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 P-ISSN1229-0653
  • KCI

인터넷 댓글이 정치인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 정정 메시지의 역할을 중심으로

Effects of Online Comments on Judgments of a Politician: The Role of Correction Message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2010, v.24 no.2, pp.133-150
https://doi.org/10.21193/kjspp.2010.24.2.008
전우영 (충남대학교)
김병준 (동서리서치)

초록

본 연구에서는 두 개의 실험을 통해서 인터넷 댓글이 정치인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이 정정 메시지에 의해 어떻게 변화되는지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정정 메시지가 없는 경우에 정치인에 대한 판단은 댓글의 내용에 의해 결정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긍정적 댓글 조건의 실험참여자가 부정적 댓글 조건의 실험 참여자보다 정치인을 더 좋게 평가했으며, 정치인에 대한 투표의향도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지어 댓글이 전혀 근거가 없고 타당하지 않은 경우에도 정치인에 대한 판단은 댓글에 의해 크게 영향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정정 메시지가 주어진 경우에는 댓글이 정치인에 대한 판단에 미치는 영향은 제거되었다. 논의에서는 정치인에 대한 판단에서 인터넷 댓글과 정정 메시지의 역할에 대해 알아보았다.

keywords
인터넷 댓글, 정정 메시지, 정치인에 대한 판단, on-line comments, correction messages, judgment of a politician

Abstract

Two experiments examine how online comments and correction messages affect individuals' judgments of a politician. The results show that individuals' judgments of a politician are dependent on the valence of online comments when the correction message is absent. That is, in the absence of a correction message, individuals made more positive judgments of the target politician when the online comments described him in a positive (vs. negative) way. Even when the online comments were invalid, individuals' judgments of the politician were heavily influenced by the online comments. However, when the correction message was present, the influences of online comments on judgments of the politician disappeared. The role of online comments and correction messages in the formation of individuals' judgments of politicians is discussed.

keywords
인터넷 댓글, 정정 메시지, 정치인에 대한 판단, on-line comments, correction messages, judgment of a politician

참고문헌

1.

김병준, 전우영 (2007). 인터넷 쇼핑에서 사용후기가 제품에 대한 평가에 미치는 영향: 제품에 대한 지식의 역할. 2007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578-579.

2.

김재휘, 김현주 (2003). 사용후기의 어떤 특성이 소비자를 설득하는가?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논문집,69-70.

3.

뉴시스 (2006. 10. 28). 네티즌, 정당 댓글 알바 논란.

4.

문화일보 (2002. 12. 23). 노무현 후보 당선은 네티즌의 승리.

5.

미디어 오늘 (2006. 9. 22). 네티즌 80%, 기사와 함께 댓글 읽는다.

6.

박은아 (2007). 온라인 사용후기가 구매의사결정에 미치는 효과: 후기방향성, 브랜드인지도, 제품유형에 따른 차이. 광고학연구, 18, 7-22.

7.

박찬, 유창조 (2006). 온라인에서의 구전커뮤니케이션이상표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표사용후기와 답글을 중심으로. 소비자학연구, 17(1), 73-93.

8.

성영신, 박진영, 박은아 (2002). 온라인 구전정보가 영화 관람 의도에 미치는 영향: 기대를 중심으로. 광고연구, 57, 31-52.

9.

양윤, 조문주 (2000). 구전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태도변화에 미치는 영향. 광고학 연구: 일반, 11, 7-34.

10.

이효성 (1992). 공정보도의 이상과 현실. 저널리즘 논단,12월, 233-257.

11.

임병국 (1990). 한국 일간신문의 오보와 그 구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2.

임양준 (2007). 한국과 미국 일간신문의 정정보도 기사비교연구: 조선일보, 한계레신문, 뉴욕타임스, 샌프란시스코 크로니컬을 중심으로. 한국언론정보학보,37, 204-237.

13.

전우영, 정현주 (2006). 인터넷 쇼핑에서 사용후기가 제품에 대한 평가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성차의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광고, 7,113-129.

14.

Ajzen, I, & Fishbein, M(1980). Understanding attitude and predicting social behavior.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15.

Aronson, E., Ellsworth, P. C., Carlsmith, J. M., & Gonzales, M. H. (1990). Methods of research in social psychology. McGraw-Hill.

16.

Berry, F. (1967). A study of accuracy in local news stories of three dailies. Journalism Quarterly, 44, 482-490.

17.

Chatterjee, P. (2001). Online review: Do customers use them?. Advances in Consumer Research. 28, 129-133.

18.

Fein, S., McCloskey, A. L., & Tomlison, T. M. (1997). Can the jury disregard that information? The use of suspicion to reduce the prejudicial effects of pretrial publicity and inadmissible testimony.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Bulletin, 23, 1215-1226.

19.

Gilbert, D. T., Tafarodi, R. W., & Malone, P. S. (1993). You can't believe everything you read.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5, 221-233.

20.

Grice, H. P. (1975). Logic and conversation. In P. Cole & J. L. Morgan(Eds.), Syntax and semantics: Vol, 3. Speech acts (pp. 41-58). New York: Academic Press.

21.

Herr, P. M., & Kardes, F. R., & Kim, J. (1991). Effects of word-of-mouth and product-attribute information on persuasion: An accessibility-diagnosticity perspective,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17, 454-462.

22.

Kahneman, D., & Tversky, A. (1973). On the psychology of prediction. Psychological Review, 80, 237-251.

23.

Katz, E., & Lazarsfeld, P. F. (1955). Personal influence, glencoe, I11.: The Free Press, 2-40.

24.

Nisbett, R., & Ross, L. (1980). Human inference: Strategies and shortcomings of social judgment. Englewood Cliffs, NJ: Pentice- Hall.

25.

Ross, L., Lepper, M. R., & Hubbard, M. (1975). Perseverance in self-perception and social perception: Biased attributional processes in the debriefing paradig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32, 880-892.

26.

Schwarz, N. (1996). Cognition and communication: Judgmental biases, research methods, and the logic of conversation. Mahwah, NJ: Lawrence Erlbaum.

27.

Singletay, M., Giles. B., & Warne, M. (1977). How editor view accuracy in news reporting. Journalism Quarterly, 54, 283-298.

28.

Skowronki, J. J., & Carlston, D. E. (1987). Social judgment and memory: The role of cue diagnocity in negatvity, positivity, and extremity bia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2, 689-699.

29.

Tybout, A. M., Calder, B. J., & Sternthal, B. (1981). Using information processing theory to design marketing strategie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18, 73-79.

30.

Wegener, D. T., & Petty, R. E. (1995). Flexible correction processes in social judgment: The role of naive theories in corrections for perceived bia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8, 38-51.

31.

Wegner, D. M., Wenzlaff, R., Kerker, R. M., & Beattie, A. E. (1981). Incrimination through innuendo: Can media questions become public answer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0, 822-832.

32.

Whyte, Jr. W. H. (1954). The web of word of mouth, Fortune, November. 140-143.

33.

Wyer, Jr., R. S. & W. H. Unverzagt (1985). Effects of instructions to disregard information on its subsequent recall and use in making judgment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8, 533-549.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