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종교정향과 사회현상의 부적 결과에 대한 귀인의 연구 : 기독교인을 중심으로

Religious Orientation and Attribution of Negative Results in Social Phenomena : among Christian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1, v.6 no.1, pp.22-31
김동기(Dong-Gi Kim) (강남대학)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신앙의 태도에 따라 종교의 정향(목적적, 수단적, 추구적)을 구분해 보았고, 종교의 정향에 따라 사회적 현상의 부적 결과에 대한 귀인의 차이가 나는지를 알아보았다. 개신교 및 가톨릭신자, 신학대학생 등 모두 153명을 대상으로 종교정향 척도와 사회적 현상의 부적 결과에 대한 귀인의 정도를 응답하게 하여 점수화하였다. 종교척도들에 대한 요인분석을 한 결과 전제한 세 가지 정향으로 신앙의 태도를 구분지을수 있지만 각각은 독립적인 성향이라고 할 수는 없었다. 연령, 종교 경력. 종교종류의 측면에서는 귀인의 정도 차이가 없었고, 종교의 정향 중 수단적(외적) 정향과 추구적(상호작용적) 정향 간에서 귀인의 정도 차이가 유의미하게 나타났다. 그러나 기대했던 수단적 정향과 목적적(외적) 정향에서는 차의 의미가 뚜렷하지 않았다.

keywords

Abstract

This study was intended to differentiate the religious orientation according to religious attitude, an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of attribution of negative results in social phenomena according to religious orientation. Subjects (Protestants, Catholics, and Protestant college students) were asked to respond to religious orientation scales and attributional scales of negative results in social phenomena. In order to use five scales to measure the three orientations to religion, as a means, end, and quest, factor analysis was employed. It is possible to differentiate three religious orientations, but each component can not be said to exist independently. The significant distinction could not be made in attribution judgements in terms of age, religious history, and the different religions background. The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means orientation and quest orientation for attribution judgements. But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 was not found between means orientation and end orientation.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