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Trait Meta-Mood Scale 의 타당화에 관한 연구: 정서지능의 하위 요인에 대한 탐색

The Research on the Validation of the Trait Meta-Mood Scale: The Domain Exploration of the Emotional Intelligenc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7, v.11 no.1, pp.95-116
이수정(Soo-Jung Lee)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이훈구(Hoon-Koo Lee)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현 연구에서는 정서적 지능의 하위 요인들을 측정하도록 고안된 Trait Meta-Mood Scale(Salovey, Mayer, Goldman, Turvey, & Palfai, 1995) 점수에의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련된 증거들을 제시하여 보려고 했다. 이를 위하여 우선 TMMS의 요인 구조가 산출되었는데, 그 결과 정서에 대한 명확한 인식, 정서에 대한 주의, 정서 개선의 세 가지 차원이 매우 유의미한 하위 요인들인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들 각 요인들을 토대로 계산된 신뢰도 지수 역시 비교적 만족할만한 수준이었다. 준거 관련 타당도 증거를 살펴보기 위하여 TMMS와 동일한 하위 개념들을 측정하는 기존의 척도들, MAS(Swinkles & Guiliano, 1995), NMR(Catanzaro & Meams, 1990)과의 상관 자료, 그리고 정서의 표현성을 측정하는 EES(Kring, Smith, & Neale, 1994), AEQ(King & Emmons, 1990)와의 상관 또한 산출되었는데, 그 결과 역시 예상대로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 증거들을 보여 주었다. 마지막으로 정서지능의 준거행동으로 가장 자주 언급되었던 감정부전과 이들 하위 요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TMMS의 정서에 대한 인식, 그리고 그와 동일한 개념을 측정하는 MAS의 정서에 대한 인식 차원, 그리고 TMMS의 정서에 주의를 기울이는 정도 그리고 역시 같은 개념을 측정하는 MAS의 정서에 모니터링하는 정도가 개인의 감정부전 정도를 가장 많이 예측하여 주었으며, 이와 함께 TMMS에는 포함되지 않았던 정서표현 과정에서 경험하는 갈등 차원이 비교적 유용한 예측치가 될 수 있다는 증거가 나타났다. 이들 결과들을 요약하여 보자면, TMMS의 하위 척도들은 비교적 우수한 심리 측정적 특성들을 지니며 Salovey 등(1995)이 주장했던 대로 정서지능의 주요한 하위 요인들을 측정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Abstract

This Research has been performed to gather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related evidences of the Trait MetaMood Scale(Salovey, Mayer, Goldman, Turvey, & Palfai, 1995) developed to assess an individual's emotional intelligence. At first, the factor structure of the TMMS showed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ree factors as Salovey et al(1995) reported based on a university sample in the U.S.; clarity of the awareness of one's mood, attention to one's mood, and mood repair. The reliability indices based on these three dimensions were fairly good as those of psychological attitude measure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riterion-related validity indices, the scores from the subscales of the TMMS were correlated with those of measures assessing associated constructs; MAS(Swinkles & Guiliano, 1995), NMR(Catanzaro & Mearns, 1990), EES (Kring, Smith, & Neale, 1994), AEQ(King & Emmons, 1990). These results indicated good convergent as well as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s. All the scores from subscales of these measures were correlated to the alexithymia score to examine the predictive validity of the TMMS subscales. The regression analysis and the discriminant analysis presented the clarity dimension of the TMMS and mood awareness scale of the MAS, measuring same construct, and the attention scale of the TMMS and the mood monitoring score from the MAS, also assessing same concept, were the most effective predicting the amount of an individual's alexithymic symptoms. Additionally, the first factor of the ambivalence over emotional expressiveness scale was also shown to be useful to discriminate alexithymics among responders. All these results imply the sub-scales of the TMMS measuring emotional intelligence have good psychometric propertie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