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N : 1229-0653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초․중등학생들의 인성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도구를 개발하고, 이를 타당화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선행연구 고찰,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 교사서면면담조사, 전문가 협의회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예비검사 문항을 개발하였다. 또한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여러 차례 예비검사 문항의 내용타당도를 검토 받았다. 예비검사는 전국 초․중․고 약 2,000여 명의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예비검사 결과를 분석하여 110개의 본검사 문항을 선정하였다. 본검사는 전국 1,184개교 약 40,000명의 초(5학년)․중(2학년)․고(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본검사 결과에 기초하여 10개의 하위요인을 포함하는 총 70개 문항으로 구성된 ‘KEDI 인성검사’를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최종적으로 개발된 ‘KDEI 인성검사’는 자기존중, 성실, 배려․소통, 책임, 예의, 자기조절, 정직․용기, 지혜, 정의, 시민성의 10개의 하위요인으로 구성되어 있다. ‘KEDI 인성검사’는 적절한 수준의 신뢰도(내적 합치도, 검사-재검사 신뢰도)와 타당도(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를 보였다. 마지막으로 새롭게 개발된 ‘KEDI 인성검사’가 갖는 의의와 제한점 및 추후연구에 대해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he character scale for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o evaluate its reliability and validity. To this end, this study made the best use of various methods, such as literature review, delphi survey, experts meeting, e-mail interview to teachers and developed preliminary test items. Also, to verify the content validity character experts rated those items. On the basis of the preliminary test results, 110 items of KEDI character test were selected. The KEDI character test was administered to sample of 40,000 students in elementary(fifth grade), middle(second grade) and high(first grade) school. Ten 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the results of the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ten-factor structure. KEDI character test is composed of 10 constructs, namely self-respect, integrity, emotional & social intelligence, responsibility, self-regulation, honesty & courage, wisdom, justice, and citizenship. KEDI character test shows strong levels of reliability(internal, test-retest) and clear patterns of concurrent validity. Finally, the implication of results and future direction of the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강선보, 박의수, 김귀성, 송순재, 정윤경, 김영래, 고미숙 (2008). 21세기 인성교육의 방향설정을 위한 이론적 기초 연구. 교육문제연구, 30, 1-38.
고미숙 (2008). 도덕철학적 관점의 인성교육. 강선보 외(2008), 인성교육, 파주: 양서원.
교육부 (2008. 8). 배려와 나눔으로 모두가 행복한 인성교육 강화 기본계획(안).
권석만 (2008). 긍정 심리학: 행복의 과학적 탐구. 서울: 학지사.
김주환, 김민규, 홍세희 (2009). 구조방정식모형으로논문쓰기. 서울: 커뮤니케이션북스.
김태훈 (1997). 도덕과교육에서 인성교육 방안연구. 도덕윤리과교육연구, 8, 274-314.
남궁달화 (1999). 인성교육론. 서울: 문음사.
문용린 (1995). 미국의 인성교육. 철학과현실. 12, 97-103.
박성미, 허승희 (2012). 청소년용 통합적 인성 척도 개발. 아동교육, 21, 35-47.
손봉호 (1995). 인성교육의 철학적 기초. 서울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 인성교육, 27-54.
심성보 (1999). 도덕교육담론. 서울: 학지사.
유병열, 김남준, 정창우, 김봉제, 박영하, 정병석, 조석환 (2012). 인성교육의 체계화 연구.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유병열, 윤영돈 (2013). 한국적 가치체계에 의거한 유덕한 인격 함양의 인성교육. 한국학중앙연구원 제4회 AKS포럼(주제: 한국적 가치지형도 탐구), 265-313.
이근철 (1996). 초등학교 도덕 인성교육의 발전방향. 경인초등도덕교육학회.
이명준, 진의남, 서민철, 김정우, 이주연, 김병준, 박혜정 (2011). 교과교육과 창의적 체험활동을통한 인성교육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윤옥 (1998). 유아를 위한 인성교육프로그램. 서울:창지사.
장성모 (1996). 인성의 개념과 인성교육. 한국초등교육학회 창립 10주년 학술세미나.
정창우, 손경원, 김남준, 신호재, 한혜민 (2014). 학교급별 인성교육 실태 및 활성화 방안. 교육부.
조난심, 윤현진, 이명준, 차우규 (2003). 도덕교육학신론. 서울: 문음사.
조난심, 문용린, 이명준, 김현수, 김현지 (2004). 인성 평가 척도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조연순, 김아영, 임현식, 신동주, 조아미, 김인정(1998). 정의교육과 인성교육 구현을 위한기초연구 1. 교육과학연구, 28(1), 131-152.
지은림, 도승이, 이윤선, 박소연, 주언희, 김해경(2013). 인성지수 개발 연구. 교육부.
천세영, 김왕준, 성기옥, 정일화, 김수아 (2012). 인성교육 비전 수립 및 실천 방안 연구. 교육과학기술부.
최용성 (2001). 도덕성 형성에 있어 인지와 정서의 통합적 관계에 관한 연구.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추병완 (2004). 도덕교육의 이해(증보판). 서울: 백의.
현 주, 최상근, 차성현, 류덕엽, 이혜경 (2009). 학교 인성교육 실태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황응연 (1992). 심리학과 생활. 서울: 배영사.
Berkowitz, M. W., & Grych, J. H. (2000). Fostering goodness: Teaching parents to facilitate children’s moral development. Journal of Moral Education, 27, 371-391.
Hong, S., Malik, M. L., & Lee, M. K. (2003). Testing configural, metric, scalar, and latent mean invariance across genders in sociotropy and autonomy using non-western sample.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63, 636-654.
Levesque, C., Zuehlke, A. N., Stanek, L. R., & Ryan, R. M. (2004). Autonomy and competence in German and American university students: A comparative study based on self-determination theory.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 68-84.
Lickona, T (1998). Character education: seven crucial issues. Action in Teacher Education 20(4), 77-84.
Lickona, T (2004). Character matters(New York: Simon and Schuster). 유병열 외 공역(2006), 인격교육의 실체. 파주: 양서원.
Lickona, T., & Davidson, M. (2005) Smart & Good High Schools: Integrating Excellence and Ethics for Success in School, Work, and Beyond. Courtland, NY: Center for the 4th and 5th Rs.
Pearson, Q. M., & Nicholson, J. I. (2000). Comprehensive Character Education in the Elementary School: Strategies for Administrators, Teachers, and Counselors. The Journal of Humanistic Counseling, Education and Development. 38(4). 243-251.
Peterson, C., & Seligman, M. E. P. (2004). Character strengths and virtues: A handbook and classification.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