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logo

성격특성의 지각차원

Perceived Dimensions of Personality Trait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3, v.7 no.1, pp.198-211
한덕웅(Doug-Woong Hahn) (성균관대학교 산업심리학과)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한국에서 사용되는 대표적 특성 용어들을 사용하여 성격을 지각하는 다차원구조를 알아내고자 하였다. 먼저 인쇄매체와 실생활에서 성격을 기술하는데 사용되는 785개 특성용어들을 모은 후, 사용빈도는 높으나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정도가 고른 특성들이 섞이도록 특성 수를 줄이고, 성격 용어로서의 의미가 유사한 범주별로 묶어서 대표적 용어 78개를 가려내었다. 이 특성 용어들은 둘씩 짝지워서 잘 아는 사람들의 성적에서 상호 공발생하는 정도를 300명의 대학생에게 평정토록 하여 비연합치들의 행렬을 얻고, 이를 ALSCAL 프로그램에 의해서 다차원 분석했다. 이 분석결과, 스트레스 10% 수준에서 세 차원의 좌표치를 얻었다. 각 차원의 의미 해석에서는 축별 좌표치 값들을 고려하고, 또 다른 240명의 대학생들이 78개의 특성들을 9개 의미 미분척도에서 의미를 평정한 평균들과 다차원 좌표값들 간의 중다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이루어졌다. 이 절차를 거쳐서 얻은 세 차원의 의미는 차례대로 대체로 평가(예 : 좋다-나쁘다), 활동(예 : 적극-소극, 내향-외향) 및 역능(예 : 부드럽다-딱딱하다)으로 해석되었다. 이 결과는 국외에서 다차원 분석으로 이루어진 연구결과들과 중요한 점에서 일치된다. 이 연구 결과의 시사점과 관련해서 성격의 지각차원과 객체인 성격구조의 상응성에 관한 이론적 문제점, 연구 기법 및 결과의 면에서 선행연구와 관련지워 연구과제가 논의되었다.

keywords

Abstract

In order to find the internal structure of trait inference, 300 college students rated the co-occurrence probability for each pair of the 78 representative traits. The result of the multidimensional scaling analysis(ALSCAL) showed that the obtained three dimensions(about 10% stress level) could be interpreted as evaluation(e.g., good-bad), activity(e.g., activepassive), and potency(e. g., hard-soft) in terms of the general meaning of language. These results were consitent with the Rosenberg's(1968, 1970, 1972, a, b) main findings. The correspondence between the external and the internal trait structure, the techniques of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and the implications for future study were discussed.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