, Jr. O. R., & Boyraz, G. (2011). Do positive thinking and meaning mediate the positive affect-life satisfaction relationship?. Canadian Journal of Behavioural Science, 43(3), 203-213.

80.

Lightsey, Jr. O. R., Johnson, E., & Freeman, P. (2012). Can positive thinking reduce negative affect?: A test of potential mediating mechanisms. Journal of Cognitive Psychotherapy, 26, 71-88.

81.

Loeb, R., & Magee, P. (1992). Change in attitudes and self-perceptions during the first two years of college. Journal of College Student Development, 33, 348-355.

82.

Lyubomirsky, S. (2008). The how of happiness: A scientific approach to getting the life you want. New York: Penguin Press.

83.

Lyubomirsky, S., Dickerhoof, R., Boehm, J. K., & Sheldon, K. M. (2011). Becoming happier takes both a will and a proper way: An experimental longitudinal intervention to boost well-being. Emotion, 11(2), 391-402.

84.

Myriam, M., Jacqueline, M. C., & Leah, B. S. (2011). Practicing compassion increase happiness and self-esteem.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2, 963-981.

85.

Notthoff, N., & Carstensen, L. L. (2014). Positive Messaging Promotes Walking in Older Adults. Journal of Psychology and Aging, 29(2), 329-341.

86.

Peterson, A. C., & Ralph, R. (1982). Adolescence and stress. New York: The Free Press.

87.

Rashid, T., & Anjum, A. (2008). Positive psychotherapy for young adults and children. In J. R. Z. Abela., & B. L. Hankin (Eds). Handbook of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pp. 250-287). New York: Guilford Press.

88.

Scheier, M. E. F., & Caver, C. S., Bridges, M. W. (1994). Distinguishing optimism from neuroticism and trait anxiety, self-mastery, and self-esteem:A reevaluation of the life orientation test. Th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7(6), 1063-1078.

89.

Sin, N, L., & Lyubomirsky, S. (2009). Enhancing well-being and alleviating depressive symptoms with positive psychology intervention: A practice-friendly meta-analysis.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65, 467-468.

90.

Steven, M. T., Kelly, C., & Patti, P. (2011). Letters of gratitude: Future evidence for author benefits.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13, 187-201.

91.

Torsheim, T., & Wold, B. (2001). School-related stress, support, and subjective health complaints among early adolescents. Journal of Adolescent, 24, 701-714.

92.

Wood, J. V., Perunovic, W. Q. E., & Lee, J. W. (2009). Positive self-statements: Power for some, peril for others. Psychological Science, 860-866.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