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공격영화가 공격성에 미치는 영향 및 그 중재방안

The Impact of the Aggressive Films on Aggression and the Intervention to Mi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t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7, v.11 no.1, pp.9-22
윤진(Gene Yoon)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박윤창(Yoon-chang Park) (연세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공격영화는 부정적 정서에 영향을 미쳐 공격성을 유발시킬 것이고, 공격적이지 않은 영화라도 부정적 정서를 유발시키는 것이라면 공격영화와 마찬가지로 공격성을 유발시킬 것이라는 가설을 검증하고, 이러한 가설에 기초하여 정서를 상쇄시킴으로써 공격영화를 시청한 후 나타나는 공격행동을 경감시키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2개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부정적 정서의 효과에 초점을 맞춘 실험 1에서는 중립영화, 공격영화, 부정적 정서유발 영화, 긍정적 정서유발 영화를 각각 15명씩의 남자 대학생에게 보여준 후 정서와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공격영화를 시청한 집단의 우울감, 불안감, 불쾌감은 증가하고 안정감은 감소한 반면,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영화를 시청한 집단의 명랑감은 감소하고 불쾌감은 증가하였다. 또한, 공격영화와 부적 정서를 유발하는 영화를 시청한 집단의 공격성은 중립영화를 시청한 집단이나 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영화를 시청한 집단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 정서상쇄에 의하여 매체폭력의 영향을 중재하는 방안을 모색하려는 실험 2에서는 공격영화, 정서상쇄 영화(공격영화+정적정서 유발영화), 중립영화를 각각 15명의 남자 대학생에게 보여준 후 정서와 공격성을 측정하였다. 정서 측정치에서 공격영화와 상쇄조건 모두 안정감이 저하되고 불쾌감이 증가하였다. 그러나 공격영화는 명랑감과 유쾌감이 저하된 반면, 상쇄조건은 명랑감과 유쾌감의 저하가 없었다. 공격성 측정치에서는 공격영화 조건만이 공격성이 높게 나타났다. 실험 2의 결과는 공적성과 양립할 수 없는 정서를 유발시킴으로써 그 효과를 감소시킬 수 있음을 보여준다.

keywords

Abstract

Two experiments were conducted to test the following hypotheses. (1) Watching aggressive films will cause aggression via negative affect. (2) Even non-aggressive films which cause negative affect will induce aggression as aggressive films do. (3) On the basis of above hypotheses, counterbalancing of negative affect by positive affect can mitigate aggression after watching aggressive films. In experiment 1, every 15 male undergraduate students were watched neutral, aggressive, negative affect inducing, positive affect inducing film and were measured affect and aggression by MAACL and aggression machine. Depression, anxiety, and unpleasantness of Ss of aggressive film condition were increased. But their stability was decreased. On the other hand, happiness of Ss of negative affect inducing film condition was decreased and unpleasantness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aggression, both Ss of aggressive film condition and negative affect inducing film condition showed more aggression than neutral and positive affect inducing film condition significantly. So, hypothesis 1 and 2 were supported. In experiment 2, the procedure was same as experiment I except the film Ss watched.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aggressive, neutral, and counterbalancing film condition. Ss of counterbalancing condition were watched aggressive film and positive affect inducing film successively. Both of aggressive film and counterbalancing film decreased stability and increased unpleasantness. But while happiness of aggressive film condition was decreased, that of counterbalancing was not changed. Aggression of aggressive film condi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other two conditions. These results showed aggression after watching aggressive films could mitigate by counterbalancing affect.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