긍정심리학은 인간의 약점과 결함에 치중된 불균형적인 관점 대신에 인간의 강점을 포괄한 통합적이고 균형 잡힌 관점을 지향하며, 정신건강을 단순히 증상이 없는 상태를 넘어 개인의 강점과능력이 최대한 발현되는 상태로 확장시켰다. 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의 기조에 근거하여 개인의 강점을 인식하고 발휘함으로써 정신건강이 증진되고 부적응적 증상이 예방될 수 있는지를 경험적으로 입증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개인의 강점을 활용하는 강점집단, 약점을 보완하는 약점집단, 강점활용과 약점보완을 합친 통합집단의 세 가지 처치집단의 효과를 비교함으로써, 어떠한 개입방식이 정신건강 증진에 가장 효과적인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집단의 주효과 및 집단과 시기의상호작용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강점집단의 효과는 처치 직후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난 바, 행복과 정적정서, 자존감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부적정서와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통합집단의 효과는 처치 한달 후 유의한 것으로 나타난 바, 행복과 자존감이 증가하였고 부적정서와 우울이 감소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개인의 강점을 활용한 개입이 정신건강에즉각적 효과를 보이는 한편, 개인의 강점과 약점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통합적 개입이 지속적이고장기적 효과를 보일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한계 및 후속 연구를위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Positive psychology supports integrative and balanced perspective on human weakness and strength. It extends the definition of mental health to the presence of well-being and optimal functioning beyond the absence of mental illnes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whether acknowledging one's signature strengths and applying these to daily life could increase mental health was examined in this study. Strength-focused treatment, weakness-focused treatment, and integrative treatment including strength and weakness were directly compared to each other. As a result, main effect of group and interaction effect of group×tim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Specifically, strength-focused treatment was effective for instant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while integrative treatment was effective for constant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rther research are discussed.
개인이 선행 자기조절과 후속 목표 수행을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상황에서 선행 자기조절 과제(게임)와 후속 목표(실험과제) 모두를 ‘하기’로 틀짓기한 조절틀 부합조건(예: ‘10분간 게임하고 과제하기’)과 선행 자기조절 과제는 ‘중단하기’로 그리고 후속 목표 수행은 ‘하기’로 틀짓기한 조절틀비부합조건(예: ‘10분 후 게임 중단하고 과제하기’)의 자기조절 효과성을 실험연구를 통해서 검증했다. 총 31명의 남녀 대학생들을 조절틀 부합 조건과 비부합 조건에 무선배정하고, 자기조절 과제와 후속 과제의 지시문을 통해 조절틀 부합(‘하기’-‘하기’, ‘중단하기’-‘하기’)을 조작했다. 실험결과, 남자 참가자들의 경우 선행 자기조절 과제에 해당하는 게임에서 조절틀 부합 조건이 비부합 조건보다 게임 지속 시간이 짧아서 조절 수행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여자 참가자들에서는 실험 조건 간 차이가 없었다. 본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연구의 제한점 및 장래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The pres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ction/inaction' frame-fit on individuals' sequential self-regulation. We employed a situation where individuals engaged in two actions that require self-regulation in a sequential manner (i.e., playing a game, then working on an experimental task). We induced a frame-fit('action'-'action') or a frame-misfit ('inaction'-'action') using task instructions ("play the game for 5 min., then work on the task" vs. "stop the game after 5 min., then work on the task"). A total of 31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two conditions of the experiment. Results indicated that male participants regulated the amount of time spent on the game more effectively in the frame-fit condition than in the frame-misfit condition. No significant effects were observed among female participant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finding along with future research direction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과 절식태도, 통제력을 잃은 섭식행동의 관계를 알아보고, 이 관계에서, 신체불만족의 매개효과와 특성과 상태로서의 마음챙김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조사연구를 통해 남·여 275명을 대상으로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압력이 신체불만족을 매개로 절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마음챙김이 압력과 절식태도의관계를 조절하는지를 확인하였다. 연구 2에서는 조사연구대상 중 34명을 무작위 선별하여 실험을통해 연구 1의 결과를 재검증하였다. 또한 절식태도와 섭식행동에 대한 마음챙김과 호흡훈련의처치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1의 결과, 신체불만족이 날씬함에 대한 사회문화적 압력과절식태도간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검증되었으며, 사회적 압력과 특성으로서 마음챙김의상호작용효과가 절식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함이 검증되었다. 연구 2의 결과, 신체불만족이 절식태도에 미치는 영향과 절식태도가 섭식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유의하였다. 한편 신체불만족과섭식태도의 관계에서 마음챙김 조절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즉, 신체불만족은 압력과 절식태도의관계에서 주요요인이며 마음챙김은 보호요인이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에서는 본 연구 결과의 의의와 제한점에 대해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pressures of being slim and restrained eating attitudes and uncontrolled eating behaviors, from which mediating effects of body dissatisfactions and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as traits and states are investigated. In study 1, 275 males and females were examined in order to assist in a better understanding the effects of sociocultural pressures of being slim due to restrained eating attitudes by mediation of body dissatisfactions, and verify whether mindfulness, moderated them. In study 2, 34 were randomly selected and evidence of associations between variables were added through an experiment, which were verified in study 1 examining whether restrained eating attitudes really affected eating behaviors. In the result of study 1, it was verified and found to be significant that body dissatisfactions was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ocultural pressures of being slim and restrained eating attitudes, effecting interactions between body dissatisfaction and mindfulness as traits on restrained eating attitudes. The analysis in study 2 showed that effects of body dissatisfaction on restrained eating attitudes, and restrained eating attitudes on eating behaviors, were all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moderating effects of mindfulness on body dissatisfaction and eating attitudes could not moderate them. In other words, body dissatisfaction was main factor between sociocultural pressures of being slim and restrained eating attitudes, while mindfulness was a protection factor. In addition, th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합리적 정서행동치료(REBT)가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신체불만족을 가진 남/여 대학생들의 부적응적인 완벽주의, 신체불만족 및 신체상에 대한 암묵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4년제 대학교에 재학 중인 173명의 남녀 대학생들에게 부적응적 완벽주의 척도, 신체불만족척도를 실시하여, 상위 25%에 해당하면서 프로그램에 참여 의사가 있는 16명을 선발하여 8명은합리적 정서행동치료집단에, 나머지 8명은 통제집단에 각각 배정하였다. 치료 전, 후 그리고 프로그램이 끝난 한 달 후에 부적응적 완벽주의 척도, 신체불만족 척도 그리고 암묵적 연합 검사(Implicit Association Task, IAT)를 실시하였다. REBT 프로그램은 총 8회기로 진행되었고 그 결과, 처치집단이 통제집단 보다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신체불만족 수준이 유의하게 더 감소되었고, 이는 한 달 후인 추적조사까지 유지되었다. 암묵적 연합 검사의 결과를 살펴보면, 조건 간 반응시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변화되지 않았지만, 처치집단에서 불일치조건(예, 비만사진-긍정단어)의 반응시간이 사전검사에 비해 추적조사에서 유의하게 더 빨라진 것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 제한점 및 후속 연구를 위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explored the effect of rational emotive behavior therapy(REBT) on maladaptive perfectionism, body dissatisfaction, and implicit attitude toward body image in college women and men. A total of 173 college students who attended 4-year university completed frost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FMPS) and multidimensional body self-relations(MBSR) questionnaire. Sixteen(double check here) students who were at top 25percent of both scales and wanted to participate in this study were selected.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8 in therapy group and 8 in control group) according to program schedules. All participants completed the FMPS, the MBSR questionnarire, and implicit association test(IAT) at pre-treatment, end of treatment, and 4 weeks follow-up periods. REBT program was administered for 8 sessions. Our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body dissatisfaction were significantly more decreased in the therapy group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se results were maintained at one month follow-up. In addition, response time for inconsistent condition(eg,‘fat picture-positive words’) in the therapy group were significantly reduced at follow-up compared to pre-treatment.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s well as suggestions for future study were also discussed.
Existent experimental study on Asian emotional expressivity suggested that expressions of emotion are different between social situation and private situation. Therefore, this study considered emotional expressivity in two types. The first type of emotional expressivity was co-emotional expressed in social situation. Most existent emotional expression scale uses CEE. The second emotional expressivity was alone-emotional expression(AEE) expressed in private situation. In Study 1, AEE sclae(AEES)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is study, preliminary scale with a total of 31 items was administered to 230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12 items were selected. They were administered to 294 college students. According to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10 items were finally selected for AEES. Reliability of the AEES was evidenced by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adequate test-retest reliability estimates over a three-week period. In Study 2,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nor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express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as deter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norm was tested using the procedure of Baron and Kenny񢉂). There was no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norm between AEE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ntrast,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of emotional norm between CEE and subjective well-being.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내현적 자기애, 경험회피 및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탐색하고, 내현적 자기애와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에서 경험회피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342명(남: 139, 여: 203)의 성인이고, 이들의 평균 연령은 25.45세였다. 본 연구에서는강선희와 정남운의 내현적 자기애 척도, 수용행동질문지(AAQ-16)와 정소영과 김종남의 SNS 중독경향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분석 결과, 여성이 남성보다 경험회피를 더 많이 하고 SNS에 중독되는 경향성도 강했다. 내현적 자기애와 경험회피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었으며, 내현적 자기애와경험회피는 SNS 중독경향성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위계적 회귀분석과 Sobel검증에서는 경험회피가 내현적 자기애와 SNS 중독경향성 간의 관계를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단계적 회귀분석에서는 내현적 자기애 하위요인 중에 착취와 자기중심성이 SNS 중독경향성을 가장잘 설명하였으며, 내현적 자기애에 더해 전념행동의 추가 설명력도 유의하였다. 내현적 자기애와경험회피의 부정적 영향에 관해서는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논의하고 추후연구의 방향과 내현적자기애에 대한 수용전념치료나 인지행동적 접근의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s among covert narcissism, experiential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nd 2)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experiential avoidance between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A total of 342 adults (139 males and 203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ir average of age was 25.45 years. Psychological tests used in this study included the following: Gang and Chung’s Covert Narcissism Scale, Acceptance and Action Questionnaire-16 (AAQ-16), and Jung and Kim’s SNS Addiction Proneness Scale. Our results indicated that females were more likely to show experiential avoidance and SNS addiction proneness. Covert narcissism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experiential avoidance, while covert narciss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SNS addiction pronenes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and Sobel test revealed that experiential avoidance partially mediated covert narcissism and SNS addiction pronenes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among the factor of covert narcissism, exploitation/ego-centrism accounted for most variance of SNS addiction proneness. Additional accountability of commitment behavior was significant. The negative effects of covert narcissism and experiential avoidance were discussed and compared to previous studies. The directions for further studies are discussed. Acceptance commitment therapy and cognitive behavioral approaches are recommended for covert narcissism.
자기연민과 타인연민, 마음챙김 수준 및 삶의 질의 관계에 대한 대안모형들을 검증함으로써,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의 수련이 서로 다른 과정을 통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검증하고자 했다. 기존의 연구결과와 이론적 논의를 통해 이들 변수들의 관계에 관한 4개의 인과모형을상정하고 모형적합도를 비교하였다. 분석용 자료는 대학생 373명의 대상으로 한국판 마음챙김 주의자각척도(K-MAAS), 한국판 자기자비척도(K-SCS), 한국판 세계보건기구 삶의 질 척도 단축형(K-WHOQOL-BREF), 아주연민사랑척도(ACLS)를 이용해서 수집하였다. 비교분석결과 채택한 모형은 첫째, 마음챙김은 자기연민을 통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지만 타인에대한 연민에는 영향력이 없으며, 둘째, 자기연민은 가까운 친지에 대한 연민을 통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며, 셋째, 가까운 타인에 대한 연민은 삶의 질에 직접적인 영향을미치면서 동시에 잘 모르는 일반인에 대한 연민에도 영향을 미치지만, 일반적인 타인에 대한 연민은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보여주었다. 연구결과를 마음챙김명상과 자비명상수련이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과 관련해서 해석하였고, 향후 연구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is study assessed different causal models of relationship among self-compassion, other-compassion, mindfulness and quality of life. Based on theories and empirical evidences related to mindfulness meditation and loving-kindness meditation, four alternative models representing different causal relationships among mindfulness, self-compassion, othercompassion, and quality of life were derived and compared. The following questionnaires were administered to 373 college students: Self-report scales for mindfulness (K-MAAS; Kwon, & Kim, 2007), self-compassion (K-SCS; Kim, et. al., 2008), two-kinds of other-compassion (ACLS-CO and ACLS-SH; Gim, & Shin, 2014), and quality of life (K-WHO-QOL-BREF, Min, et al., 2002). Of four alternative models, one model showed a better fit than the rest, meeting recommended criteria of fit indices such as CFI, NFI, TLI and RMSEA. According to this model, mindfulness showed both direct and indirect effects(via self-compassion) on quality of life. However it had no correlation with compassion for close-others or for strangers. In addition, self-compassion significantly affected quality of life, and compassion for close-others.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compassion for strangers. Furthermore, compassion for close-others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the quality of life and compassion for strangers. However, compassion for strangers did not affect the quality of life. Our results suggested that the underlying processes of meditation practice on quality of life could be somewhat different depending on the kind of meditation practice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사회불안장애의 특징인 응시불안 및 응시회피를 측정하는 응시불안평가척도(Gaze Anxiety Rating Scale)를 번역하여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대학생333명을 대상으로 응시불안평가척도와 사회불안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함께 실시하였다. 요인분석결과, 응시불안 하위척도는 3요인이었으며 응시회피 하위척도는 4요인으로, 주로 다수에게 주목을받는 상황에서 응시불안을 느끼며 자신의 의견을 말하거나 평가 받는 상황에서 응시회피를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시불안평가척도의 전체 문항 및 하위 척도 모두 높은 수준의 내적일치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보였으며 사회불안과 관련된 다른 척도와도 높은 수렴타당도를 보이는것으로 나타났다. 응시불안평가척도의 문항변별도와 응답자 특성을 추정하기 위해 다분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분석으로 문항변별도와 경계특성곡선 위치의 유사성을 분석한 결과, 모든 문항이 높은 변별력을 보여 제거할 문항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다양한 치료적, 연구적 장면에서 객관적인 관찰방법에 국한되어 측정되던 응시불안 및 응시회피가 한국판 응시불안평가 척도를 통해 그 주관적 보고 또한 신뢰롭게 평가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psychometric properties of the Korean version of Gaze Anxiety Rating Scale (K-GARS) with factor analysis and polytomous item response theory(polytomous IRT). A total 333 university student were asked to respond to K-GARS and questionnaires to measure social anxiety tendenc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four factor structures in gaze avoidance dimension and gaze anxiety dimension, consisting of three factor structure with a high internal consistency and convergent validity. People mainly reported gaze avoidance in the public speaking or evaluative situation. They felt gaze anxiety when they were engaged in public attention. Polytomous IRT revealed that all items had appropriate discrimination to measure the trait of gaze avoidance and gaze anxiety accurately. Therefore, no item was eliminated from the original GARS. This suggested that Korean version of GARS could be extended from the restricted study field of gaze avoidance and gaze anxiety where empirical data are mostly studied. It could also be practically used in clinical context with a high reliability.
본 연구에서는 노인 우울장애의 임상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143명의 노인 우울장애 집단과142명의 MMPI-2의 노인 표준화 집단을 대상으로 MMPI-2-RF의 척도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집단 간 차이 검증 결과,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의기소침(RCd), 신체증상 호소(RC1), 낮은 긍정정서(RC2), 역기능적 부정 정서(RC7), 신체적 불편감(MLS), 소화기 증상 호소(GIC), 두통 호소(HPC), 인지적 증상 호소(COG), 자살/죽음 사고(SUI), 무력감/무망감(HLP), 자기회의(SFD), 스트레스/걱정(STW), 불안(AXY), 분노 경향성(ANP), 행동 제약 공포(BRF), 다중 특정 공포(MSF), 수줍음(SHY), 관계단절(DSF),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내향성/낮은 긍정 정서성(INTR-r) 척도에서 노인 우울장애 집단이 유의미하게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반면, 경조증적 상태(RC9) 척도에서는 노인 우울장애 집단이 유의미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변인들을 대상으로어떠한 변인이 가장 강력하게 두 집단을 구별하여 주는지 살펴보기 위해 로지스틱 회귀 분석을시행하였다. 집단 간 차이를 보인 MMPI-2-RF 변인 중 정서적/내재화 문제(EID), 의기소침(RCd), 경조증적 상태(RC9), 신체적 불편감(MLS), 부정적 정서성/신경증(NEGE-r), 내향성/낮은 긍정적정서성(INTR-r)이 나이, 교육수준을 통제한 이후에도 두 집단을 유의미하게 구별하여 줄 수 있는척도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elderly depression using MMPI-2-RF. A total of 143 elderly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142 elderly people from MMPI-2 normal population of Korea as controls were used in this study. Our results showed that the followings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the elderly depressed patients compared to normal elderly people: emotional/internalizing dysfunction, demoralization, somatic complaints, low positive emotions, dysfunctional negative emotions, malaise, gastrointestinal complaints, head pain complaints, cognitive complaints, suicidal/death ideation, helplessness/ hopelessness, self-doubt, stress/worry, anxiety, anger proneness, behavior restricting fears, multiple specific fears, shyness, disaffiliativeness, negative emotionality/neuroticism-revised, and the introversion/low positive emotionality revised scale. However hypomanic activation scale was significantly lower in elderly controls. Emotional/internalizing dysfunction, demoralization, hypomanic activation, malaise, negative emotionality/neuroticisim-revised, and introversion/low positive emotionality-revised were proved to be the most significant predictors for distinguishing elderly depressed patients from normal elderly control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attention 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성향을 가진 대학생들이 인지 기능의 저하를 가지고 있는지와 이들의 신경심리검사 수행과 ADHD 증상이 어떻게 관련되어 있는지를 포괄적인 신경심리 배터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Korean(CAARS-K)와 Adult ADHD Self-Report Scale(ASRS) 질문지의 점수에근거하여 성인 ADHD 성향군(n=31)과 정상통제군(n=32)을 선택하였고, 신경심리 기능은 주의, 언어/비언어 기억, 간섭 통제, 언어 유창성, 개념 전환, 작업기억으로 구성되어 있는 집행기능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 정상통제군에 비해 성인 ADHD 성향군이 주의 검사와 집행기능 중 간섭 통제, 언어 유창성, 작업기억을 평가하는 검사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였다. 또한 ADHD 성향군이정상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우울과 불안 수준을 보였으며, 우울과 불안을 통제한 후에는주의 검사 중 d2와 집행기능을 측정하는 스트룹의 색채-단어 조건과 공간 폭 검사에서 정상통제군에 비해 유의하게 낮은 수행을 보임이 관찰되었다. ADHD 성향군의 신경심리검사 수행과ADHD 증상 간의 관련성을 분석한 결과, d2의 정반응 점수, 주의집중력지표와 CAARS-K의 하위척도인 DSM-IV total 점수 간에 부적상관이 관찰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성인 ADHD 성향군이주의와 집행기능의 어려움, 즉 지속적인 주의집중의 어려움, 무질서함, 인내심 부족뿐만 아니라 조직화하는 능력의 결여, 계획성 부족, 체계적이지 못한 학업 및 직무수행, 규칙이나 지시를 따르지못하는 등의 어려움을 가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its relationship to attention-deficit/hyperactivity disorder (ADHD) symptoms in nonclinical college students with ADHD traits using a comprehensive battery of neuropsychological tests. Based on the scores of the Conners' adult ADHD rating scales-Korean (CAARS-K) and adult ADHD self-report scale (ASRS), ADHD trait (n=31) and normal control (n=32) groups were selected. Verbal/nonverbal memory,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s were evaluated. Compared to the normal control group, the ADHD trait group showed significantly poor performances on attention, interference control, verbal fluency and working memory. In addition, the ADHD trait group showed poorer performance on d2, Stroop color-word condition, spatial span after controlling for the effects of depression and anxiety. In terms of relationships between neuropsychological functioning and ADHD symptoms in ADHD trait group, a negative correlation was observed between the performance of d2 test and DSM-IV total scores of CAARS-K.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attention and executive functioning were impaired in college students with ADHD traits. These individuals seemed to have difficulties in attention/concentration, being disorganized, lacking persistence, being poor in planning, with poor academic and job performance.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을 대상으로 대인관계 만족도, 인터넷 게임중독 및 정서적 문제간의인과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변인들 간의 인과관계를 파악하기 위해 2013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전국 16개 시도의 초등학교 4-6학년을 대상으로 수집한 자료를 활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최종 모형에 의하면, 초기 청소년기의 대인관계 만족도가 클수록 정서적 문제(우울, 불안)가 감소했고, 대인관계 만족도는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을 낮추며, 인터넷 게임중독 경향성이클수록 정서적 문제가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대인관계 만족도가 정서적 문제에 직접적인영향을 미쳤고, 인터넷 게임중독을 매개하여 간접적으로도 정서적 문제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초기 청소년기의 대인관계, 인터넷 게임중독과 정서적 문제간의 관련성을 확인한 초기의 시도이며, 향후 청소년기의 다양한 행위중독 문제에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아울러, 초기청소년기의 인터넷 게임중독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대인관계 문제에 대한 조기 개입이 중요하며, 인터넷 게임중독의 효과적인 개입이 청소년기의 정서적 문제와 정신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있음을 시사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causal relation amo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emotional problems in early adolescents. Data regarding internet game addiction, depression, anxiety,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ere collected from sixteen different cities in South Korea by Korea Adolescents Policy Institute in 2013. Our results revealed that when early adolescents had higher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their emotional problems including depression and anxiety decreased. In addition, interpersonal relationship satisfaction lowered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Furthermore, higher internet game addiction tendency increased emotional problems. This preliminary trial was performed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game addiction and emotional problems. Our result could be applied to various behavioral addiction problems in late adolescents. Early intervention for interpersonal problems should be seriously considered to prevent internet game addiction in early adolesc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