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순자에 나타난 심리학적 함의(Ⅲ): 禮論을 중심으로

The Psychology Implied in the Works of Hsun Tzu(Ⅲ)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7, v.11 no.2, pp.1-27
조긍호(Geung-Ho Cho) (서강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천인관계론(조긍호, 1994)과 인성론(조공호, 1995)을 통해 순자 사상의 심리학적 함의를 찾아 보려 한 앞선 글에 이어, 본고에서는 순자의 禮論을 중심으로 그 심리학적 함의를 도출해 보려 하였다. 순자는 人道의 표준으로서의 禮의 필요성을 인간 존재의 사회적 특성과 자원 부족이라는 상황적 특성에서 찾고 있으며, 그 기능은 分ㆍ節ㆍ中ㆍ文飾에 있다고 본다. 이러한 순자의 예론으로부터 群居和一하는 것이 사회관계 형성의 목표이며, 사회관계의 유지는 각 관계 속에 내재된 역할에 대한 인식(明分) 및 이의 상호의존적인 실천(守分)에 있다는 독특한 사회관계론과 형평분배가 가장 공정한 분배의 원칙이라는 분배정의론의 문제를 도출해 내고, 그 심리학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keywords

Abstract

Continued from the previous paper(Cho, 1995) regarding Hsun Tzu's theory of human nature, this article aimed at extracting some psychological lessons from Hsun Tzu's theory of the proper conduct(Li, 禮). Hsun Tzu proposed that because human beings are social and gregarious in nature and gregarious living inevitably bring about conflict and struggle among members, the system of prevention of these struggle (Li) is needed. The first and foremost function of Li is division of human classes and roles. Hsun Tzu viewed that human beings live together peacefully through these division, because it brings each of them contentment with his/her lot. From Hsun Tzu's theory of the proper conduct like this, the author derived two research issues and discussed their psychological implications: the study on the theory of social relation-ships(which is different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exchange theory) and the study on the distributive justice.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