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한국 성인초기 남녀를 대상으로 관계중독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고 타당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내외의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관계중독의 개념을 구성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58개의 예비문항을 제작하였다. 또한 척도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해 국내의 성인초기 남녀 324명을 대상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16문항으로 이루어진 4개 요인이 확인되었다. 1요인은 ‘갈망’으로 친밀한 관계 경험에 과도하게 몰입하고 갈구함, 2요인은 ‘금단’으로 관계 속에 있지 않을 때 느끼는 심리적 괴로움, 3요인은 ‘통제 결여’로 관계 경험을 조절하거나 줄이거나 중지시키려는 노력이 반복적으로 실패함, 4요인은 ‘손상’으로 관계 경험에 대한 몰입으로 인해 다른 중요한 관계, 일자리, 교육적·직업적 기회를 상실하거나 위험에 빠뜨리는 것을 측정하였다. 다음으로 국내 성인초기 남녀 314명을 대상으로 확인적 요인분석 및 타당화를 검증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모형이 적합함을 확인하였고 수렴 타당도, 판별 타당도, 증분 타당도 모두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4주 후 실시한 재검사를 통해 안정적인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at Korean early adulthood. After thoroughly reviewing studies, a relationship addiction scale of 58 items was developed. Among 324 early adults,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resulting in four factors consisting of 16 items each. Factor 1 ‘craving’ is related to be excessive immersed in intimate relationship and Factor 2 ‘withdrawal’ is related to psychological distress when not in a relationship. Factor 3 ‘lack of control’ is related to failing repeatedly when controlling, reducing, or ending a relationship. and Factor 4 ‘damage’ is focused on losing an opportunitye or endangering other relationships such as a, job or obtaining an education. In sequence,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a validity analysis were conducted on data obtained from 301 of the selected early adulthood subjects. The result of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e goodness-of-fit for the model, and convergent, discrimination, and incremental validity of it were confirmed. When a retest was conducted four weeks later, the test-retest reliability of the model was confirmed as well. Finally, the academic significance, sugges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are discussed.
본 연구는 구급대원의 감정노동 경험의 상황과 영향을 탐색하고 이해하는데 그 목표가 있다. 연구참여자는 눈덩이표집을 사용하여 모두 10명으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Giorgi(2009)의 현상학적 접근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의미단위 과정을 거쳐 면담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28개 중심의미, 하위주제 11개, 주제 5개가 도출 되었다. 구급대원이 경험하는 감정노동의 주제는 마음의 상처가 반복되는 현상, 마음 둘 곳 없는 환경, 유연함을 잃어가는 마음, 긴장되는 관계, 직무회의감 등으로 나타났다. 구급대원들이 감정노동의 원인으로 선택한 것은 존재가치를 떨어뜨리는 말, 외상으로 이어지는 무차별적인 행동, 지지가 부족한 조직, 효용성이 낮은 시스템, 공권력 없는 의무와 책임 등 이었다. 이렇게 발생한 감정노동은 심리적 각성상태, 부정적인 성격, 단절된 인간관계, 가족관계 위축, 사라진 열정 등으로 이어진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구급대원이 감정노동에서 벗어날 수 있는 개인적 방법과 직무자원의 지원방안에 대한 논의를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nd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impact of the emotional labor experience. In this study, paramedics with emotional labor experience were chosen by using the snowball sampling-peer recommendation method. In all, 10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once and analyzed by the phenomenological approach of Giorgi(2009). To summarize the primary results of the research, 28 of semantic meanings, 11 of sub-topics, and five of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categorization of the interview data through semantic process. The themes experienced by paramedics are the following; repeated states of the wounds, poor conditions which can't be relied on, rigid state of mind, strained relations, state of being sick of working. The causes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d by paramedics are the following: indiscriminate words and actions, organizations and systems that leave deep scars on my body and mind, which are traumatized, and negative experiences proceeding with trauma that lead to skepticism of the work. These emotional labors are led to the psychological awakening state, negative personality, disjointed human relationship, shrinking family relationship, and loss of passion. In this study, thus, we are proposing a program to reach out to paramedics at a personal level to relieve the stress from emotional labor and discussion of supporting job resources. Also, there are meaning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in the following passage.
본 연구는 외현적 자기애 성향과 타인승리정보가 도박행동과 도박수행 과대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320명의 남자 대학생 표본을 모집하여 외현적 자기애 고집단(n=29)과 저집단(n=30)을 선별하였다. 그리고 이들을 타인승리정보 유/무 조건에 무선배정하여 각 집단의 도박행동과 도박수행 과대평가를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외현적 자기애 수준이 높은 경우와 타인승리정보가 주어졌을 때 도박수행 과대평가와 도박횟수가 증가하였다. 충전횟수는 외현적 자기애자가 많았는데 특히 타인승리정보가 있을 때 그 효과가 두드러졌다. 본 연구에서는 도박문제의 위험요인으로 외현적 자기애 성향과 타인승리정보의 영향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외현적 자기애 성향을 지닌 사람이 타인승리정보에 노출될 경우 더욱 취약할 수 있음을 제안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의 의의를 논하며, 연구의 제한점과 추후 연구제언을 기술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nfirm the effects of overt narcissism and reports of wins on gambling behavior and overestimation in gambling. In this study, 320 male students completed surveys that measured the levels of overt narcissism. Some were later classified in the high overt narcissism group (n=29) and the low overt narcissism group (n=30) and were randomly assigned based on two conditions: absence or presence of reports of wins. The gambling behavior and overestimation in gambling of each group were measured. The results show that the main effect of overt narcissism and reports of wins on the number of gambling and overestimation in gambling. It was found the main effect of overt narcissism is based on the number of charges. Also, the main effect of reports of wins and the effect of interaction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reports of wins on the number of charges have significant tendency. In this study, the influence of overt narcissism and reports of wins was confirmed as a risk factor of gambling addiction suggesting that overt narcissists may be more vulnerable if exposed to reports of wins. After discussing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ts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escribed.
본 연구는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의 저자들이 포함되어 있는 “한국인의 사회적 삶, 건강한 노화(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 연구팀에서 60세 이상의 노인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연구의 데이터를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외향성은 고독감에 직접적인 효과를 미쳤으며 사회연결망 크기의 경우 고독감과 직접적인 관련을 보이지 않았으나 사회적 상호작용을 매개로 하여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외향성이 사회적 상호작용과 관련성을 보이지 않은 결과는 참가자들이 거주하고 있는 농촌지역의 특성상 접촉빈도나 의사소통의 횟수가 많을 수 밖에 없다는 점에 의한 것 때문이라 생각되어진다. 외향성이 통제된 상태에서 사회적 관계 크기가 사회적 상호작용을 통해 고독감을 예측한다는 점은 노인에게 있어 친한 사람의 수가 중요한 것이 아닌 얼마나 자주 그 사람들과 상호작용 하느냐가 고독감과 더 관련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성공적인 노화를 위하여 노인들의 고독감을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사람들과의 상호작용이 강조되어지는 심리사회학적인 프로그램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 of extraversion, social network size, and social interaction on loneliness among the elderly. To examine our hypothesis, we used data from the “Korean Social Life, Health, and Aging Project; KSHAP”study, which included authors of this study. A total of 122 older adults completed the Big Five Inventory, the UCLA Loneliness Scale, and the General Social Survey. These data were analyz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were as follow. First, loneliness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social interaction, and extraversion, while the social network size was not significant. Second, the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the social network size was significantly mediated by social interaction after adjusting for extraver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social interaction which reflects frequent meetings and communication is crucial in predicting loneliness among the elderly. It is also meaningful in understanding the path of loneliness.
본 연구의 목적은 긍정심리중재법 중 하나인 웰빙인지기법을 스마트폰 앱(App)으로 제공하여 중년기 성인의 우울 및 주관적 웰빙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은 연구자가 설정한 기준에 부합하는 만 40세∼만 59세의 성인으로, 처치집단 23명, 대기통제집단 25명으로 무선할당 했다. 처치는 4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참가자들에게 매일 1회 이상 앱에 접속하도록 했다. 처치 전, 처치 후에 통합적 한국판 우울척도, 한국판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척도, 긍정정서 및 부정정서, 삶의 만족 및 삶의 만족예상을 측정했다. 분석 결과, 처치집단이 대기통제집단에 비해 우울이 유의하게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적 정서조절전략의 경우, 적응적 인지전략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비적응적 인지전략은 사전-사후 변화와 집단 간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집단 별 사전-사후 차이를 비교해 보았을 때 처치집단에서만 그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 주관적 웰빙의 경우 긍정정서, 삶의 만족, 삶의 만족예상이 유의하게 증가했고, 부정정서가 유의하게 감소함에 따라 주관적 웰빙이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RCI의 경우 처치집단에서 평균 55.3%, 대기통제집단에서 평균 14.3%의 처치반응률을 나타냈다. 두 집단 간 신뢰변화지수는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추후 연구를 위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using thesmartphone app on the Depression and Subjective Well-bing of Mid-life Adults scal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age 4059. They were allocated to the experimental group of 23 participants and the wait-control group of 25 participants.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four weeks. The experimental group used the well-being cognition technique smartphone app and instructed to complete the app at least once daily. Measurements in this study included the Korean version of the Center for Epidemiological Studies-Depression Scale (K-CES-D), Korean version of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Questionnaire (K-CERQ), the Positive Affect and Negative Affect Schedule (PANAS), the Satisfaction with Life Scale (SWLS), and the Life Satisfaction Expectancy (LSES). The results of study are as follows. The scores of depress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For the K-CERQ, the scores of 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But the scores of mal-adaptive cognitive emotion regulation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difference between pre-post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subjective well-being, the scores of Positive Affect, SWLS, and LSE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And, the scores of the Negative Aff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compared to the wait-control group. In the RCI, the treatment response rate was approximately 55.3%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14.3% in the wait-control group. The RCI is significant between the groups. The meaning of this study and subsequent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치료적 개입의 효과를 살펴보기 위하여, 2019년 7월까지 국내에서 진행된 연구 32편을 선정하고 205개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종속변인은 외상 후 성장, 긍정성 변인, 부정성 변인으로 나누어 개입의 효과를 분석하였다. 개입 효과에 영향을 미치는 조절변인으로 대상자 연령, 외상 유형, 개입 유형, 주요 개입법, 회기 수, 회기당 시간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평균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외상 후 성장을 높이는 데 1.141의 큰 효과, 긍정성 변인의 증진에서 .979의 큰 효과, 부정성 변인의 감소에서 -.618의 중간 정도의 효과가 나타났다. 조절효과 분석 결과 부정성 변인의 감소 효과에서는 외상 유형과 주요 개입법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지만, 외상 후 성장과 긍정성 변인의 효과크기는 조절변인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출판편향으로 인해 추정된 효과크기가 과장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효과크기를 교정한 후에도 그 값은 여전히 유의하였다. 종합하면, 외상 후 성장을 위한 치료적 개입이 국내의 외상 경험자의 성장을 돕는 것과 함께 정신건강을 위한 적응적인 측면을 증진시키고 부적응적인 측면을 감소시키는 데에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시사점과 추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meta-analysis was to evaluate the effectiveness of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growth with 205 effect sizes of 32 studies conducted in Korea until July, 2019. The effectiveness was evaluated on dependent variables categorized with posttraumatic growth, positive variables, and negative variables. The moderating effect was also analyzed with moderator variables which included participants’ age, type of trauma, type of intervention, major intervention, number of sessions, and duration per session. The average effect sizes were large for posttraumatic growth (g = 1.141) and positive variables (g = .979), and moderate for negative variables (g = -.618). The moderation analyses revealed that significant different effects were found in negative variables according to type of trauma and major intervention, but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posttraumatic growth and positive variables. The real effect sizes maybe smaller than estimated effect sizes because of the publication bias in our results. However, the corrected values of effective sizes were still significa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herapeutic intervention for posttraumatic growth is effective in faciliating growth as well as increasing adaptive aspect and decreasing maladaptive aspect for the mental health of Korean clients with trauma.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