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P-ISSN1229-0653
  • KCI

대학생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행복/불행 관련 사건들에 관한 연구

A Study of Life Events Influenced on Happiness of College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1, v.25 no.1, pp.115-135
https://doi.org/10.21193/kjspp.2011.25.1.007
김범준 (경기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행복관련 사건들과 불행관련 사건들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력과 발생빈도를 살펴보고 생의 사건과 행복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문화적 관점에서 생의 사건을 관계 중심적 사건과 개인 특성적 사건으로 구분하고 이 같은 사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361명의 남녀대학생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그 결과, 행복관련 사건의 경우, ‘용돈 혹은 월급을 받는 것’이 가장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불행관련 사건의 경우에는 ‘취업에 대한 걱정을 하는 것’이 가장 크게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발생빈도에서는 행복사건의 경우 ‘친구와 수다를 떠는 것’이 가장 많았으며, 불행관련 사건의 경우에는 ‘취업에 대한 걱정을 하는 것’이 가장 많았다. 그리고 행복관련 사건의 발생빈도와 행복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불행관련 사건의 발생빈도와 행복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행복관련 사건의 경우, 관계 중심적 사건이 행복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에 반해 불행관련 사건은 이와 반대로 개인 특성 중심의 사건이 행복에 유의미하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는 행복관련 사건과 불행관련 사건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의 메카니즘이 다르다는 것을 암시한다. 마지막으로 이 결과의 시사점 및 후속 연구에 대해 논의하였다.

keywords
Happiness, positive event, negative event, relation focused event, individual focused event, 행복, 행복관련 사건, 불행관련 사건, 관계 중심적 사건, 개인 특성적 사건

Abstract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examine how positive and negative life events affect happiness and effect of frequency of the events on happiness. The life events were categorized into a relation focused event and a individual focused event based on cultural perspective and it was examined how the two categorized events affected happiness. In survey, 361 respondents reported how 30 positive and 30 negative events affected their happiness and the frequency of the events. Then, they rated their perceived happiness. In results, getting pocket money or salary was the most influential event and chatting with friends was the most frequent event in the positive events. In the negative events, anxiety of unemployment was the most influential and frequent event. And the positive event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perceived happiness, while the negative events were negatively correlated with happiness. Finally, the relation focused ev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erceived happiness in the positive events. However, the individual focused event was a significant predictor of perceived happiness in the negative even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of the present findings are discussed.

keywords
Happiness, positive event, negative event, relation focused event, individual focused event, 행복, 행복관련 사건, 불행관련 사건, 관계 중심적 사건, 개인 특성적 사건

참고문헌

1.

강평원 (2009). 행복의 본질에 대한 내재이론과 그 효과.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강혜련 (1998). 리더십과 조직적응: 남녀 관리자의 비교연구. 인사조직연구, 6(2), 81-123.

3.

김명소, 김혜원, 차경호 (2001). 심리적 안녕감의 구성개념 분석: 한국 성인 남녀를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5(2), 19-40.

4.

김명소, 김혜원, 한영석, 임지영 (2003). 한국인의 행복한 삶에 대한 인구통계학적 특성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2(2), 1-33.

5.

김명소, 임지영 (2003). 대학생의 ‘바람직한 삶’ 구성요인 및 주관적 안녕감과의 관계 분석: 남녀 차이를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여성, 8(1), 83-97.

6.

김명소, 한영석 (2006a). 중년여성의 삶의 질과 행복.2006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204-205.

7.

김명소, 한영석 (2006b). 한국인의 행복지수 공식 개발.조사연구, 7(2), 1-38.

8.

김의철, 박영신 (2004). 청소년과 성인의 삶의 질에 대한 토착심리 분석: 가정, 학교, 직장, 여가생활을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9(4), 973-1002.

9.

김진주, 구자영, 서은국 (2006). 객관적인 신체적 매력과 행복.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4),61-70.

10.

박영신, 김의철 (2006). 한국사회와 개인 삶의 질 인식에 대한 토착심리 연구: 삶의 질을 높이는 요소와낮추는 요소에 대한 세대별 지각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2(1), 161-195.

11.

박정현, 서은국 (2005). 사람의 내-외적인 모습에 두는상대적 비중과 행복과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19(4), 19-31.

12.

서은국, 성민선, 김진주 옮김 (2007). 긍정 심리학 입문.서울: 박학사.

13.

서은국, 최인철, 김미정 옮김 (2006). 행복에 걸려 비틀거리다. 서울: 김영사.

14.

설선혜, 최인철, 최종안 (2008). 2008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182-183.

15.

성민선, 서은국, 전우영 (2007). 타인의 행복 예측에서나타나는 오류: 서울과 춘천의 삶의 만족도 비교.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1(2), 35-45.

16.

송관재 (2003). 성 차이의 심리. 서울: 선학사.

17.

유경, 이주일 (2010). 여성의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세대 간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24(2), 89-104.

18.

이지선, 김민영, 서은국 (2004). 한국인의 행복과 복:유사점과 차이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18(3), 115-125.

19.

이화령, 서은국, 김범준 (2007). 긍정적 정서와 생활경험의 개인차: 가시성과 추상성을 중심으로. 2007년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 410-411.

20.

이훈구 (2004). 사회심리학적 안녕. 서울: 법문사.

21.

전경숙, 정태연 (2009). 한국 청소년의 행복을 결정하는 요인들.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5(1),133-153.

22.

조명한, 김정오, 권석만 (1994). 청소년의 삶의 질. 사회과학과 정책연구, 16(2), 61-94.

23.

차경호 (1999). 대학생들의 주관적 안녕감과 개인중심-집단중심주의 성향과의 관계. 한국청소년 연구,10(2), 193-216.

24.

한기혜, 박영신, 김의철 (2008). 대학생의 행복과 불행에 대한 토착심리학. 2008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발표대회 논문집, 24-25.

25.

Abbey, A., & Andrews, F. M. (1985). Modeling thepsychological determinants of life quality. SocialIndicators Research, 16, 1-34.

26.

Blaney, P. H. (1986). Affect and memory: A review.Psychological Bulletin, 99, 229-246.

27.

Bower, G. H. (1986). Mood and Memory. AmericanPsychologist, 36, 129-148.

28.

Diener, E. (1984). Subjective well-being.Psychological Bulletin, 95, 542-575.

29.

Diener, E., & Diener, C. (1996). Most people arehappy. Psychological Science, 7(3), 181-185.

30.

Diener, E., Suh, E. M., Lucas, R. E., & Smith, H. L.(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 276-302.

31.

Eagly, A. H., & Johnson, B. T. (1990). Gender andleadership style: A Meta analysis. PsychologicalBulletin, 108, 233-256.

32.

Headey, B., Holmstrom, e., & Wearing, A. (1984).The impact of life events and changes in domainsatisfactions on well-being. Social IndicatorsResearch, 15, 203-227.

33.

Holmes, T. H., & Rahe, R. H. (1967). The socialreadjustment rating scale. Journal ofPsychosomatic Research, 11, 213-218.

34.

Kitayama, S., & Cohen, D. (2007). Handbook ofcultural psychology. New York: Gulford Press.

35.

Kwan, V. S. Y., Bond, M. H., & Singleis, T. M.(1997). Pancultural explanations for lifesatisfaction: Adding relationship harmony toself-estee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73, 1038-1051.

36.

Lee, D., Park, S., Uhlemann, M., & Patsula, P.(1999). What makes you happy? A comparisonof self-reported criteria of happiness betweentwo cultures. Social Indicators Research, 50,351-362.

37.

Lyubomirsky, S., & Ross, L. (1997). He doniccon sequences of social comparison: A contrast of happy and unhappy peop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73,1141-1157.

38.

Lyubomirsky, S., King, L., & Diener, E. (2005). Thebenefits of frequent positive affect: Doeshappiness lead to success? PsychologicalBulletin, 131, 803-855.

39.

Markus, H. R., & Kitayma, S. (1991). Culture andself: Implication for cognition, emotion, andmotivation. Psychological Review, 98, 224-253.

40.

Oishi, S., Diener, E., Scollon, C. N., &Biswas-Diener, R. (2003). Cross-situationalconsistency of affective experiences acrosscultur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86, 460-472.

41.

Rabkin, J. G., & Struening E. L. (1976). Life events,stress, and illness. Science, 194, 1013-1020.

42.

Reis, H. T., Smith, S. M., Tsai, F., Rodrigues, A., &Maniaci, M. R. (2010). Are you happy for me?How sharing positive events with othersprovides personal and interpersonal benefits.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99, 311-329.

43.

Ryan, R. M., & Deci, E. L. (2001). On happiness andhuman potentials: A review of research onhedonic and eudaimonic well-being. AnnualReview of Psychology, 52, 141-166.

44.

Ryff, C. D. (1989). Happiness is everything, or is it?Explorations on the meaning of psychologicalwell-be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57, 1069-1081.

45.

Ryff, C. D., & Keyes, C. L. M. (1995). The structureof psychological well-being revisited. Journal of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9, 719-727.

46.

Parrott, W. G., & Sabini, J. (1990). Mood andmemory under natural conditions: Evidence formood incongruent recall. Journal of Personalityand Social Psychology, 59, 321-336.

47.

Seidlitz, L., & Diener, E. (1993). Memory for positiveversus negative life events: Theories for thedifferences between happy and unhappy persons.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64, 654-664.

48.

Sheldon, K. M., & King, L. (2001). Why positivepsychology is necessary. American Psychologist,54, 216-217.

49.

Snyder, C. R., & Lopez, S. J. (2005). Handbook of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University Press

50.

Stallings, M. C., Dunham, C. C., Gatz, M., Baker, L.A., & Bengtson, V. L. (1997). Relationshipsamong life events and psychological well-being:More evidence for a two-factor theory ofwell-being. Journal of Applied Gerontology, 16,104-119.

51.

Suh, E. M., Diener, E., & Fujita, F. (1996). Eventsand subjective well-being: Only recent eventsMatter.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70, 1091-1102.

52.

Suh, E. M., Diener, E., Oishi, S., & Triandis, H. C.(1998). The shifting basis of life satisfactionjudgments across cultures: Emotion versusnorm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74, 482-493.

53.

Triandis, H. C. (1995). Individualism andcollectivism. Boulder, CO: Westview Press.

54.

Updegraff, J. A., & Suh, E. M. (2007). Happiness isa warm abstract thought: Self-construalabstractness and subjective well-being. TheJournal of Positive Psychology, 2(1), 18-28.

55.

Zautra, A. (1979). Some effects of positive lifeevents on community mental health. American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7, 441-451.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