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Instrument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Perceived Opportunity in Adversity Scale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6, v.21 no.3, pp.571-592
https://doi.org/10.17315/kjhp.2016.21.3.00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Perceived Opportunity in Adversity Scale', which is used to determine whether people who experience adversity recognize the situation as an opportunity or not. The items were developed after conducting an interview on 17 adults in their 20s to 50s, and a pilot survey was conducted among 440 people. After composing 17 items in 4 factors through item analysis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 study was conducted on 230 people. A total of 13 items grouped in 5 factors including insight, active coping, thought switching, cognitive support, and emotional support were deduced through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vergent validity was verified by correlation analyses of the POAS with opportunity recognition ability and stress coping method; in addition,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verified by regression analysis and t-test. The results indicat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adversity growth between people who recognize opportunity in situations of adversity versus people who do not. Thus, people who recognize opportunity have a tendency to experience more growth. Based on these findings, research limitation, implication, and suggestion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keywords
역경, 기회 인식, 문항 개발, 타당화, Adversity, Perceived opportunity, Validation, Instrument development

Reference

1.

김소연, 김선미, 김보영, 양은주 (2015). 대처방식과 외상 후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 관한 메타분석 연구. 인간발달연구, 22(1), 195-223.

2.

김주현 (2008). 가정폭력피해여성이 폭력에서 벗어나는과정에 관한 연구. 한국가족관계학회지, 13(1), 271-297.

3.

김태형, 김임, 이선미, 은헌정, 김동인, 강영수 (1998). 교통사고후 신체손상 환자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 신경정신의학, 37(4), 650-659.

4.

김현진 (2012). 한국 대학생 대상 진로내외통제소재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서울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5.

남궁재은, 허태균 (2009). 한국 대학생들은 무엇을 후회하는가?: 후회와 지각된 기회 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3(1), 181-194.

6.

박선정 (2015). 대인외상 경험 청소년이 지각한 사회적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항: 적극적 대처의 매개효과. 미래청소년학회지, 12(1), 25-47.

7.

박지은 (2014). 외상후 부정적 인지와 외상 후 성장의관계에서 용서의 조절효과 : 대인관계 외상 경험자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

배혜련 (2012). 대학생의 회복탄력성이 지각된 진로장벽에 미치는 영향. 경기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9.

서영석, 안하얀, 이채리, 최정윤 (2015). 집단따돌림 외상 경험 및 극복 과정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및 심리치료, 27(3), 685-719.

10.

서윤아 (2014). 비자살적 자해에 영향을 미치는 복합외상 및 복합외상증후군의 탐색. 충북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

손은령 (2009). 진로선택과정에서 우연 혹은 기회의 역할 고찰. 상담학연구, 10(1), 385-397.

12.

송승훈, 이홍석, 박준호, 김교헌 (2009). 한국판 외상 후성장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4(1), 193-214.

13.

송주연, 이희경 (2010). 소아암 환아 어머니의 희망이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삶의 의미를 매개로. 상담학연구, 11(4), 1501-1517.

14.

신선영, 정남운 (2012). 삶의 의미와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 영향: 성장적 반추를 매개 변인으로. 인간이해, 33(2), 217-235.

15.

안윤정, 오현주 (2012). 직업상담사의 직업선택과정에서‘계획된 우연’의 역할. 진로교육연구, 25(4), 117-140.

16.

유현진, 김영혜 (2013). 외상고통과 외상 후 성장의 관계에서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매개효과. 발달지원연구, 2(1), 61-75.

17.

이동혁, 황윤미, 정지희 (2012). Krumboltz의 우연학습이론을 배경으로 한 과제접근기술, 진로정체감, 진로장벽, 진로성숙도간의 관계. 상담학연구, 13(2), 855-875.

18.

이병관 (2013). 내외통제성과 우연에 대한 지각이 대학생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인간이해, 34(1), 37-54.

19.

이병관, 이국희 (2014). 행운과 불운이 인과적 추론에미치는 효과. 한국심리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4(1), 350.

20.

이상헌, 정태연 (2014). 대학입시 재수경험에 대한 의미화작업.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0(4), 365-392.

21.

이성미, 김성회 (2012). 청소년 부모용 부모-자녀관계조화 척도 개발. 상담학연구, 13(5), 2345-2361.

22.

이해리 (2007). 청소년의 역경과 긍정적 적응: 유연성의역할.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임선영 (2013). 역경 후 성장에 이르는 의미재구성 과정: 관계상실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4.

정소영, 김종남 (2014). 대학생용 SNS 중독경향성 척도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9(1), 147-166.

25.

정유미 (2004). 해결중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대학생의사회적 문제해결능력과 스트레스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조남근, 정미예 (2013). 대학생의 우연 대처기술이 진로정체감, 부정적 취업태도 및 진로탐색행동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0(12), 337-357.

27.

조용래 (2013). 가정폭력 피해여성들의 외상 후 부정적인지와 대처전략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과 정서증상에 미치는 효과. 인지행동치료, 13(3), 445-467.

28.

조용래 (2014). 외상사건 경험자들의 탄력성이 정신적웰빙과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외상후 성장 및 외상 후 부정적 인지의 매개효과. 인지행동치료, 14(3), 359-386.

29.

조현빈 (2006). 성폭력과 성폭력 피해자 심리의 이해. 한국범죄심리연구, 2(2), 39-59.

30.

지은혜, 조용래 (2015). 외상경험 대학생들의 외상관련부정적 인지와 정서조절곤란이 외상 후 스트레스증상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5(1), 195-212.

31.

지정구, 황경열 (2008). 대구 지하철 화재 사망자 유가족의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에 대한 연구. 한국동서정신과학회지, 11(1), 97-112.

32.

최보영, 김보람, 김아름, 장선희, 정선화, 이상민 (2011). 우연의 영향력에 대한 지각의 차이가 진로스트레스, 진로미결정 및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상담학연구, 12(5), 1873-1891.

33.

최승미 (2008). 외상 후 성장 관련 변인의 탐색.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4.

최승미, 김영재, 권정혜 (2013). 인지적, 문제 해결적 행동 대처 및 사회적 지지가 외상 후 성장에 미치는영향. 인지행동치료, 13(2), 307-328.

35.

최지영 (2013). 성폭력 피해 아동의 귀인 및 지각이 우울, 불안,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3(1), 65-86.

36.

홍서현 (2013). 군대 경험이 갖는 삶의 의미: 해병대 예비역을 중심으로.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7.

Alim, T. N., Feder, A., Graves, R. E., Wang, Y., Weaver, J., Westphal, M.,… Charney, D. S. (2008). Trauma, resilience, and recovery in a high-risk African-American population. The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65(12), 1566-1575.

38.

Bonanno, G. A. (2004). Loss, trauma, and human resilience: Have we underestimated the human capacity to thrive after extremely aversive events?. American Psychologist, 59(1), 20-28.

39.

Danforth, M. M., & Glass, J. C. (2001). Listen to my words, give meaning to my sorrow: A study in cognitive constructs in middle-age bereaved widows. Death Studies, 25(6), 513-529.

40.

Davis, C. G., Nolen-Hoeksema, S., & Larson, J. (1998). Making sense of loss and benefiting from the experience: Two construals of mean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5(2), 561-574.

41.

Fazio, R. J., & Fazio, L. M. (2005). Growth through loss: Promoting healing and growth in the face of trauma, crisis, and loss. Journal of Loss and Trauma, 10(3), 221-252.

42.

Folkman, S., & Lazarus, R. S. (1980). An analysis of coping in a middle-aged community sample. Journal of Health and Social Behavior, 21(3), 219-239.

43.

Frazier, P., Conlon, A., & Glaser, T. (2001). Positive and negative life changes following sexual assault.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69(6), 1048-1055.

44.

Garnefski, N., Kraaij, V., & Spinhoven, P. (2001). Negative life events,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and emotional proble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0(8), 1311-1327.

45.

Johnson, J. G., Cohen, P., Gould, M. S., Kasen, S., Brown, J., & Brook, J. S. (2002). Childhood adversities, interpersonal difficulties, and risk for suicide attempts during late adolescence and early adulthood.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9(8), 741-749.

46.

Kessler, R. C., Davis, C. G., & Kendler, K. S. (1997). Childhood adversity and adult psychiatric disorder in the US National Comorbidity Survey. Psychological medicine, 27(5), 1101-1119.

47.

Kim, B., Jung, S. H., Jang, S. H., Lee, B., Rhee, E., Cho, S. H., & Lee, S. M. (2014). Construction and initial validation of the Planned Happenstance Career Inventory. The Career Development Quarterly, 62(3), 239-253.

48.

Kobasa, S. C. (1979). Stressful life events, personality, and health: An inquiry into hardi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1), 1-11.

49.

Krumboltz, J. D. (1998). Serendipity is not serendipitou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4), 390-392.

50.

Krumboltz, J. D. (2011). Capitalizing on happenstance. Journal of Employment Counseling, 48(4), 156-158.

51.

Linley, P. A., & Joseph, S. (2004). Positive change following trauma and adversity: A review. Journal of Traumatic Stress, 17(1), 11-21.

52.

Mitchell, K. E., Levin, A. S., & Krumboltz, J. D. (1999). Planned happenstance: Constructing unexpected career opportunities. Journal of Counseling and Development, 77(2), 115-124.

53.

Rojewski, J. W. (1999). The Role of chance in the career development of individuals with learning disabilities. Learning Disability Quarterly, 22(4), 267-278.

54.

Tedeschi, R. G., & Calhoun, L. G. (2004). Posttraumatic growth: Conceptual foundations and empirical evidence. Psychological Inquiry, 15(1), 1-18.

55.

Williams, E. N., Soeprapto, E., Like, K., Touradji, P., Hess, S., & Hill, C. E. (1998). Perceptions of serendipity: Career paths of prominent academic women in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5(4), 379-389.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