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조세 회피 결정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적 추론을 중심으로

A Study on Determinants of Tax Avoidance: Focusing on Social Inferenc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3, v.27 no.3, pp.135-153
https://doi.org/10.21193/kjspp.2013.27.3.008
김재휘 (중앙대학교)
강윤희 (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납세자의 조세회피의 결정 요인을 알아보고, 더 나아가 이러한 조세 회피 결정 요인에 있어 사회적 추론의 영향력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총 1281명의 응답자를 대상으로 기본적인 조세 대상자의 특성, 개인의 납세 의식과 조세에 대한 지식, 조세 회피 경험, 그리고 동일한 납세 대상이 되는 타인과 사회에 대한 추론 등을 측정하여, 각 측정 변인들이 조세 회피에 미치는 영향력을 위계적 회귀 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연구 결과, 조세 회피에 있어 유사성 추론, 공평성 인식, 납세 윤리, 기관에 대한 인식, 필요성 인식, 다수 추론, 조세에 대한 주관적 지식, 및 성별이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 하였다. 보다 세부적으로, 조세 회피에 대한 사회적 추론의 하위 차원에서 다수 추론과 유사성 추론이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유사성 추론은 선행 연구에서 많이 다루어진 인구통계학적 변수나 납세 의식과 조세 지식에 대한 설명량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즉, 조세 회피의 결정 요인은 인구통계학적 변수나 납세 의식과 같은 개인적 차원 자체의 힘이라기보다, 납세자가 지각하는 타인과 사회에 대한 추론이 중요한 영향을 미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더 나아가, 이렇게 활성화된 사회적 추론은 주관적 지식과 납세 윤리 수준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납세자의 조세 회피에 있어 개인적 차원과는 독립적으로 사회적 추론 역시 중요한 영향 요인임을 확인 하였다

keywords
Tax avoidance, Social inference, Majority inference, Similarity inference, Subjective knowledge, 조세 회피, 사회적 추론, 다수 추론, 유사성 추론, 주관적 지식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eterminants of tax avoidance with emphasis on the role of social inference. Total of 1281 participants' data was gathered and analyzed with hierarchical regression model using variables such as demographical information, knowledge level, past experience(s) of tax avoidance, social inference, and etc. The results suggest that inference within in-group, perceived equity, tax ethics, attitude of tax organization, perceived necessity, majority inference, subjective knowledge, and sex were crucial factors when it comes to tax avoidance. Specifically, both of ‘majority inference’ that many people are doing the tax avoidance and ‘similarity inference’ that how the tax evaders are similar to them influenced the tax avoidance under categories of social inference. In more detail, the social inference that ‘similar people are doing the tax avoidance’ was found to be significant factor that explained the phenomenon of tax avoidance more than any other factors that had investigated in the previous studies. Moreover, these social inferences showed different scores depending on participants' subjective knowledge and tax ethics. This suggests that what determines the tax avoidance does not lie in the individual aspects as demographics, or tax ethics but in the social aspects that inference of other people and the society plays important role.

keywords
Tax avoidance, Social inference, Majority inference, Similarity inference, Subjective knowledge, 조세 회피, 사회적 추론, 다수 추론, 유사성 추론, 주관적 지식

참고문헌

1.

강현수, 남기원 (2001). 납세자의 세제인지도와 성실납세의 관계에 관한 연구. 공주영상정보대학 학술저널, 8, 73-95.

2.

권영모 (1995). 조세공평성 인식에 관한 연구. 회계정보연구, 6, 189-210.

3.

김동은, 황호찬 (2005). 개인성향 및 납세환경에 대한 태도가 납세윤리와 납세의도에 미치는 영향. 회계저널, 14(1), 27-48.

4.

김상호, 김석범 (2004). 조세회피요인의 상호작용효과에 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10, 101- 117.

5.

김상호, 황이규 (2006). 사회심리적 특성과 세무적 특성이 개인사업자의 조세회피성향에 미치는 영향. 국제회계연구, 14, 249-270.

6.

김재휘, 부수현 (2008). 주변 타인이 소비자의 구매결정과 구매만족에 미치는 영향. 광고연구, 81, 49-75.

7.

김재휘, 부수현 (2010). 미디어 정보에 의한 사회적 추론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광고홍보학보, 12(4), 162-188.

8.

김재휘, 이희성 (2008). 사회적 추론이 광고효과에 미치는 영향: 다수가 시청할 것이라는 추론의 영향, 광고학연구, 19(4), 43-56.

9.

김철영 (2001). 납세자의 탈세선택에 관한 연구. 국제회계연구, 4, 53-65.

10.

김지경 (2004). 신뢰와 사회적 가치지향이 사회적 딜레마상황에서 협동행동에 주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3), 75-89.

11.

박상섭 (2012). 세무조사 적발 위험과 조세회피의 관련성. 회계학 연구, 37(3), 41-80.

12.

박주철, 이남우 (2003). 소득 원천이 세율과 납세 순응과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험 연구. 세무학연구, 20(3). 109-132.

13.

박춘래 (2001). 소득세 납세자들의 조세회피 성향에 관한 연구. 회계저널, 10(2), 75-104.

14.

변용환 (1998). 납세자의 조세관. 세무학연구, 11, 221-264.

15.

석기준, 황윤식 (2005). 납세자의 조세회피 선정요인에 관한 연구. 경영논총, 26, 195-219.

16.

이우택 (2007). 조세법 강의, 박영사.

17.

이은경 (2000). 조세순응연구에 관한 고찰. 회계학연구, 24(3), 211-236.

18.

이종환 (1995). 조세지식수준이 납세 성실성에 미치는 영향. 회계연구, 1(1), 25-48.

19.

전태영 (1990). 조세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에 관한 연구.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0.

정재을 (2010). 조세회피기회, 윤리환경, 납세도의가 조세회피에 미치는 영향. 세무와회계저널, 11(1), 137-166.

21.

조정환 (1996). 중소기업의 조세회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세무학연구, 8, 243-275.

22.

조현연, 이신남 (2002). 납세자의 조세회피성향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관한 연구. 회계정보연구, 18, 185-209.

23.

최임수 (1997). 납세자의 조세회피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4.

최화섭 (2008). 납세자들의 조세회피 요인에 관한 연구. 세무회계연구, 22, 171-196.

25.

황호찬 (1998). 규칙윤리와 덕윤리의 통합. 경영학연구, 27(2), 343-359.

26.

홍정화 (2004). 조세회피 연구의 동향과 향후 과제. 재무와회계정보저널, 4(2), 53-81.

27.

홍학표 (1994). 납세자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27(3), 901- 914.

28.

Adams, S. J. (1965). Inequity in Social Exchange, Advances in Experimental Social Psychology, New York, Academic Press.

29.

Blanthome, C., & Kaplan, S. (2008). An egocentric model of the relations among the opportunity to underreport, social norms, ethical beliefs, and underreporting behavior. Accounting, Organization and Society, 33, 684-703.

30.

Blau, P. M. (1964). Exchange and Power in Social Life, Wiley, New York.

31.

Constant, D., Kiesler, S., & Sproull, L. (1994). What's Mine is Ours, or Is it? A Study of Attitudes about Information Sharing. Information Systems Research. 5(4), 400-421.

32.

Edwards, W. (1954). The theory of decision making. Psychological Bulletin, 51(4), 380-417.

33.

Eiser, J. R. , & Bhavnani, K. K. (1974). The effects of situational meaning on the behavior of subjects in the Prisoner’s Dilemma Game. 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4, 93-97.

34.

Fehr, E., & Schmidt, K. A. (1999). Theory of Fairness, Competition, and Cooperation. Quarterly Journal of Economics, 114(3), 817-68.

35.

Fischbacher, U., Gachter, S & Fehr, E. (2001). Are people conditionally cooperative? evidence from a public goods experiment. Economics Letters, 71, 397-404.

36.

Gintis, H. (2000). Strong reciprocity and human sociality. Journal of the Theoretical Biology, 206, 169-179.

37.

Jackson, J. M., & Williams, K. D. (1985). Social loafing on difficult tasks: Working collectively can improve performa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9(4), 937-942.

38.

Latane, Williams & Harkins. S. (1979). Many hands make light the work: The causes and consequences of social loafing.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7(6), 822-832.

39.

Long, J. E., & Swingen, J. (1985). An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ax Equity and Tax Compliance. Journal of the American Taxation Association. Fall, 19-33.

40.

Mason, R., & Calvin, L. D. (1984). Public Confidence and Admitted Tax Evasion, National Tax Journal, 37, 489-496.

41.

Mork, K. N. (1975). Income Tax Evasion: Some Empirical Evidence, Public Finance, 70-76.

42.

Milliron, V. C. (1985) A Behavioral Study of the Meaning and Influence of Tax Complexity. Journal of Accounting Research, 23(2), 794-816.

43.

Kelley, H. H., & Thibaut, W. (1978). Interpersonal relations: A theory of interdependence. New York: John Wiley.

44.

Kravitz, D. A., & Martin, B. (1986). Ringelmann rediscovered. The original articl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0(5). 936-941.

45.

Rosenberg, M. J. (1956), Cognitive Structure and Attitudinal Affect. Journal of Abnormal and Social Psychology, 53, 367-72.

46.

Songh, Y., & Yarbrough, T. E. (1978). Tax Ethics and Taxpayer Attitudes: A Survey. Public Administraction Review, September-October, 442- 457.

47.

Spicer, M. W., & Becker, L. A. (1980). Fiscal Inequity and Tax Evasion: An Experimental Approach, National Tax Jounal, 33(1), 171-175.

48.

Srinivasan, T. N. (1973). Tax Evasion: A Model. Journal of Public Economics, 2, 339-346.

49.

Vogel, J. (1974). Taxation and Public Opinion in Sweden: An Interpretation of Recent Survey Date. National Tax Journal, 499-513.

50.

Witte, A. D., & Woodbury, D. F. (1985). The Effect of Tax Laws and Tax Administration on Tax Compliance: The Case of the U.S. Individual Income Tax, National Tax Journal, 38(1), 1-13.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