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집단행동 제어에 미치는 행동조정 및 정서불안 감소 방략의 효과

Effects of the Strategies on Behavior Control and Anxiety Reducement in Collective Behavior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3, v.7 no.1, pp.164-174
최광선(Kwang-Sun Choi) (경북대학교 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는 긴급 피난 사태에서의 군집행동 형성과정을 유도자의 제어행동과 관련시켜 그 효과를 음미하고, 그러한 제어행동이 피유도자에 의해 인지된 성격 차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밝히려는 것이다. 6명이 한 집단을 이루는 고등학생 372명 (모두 62집단)은 실험 1(32집단)과 실험 2(30집단)에 할당되었다. 그들은 네 가지 리더쉽 유형에서 긴급탈출을 시도하였다. 연구의 결과, 집단의 탈출을 위한 방략이나 집단행동 전체의 행동조절을 지향하는 유도자의 제어행동에다, 피유도자에게 정서 안정적 지시 강화를 주는 제어행동이 더하여졌을 때, 탈출 성공도는 가장 높으나 혼란도는 가장 낮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 피유도자에 의해 인지된 유도자의 성격 구조는 「친근성」 「성품성」 「직무의 자신감」 「친분적 관록」 등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긴급 사태에서의 군집행동의 제어 인자 해명에 관한 보다 정교한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keywords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1) to study effects of a conductor's controlling behavior upon the formation processes of group behavior under the circumstances that judgmental thinking of an individual in a group was not allowed, and (2) to find out the conductor's personality dimension perceived by followers after the conductor's controlling behavior. 372 high school students consisting of 6-student subgroups were assigned to one of the four conditions of conductorship style. After performing the task according to the conductor's instruction, the followers rated the conductor's personality structur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when the conductor's controlling behavior was aimed to regulate the behavior of the whole group, and when the conductor's controlling behavior instructs the followers to stabilize their own emotions, the time to solve the task by the followers was the shortest of all and the degree of confusion was low. Finally, the conductor's personality structure perceived by the follower was familiarity, kindheartness, confidence in his own work, and dignity.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