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s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09, v.14 no.3, pp.497-510
https://doi.org/10.17315/kjhp.2009.14.3.002


  • Downloaded
  • Viewed

Abstract

The present study attemp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adolescents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Participants for the adolescents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were 456 high school students. Using factor analysis, 32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or the adolescents mobile addiction scale. The internal consistency(Cronbach ⍺) was .94. The scale extracted 4 factors: endurance and withdrawl, life difficulty, compulsion and preoccupation. It was confirmed the concurrent validity of the scale by self-control, impulsivity, loness, and depression, all of which have been validated by previous research. In conclusion, the adolescents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appears to be a highly reliable and valid measure of mobile phone addicted adolescents. The results of AMOS analyses show that the existing samples were supported by the data from the cross-validation. Finally, we discussed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an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keywords
the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s, factor analysis, concurrent validity, cross-validation, the mobile phone addiction scale for adolescents, factor analysis, concurrent validity, cross-validation, 청소년 휴대폰 중독, 문항분석, 공존타당도, 확인적 요인분석

Reference

1.

강정인 (2000). 현대인의 삶: 휴대폰 사용에 나타난 인간과 기술. 전통과 현대, 13, 163-181.

2.

곽민주 (2004). 청소년의 휴대전화 이용실태와 중독적 이용. 충북대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교헌, 김지환 (1989). 한국판 UCLA 고독척도. 학생생활연구, 16, 13-30. 충남대학교 학생생활 연구소.

4.

김선남, 김현욱 (2003). 청소년의 휴대전화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방송학보, 18(4).

5.

김영순 (2004). 고등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심리성숙도와의 관계. 인하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은영 (2007). 청소년의 우울감 및 자기통제감과 휴대폰의 중독사용과의 관계. 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정숙 (2003). 휴대폰 과다사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및 우울, 충동성. 단국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8.

박길성 (2001).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실태 및 영향. 청소년보호위원회 학술세미나; 컴퓨터게임과 휴대전화가 청소년에 미치는 영향.

9.

방송위원회 (2005). 어린이 매체 중독 연구. 방송위원회.

10.

송원영 (1998). 자기효능감과 자기 통제력이 인터넷의 중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양심영 (2002). 고등학교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 개발원.

12.

윤상오 이해경 (2006). 휴대전화 중독 원인분석. 한국정보문화 진흥원.

13.

이계원 (2001). 청소년의 인터넷 중독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이명희 (2006).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특성과의 관계: 충동성, 심리적 안녕감, 자존감, 불안, 우울 등.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이성은 (2007). 한국청소년의 일탈행동에 관한 연구.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순묵(2000). 요인분석의 기초. 교육과학사.

17.

이시형, 김학수, 나은영 (2002).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과 그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 삼성생명 공익재단 사회 정신 건강 연구소, 한국 언론학회, 1.

18.

이영옥 (2007). 초등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심리적 특성 및 학업 성취도와의 관계: 충동성, 심리적 안녕감, 자존감, 불안, 우울 등.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이현수 (1992). 충동성 검사. 서울: 한국 가이던스.

20.

이형초 (2002). 인터넷 게임중독의 진단척도 개발과 인지행동치료 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1.

임경미 (2005). 중학생의 휴대폰 중독과 자기효능감 및 자기 통제력과의 관계. 충남대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임애라 (2008). 친애욕구가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자기조절 능력의 중재효과. 카톨릭대 상담심리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3.

장혜진 (2002). 휴대폰 중독적 사용집단 청소년들의 심리적 특성-자기개념, 애착, 자기통제력, 충동성을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4.

정보통신부 (2007). 정보통신 일반통계-유무선 가입자 수. 서울: 정보통신부.

25.

조수철, 이영식 (1990). 한국형 소아우울 척도의 개발. 신경정신의학, 29(4).

26.

조수철, 최진숙 (1989). 한국형 소아의 상태특성 불안 척도의 개발. 서울의대 정신의학, 14(3), 150-157.

27.

조혜연 (2001). 청소년 인터넷 게임중독과 성격특성 변인 연구. 자기효능감, 자기 통제감, 공격성, 충동성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8.

차미숙 (2006). 외로움이 청소년의 휴대폰 중독 위험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중재요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9.

한주리, 허경호 (2004). 이동전화 중독 척도 개발 및 타당성 검증. 한국 언론학보, 48(6), 138-165.

30.

Barratt, E. (1959). Anxiety and impulsiveness related to psychomotor efficiency. Perceptual and Motor Skills, 9, 191-198.

31.

Blaszezynsk, A., Steel, Z., & McConaghy, N. (1997). Impulsivity in pathological gambling: The antisocial impulsivity. Addiction, 92, 75-87.

32.

Goldberg, I. (1995). Internet addiction. Electronic message posted to research discussion list. Retrieved October 2, 2003, from http://www. rider edu/~suler/psycyber/supporgp.html.

33.

Goldberg, I. (1996). Internet addiction disorder. Retrieved October 2. 2003. from http://www. rider edu/~suler/psycyber/supporgp.html.

34.

Griffiths, M. (1999). Internet addiction. The Psychologist, 12(5), 245-250.

35.

Katz, J.(1999). Connections: Social and cultural studies of telephone in American life, New Brunswick: Transaction Publishers.

36.

Kendall, C. P. & Wilcox, A. (1979). Self-Control in Children: Development of a Rating Scale. Journal of Consulting and Clinical Psychology, 47(6), 1020-1029.

37.

Ling, R.(2000). Direct and mediated interaction in the maintenance of social relationships. InSloane, A., van Rijn, F(Eds). Home information and telematics : Information, technology and society(pp 61-86). Boston, MA: Kluwer.

38.

Palen, L., Salzmann, M., & Youngs, E. (2001). Going wireless: Behaviours and practice of new mobile phone users. Boulder, CO. Retrieved June 4, 2004, from http://www.cs/colorado. edu/~palen/Papers/cscwPalen.pdf

39.

Rubin, R. B., Perse, E., & Barbato, C.A.(1988). Conceptualization and measurement of interpersonal communication motives. Human Communication Research, 14, 602-628.

40.

Russell, D., Peplau, L. A., & Cutrona, C. E. (1980). The revised UCLA lonliness scale: Concurrent and discriminant validity evidence.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9, 472-480.

41.

Spielberg, C. D. (1972). Theory and research on anxiety. In C. D. Spielberger (Ed). Anxiety and Behavior, 3-20. New York: Academic.

42.

Young, K. S. (1996). Internet addiction: The emergence of a new clinical disorder. Cyber Psychology and Behavior, 1, 237-244.

43.

Young, K. S. & Rogers, R.(1997).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internet addiction. Cyberpsychology and Behavior, 1, 25-28.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