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 ENGLISH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최문선(중앙대학교) ; 유제민(강남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pp.1-1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이 어떤 역할을 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431명의 대학생(남자 175명과 여자 256명) 에게 Hewit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Frost의 다차원적 완벽주의 척도, 일반적 자기 효능감 척도 그리고 Beck의 우울 척도를 실시하였다. 완벽주의는 다 차원적 구성 개념을 기반으로 평가 염려 및 개인 기준적 완벽주의로 구분되었고 자기 효능감을 포함시킨 매개, 직선매개, 중재, 단순 가산의 네 가지 경로를 모델 공변량 구조 분석의 모델비교 절차로 검증하였다. 결과는 평가 염려적 완벽주의는 자기 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우울을 예측하고, 개인 기준적 완벽주의는 자기 효능감을 중재로 해서 우울에 영향을 미치는 모델이 가장 우수하였다. 지각된 자기 효능감과 실재능력과의 불일치 문제가 제기되었고 완벽주의와 우울과의 순환적 혹은 역의 인과관계를 모델에 포함시키지 못한 한계가 논의되었다. 마지막으로 완벽주의에 관한 추후 연구에서는 실제의 수행을 기준으로 할 것과 정적 혹은 부적 정서들을 모두 포함시켜 비교하는 방안이 제안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self-efficacy in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o identify the roles, sample of 431 undergraduate students(175 men and 256 women) completed Hewitt'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Frost'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General Self-efficacy Scale,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First, it was assumed that evaluative concerns perfectionism would be mediated with depression by self-efficacy. Second, it was also assumed that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would have effects on depression though being moderated by self-efficacy. This findings suggest framework that understands potential mechanisms in the relation between evaluative concerns and personal standards perfectionism and depression in an effort to address more directly what might constitute effective treatment for perfectionistic individuals. Finally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김명선(성신여자대학교) pp.17-30
초록보기
초록

정신분열병 환자가 언어 작업기억 및 공간 작업기억의 장애를 가지고 있는지, 만약 작업기억의 장애를 가지고 있다면 어떤 신경심리적 기능과 관련되어 있는가를 조사하였으며, 이에 근거하여 정신분열병과 전전두엽 사이의 관련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언어 작업기억과 공간 작업기억은 각각 숫자폭 검사와 공간폭 검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신경심리적 기능은 위스콘신 카드분류 검사, 선로잇기 검사, 통제단어연상 검사 및 한국판 캘리포니아 언어학습 검사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비교군에 비하여 공간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이 유의하게 저하되었으나, 언어 작업기억 과제의 수행에는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은 비교군에 비하여 주의력, 문제해결력 및 언어 기억의 저하를 보였다. 정신분열병 환자군에서 언어 작업기억과 선로잇기의 반응시간 및 통제단어연상검사의 철자단어수와의 상관이 관찰되었고, 공간 작업기억은 위스콘신 카드분류검사의 보속반응 및 보속오반응과 높은 상관을 보였다. 이 결과들은 정신분열병 환자가 공간 작업기억의 장애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전전두엽의 기능부전과 관련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verbal/spatial working memory impairment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ing memory and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20 schizophrenic patients and 20 normal controls participated. The verbal working memory and spatial working memory were measured by digit-span test and spatial span test, respectively. The Wisconsin Card Sorting Test(WCST), Trail Making Test(TMT), Controlled Oral Word Association(COWA) and Korean-California Verbal Learning Test(K-CVLT) were administered to evaluate the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The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impaired performances on spatial-span test but not on digit-span test, which indicate that schizophrenic patients have spatial working memory deficit but preserved verbal working memory. The schizophrenic patients showed impairments of such neuropsychological functions as attention, problem-solving and verbal memory. In schizophrenic patients, the verbal working memory has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response time of TMT and COWA letter, while spatial working memory has a relationship with perseverant responses of WCST.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chizophrenic patients have an impairment of spatial working memory, which seems to be related to prefrontal dysfunction

최효임(중앙대학교) ; 현명호(중앙대학교) ; 송한수(중앙대학교) ; 신미연(중앙대학교) ; 김인석(삼성교통안전문화연구소) pp.31-4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공포 자극이 불안한 사람의 과제 수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성격적으로 불안한 사람이 인지적 수행을 하고 있는 중에 갑자기 공포 자극을 받으면, 공포자극에 대한 위험/위협 스키마타가 활성화됨으로써 인지 수행이 방해받고 불안이 더욱 상승할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특성 불안 수준이 높은 집단(상위 25%)과 낮은 집단(하위 25%)으로 피험자들을 나누었으며, 단문을 타자하는 동안 공포 자극이나 비공포 자극을 제시하고서 그들의 오타수, 심박, 상태불안의 변화를 비교하였다. 특성불안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에 비해 공포 자극을 받았을 때, 심박이 상승하였으며, 오타수도 증가하였다. 그러나 기대했던 것과는 다르게 실험후 모든 집단에서 상태불안이 감소하였다. 연구 결과를 통해 공포자극은 심박, 상태불안과, 오타수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반면 특성불안은 공포자극과 결합하여 종속변인들에 영향을 주었다. 따라서 특성불안은 단독효과를 갖지 않으며 중재역할을 했을 가능성이 있다.

Abstract

In this study, the effect of fear stimuli to tast performance on trait anxiety was investigated. It is postulated that if an anxious person receives a certain fear stimulus during any cognitive task, the performance will be interrupted by an activation of danger/threat schemata due to the fear stimulus, and anxiety will be increase even more. According to this hypothesis, the participants were divided two groups: high trait anxiety(highest 25% in the sample) vs. low trait anxiety(lowest 25%). They were demanded typing short sentences and fear or nonfear stimuli were presented in performing the task. The changes in the numbers of error, heart rate, and state anxiety were compared in groups. The results showed that heart rate and the numbers of error were increased in the high trait anxiety group received fear stimuli. However, state anxiety was decreased in contrast to our expectation. It was found that fear stimuli directly affected to heart rate, state anxiety and the numbers of error, while trait anxiety affected to them combined with fear stimuli. Therefore, it is possible that trait anxiety does not have independent effect but works as a moderator.

김세진(충남대학교) ; 김교헌(충남대학교) pp.47-65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외상경험에 대한 자기노출이 분노 반응에 미치는 효과와 그 효과에 대한 적대감의 중재 기능을 알아보았다.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555명에게 청소년용 Cook-Medley 적대감 척도를 실시하여 상위 10%에 해당하는 적대감이 높은 집단과 하위 10%에 해당하는 적대감이 낮은 집단을 구성한 후, 자기노출 조건에 따라 12명씩 무선적으로 배당하였다. 자기노출 조건은 외상경험에 대하여 깊은 수준의 정서적 자기노출을 하는 조건과 일상적 시간스케줄을 주제로 피상적 자기노출을 하는 조건으로 설계하였으며, 총 3회기에 걸쳐 글쓰기 방식으로 자기노출을 실시하였다. 외상경험에 대한 정서적 자기노출이 분노-인지반응 수준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면, 외상적 경험에 대해 정서적으로 깊은 자기노출을 실시한 집단의 분노-인지반응 수준이 유의하게 낮아졌으며, 그 중 적대감이 높은 집단에서만 유의한 변화가 관찰되었다. 아울러 이러한 변화는 시간의 경과에 따라 더 분명하게 나타났다. 이 밖에도 본 연구는 정서적 자기노출을 한 조건에서 자기노출의 효과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의 질적 차이를 탐색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K-LIWC를 통해 글쓰기 내용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자기노출 효과가 크게 나타난 집단에서 심리학적 과정과 관련된 단어 사용수가 전반적으로 증가하였는데, 특히 긍정적 정서, 낙천적 활동, 인지적 과정 범주의 단어 사용에서 그러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선행연구 결과와 현실적 적용과 관련시켜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self-disclosure on anger experience and moderating function of hostility among elementary school children. Five hundred fifty five students of 5th and 6th grader children were administered Cook-Medley Hostility Scale for adolescents. Upper or lower 10% of children in Cook-Medley Hostility Scale score were randomly assigned two self-disclosing conditions. In emotional disclosing condit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bout their traumatic experiences in a way that showing their emotions from the bottom of their hearts during three consecutive sessions. In superficial disclosing condition, participants were asked to write about their daily routines in a superficial way. Obtained Results showed that emotional self-disclosure decreased anger-cognition response significantly more than superficial self-disclosure did. In a case of children who was able to express their emotions, emotional self-disclosure was effective in the high hostile group more than in the low hostile group. In addition, the effects have improved over time. Writings of the students were analyzed using K-LIWC. A qualitative difference was shown between the group which was more effective in self-disclosure and the group which was less effective. It was found that the group who was effective in self-disclosure used increasingly psychological process-related words in general. Especially, positive emotion related words, optimistic activities and cognitive processes increased significantly.

김은희(강원대학교) ; 이인혜(강원대학교) pp.67-8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알콜이 자기초점화 주의를 감소시킨다는 Hull(1981)의 자기-인식 이론(Self-awareness Theory)을 검증하고자 수행되었으며, 이를 위해 사회불안 수준과 알콜기대 정도가 모두 높은 대학생을 대상으로 사회적 위협조건하에서 알콜이 자기초점화 주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전체 716명의 참가자 중 사회불안 수준이 상위 30%내에 속하고, 동시에 알콜에 대한 긍정적인 기대 정도가 상위 50%에 속하는 45명의 남녀대학생들이 선발되었으며, 이들은 알콜조건 및 위약조건 그리고 사회적 위협조건 및 비위협 조건에 무선으로 할당되었다. 실험 참가자 모두 주의-초점 질문지를 작성하였다. 실험 결과 알콜집단과 위약집단간에 자기초점화 주의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이는 Hull(1981)의 이론과 상반되는 것으로 알콜이 자기초점화 주의를 감소시킨다는 주장은 지지되지 않았다. 기대했던 대로 사회적 위협조건에 있는 참가자들은 비위협 조건에 있는 참가자들보다 자기초점화 주의가 더 높았다. 또한 알콜은 사회적 위협상황이 있을 때나 없을 때 모두에서 자기초점화 주의를 감소시키지 못했기 때문에, 자기초점화 주의를 증가시킬 수 있는 상황적인 단서들의 존재에 상관없이 알콜은 사회불안자의 자기초점화 주의를 감소시키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Hull(1981)'s Self-Awareness Theory that alcohol intoxication reduces self-focused attention. Specifically, this study investigat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social threat and no-threat condition on self-focused attention under alcohol or placebo condition. The 45 students with social anxiety scores(SADS, FNE) in the higher 30%ile and alcohol expectancy scores(AEQ) in the higher 50%ile were randomly assigned to the alcohol or placebo groups and the social threat or no-threat groups. And they completed the Focus of Attention Questionnaire. At the resul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n the self-focused attention between the alcohol group and the placebo groups, contrary to Hull's theory. As expected, the social threat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focused attention than no-threat group. This finding suggests that alcohol does not always reduce self-focused attention in socially anxious individuals. Finally,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김용희(경희의료원) pp.83-9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ADHD)로 진단 받은 아동의 임상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소아정신과에 내원한 아동 중 주의력결핍과잉행동(ADHD) 증상을 가지고 있는 61명이었으며, 이들의 행동 특성을 평가하기 위해 KPI-C(한국아동인성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발달지연유형(n=19), 가정불화유형(n=7), 정서적 불안정유형(n=15), 적응적 유형(n=20)으로 나누어졌으며, 비행 차원을 제외하고 군집별 하위 차원들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처럼 ADHD 아동에게 다양한 행동특징들이 나타나고 있어서 이들의 주된 외현적 문제행동 뿐만 아니라 정서적, 인지적, 및 가정환경과 같은 여러 가지 측면들을 평가할 필요성이 시사된다. 본 연구의 제한점과 의의점이 논의되었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with ADHD. The subject were 61 patients with ADHD, who visited the department psychiatry of K Medical Center. To examine their features of behavior, KPI-C was administerd. The results showed that they were classified delayed developmental type(n=19), family discord type(n=7), emotionally type(n=15) and adjustment type(n=20) and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of KPI-C subtype except for DLQ. In this way, because of showing various behavior features, it is necessary to evaluate not only externalized behavior problem of children with ADHD, but various features such as emotion, cognition and family environment.

권재환(전남대학교 교육학과) ; 이은희(전남대학교 심리학과) pp.95-11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어떤 특성을 가진 청소년들이 게임중독에 빠지는가를 판별분석을 통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층화표집을 통하여 선정한 G광역시와 C도의 32개 중·고등학생 2,197명을 대상으로 충동성, 공격성, 자아존중감, 부모의 방임적 양육태도, 부모의 감독 및 통제, 게임에 대한 교사의 부정적 태도, 게임에 대한 친구들의 긍정적 태도, 대인관계기술 수준을 측정하였다. 전체자료 중 1,105명의 학생들을 게임중독 점수를 기준으로 하여 1표준편차 이상과 이하의 집단으로 구분한 결과 고 위험 게임중독 집단의 학생이 205명, 저 위험 게임중독 집단의 학생이 206명 선정되었다. 이들을 대상으로 하여 단계적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9개의 변인 중에서 친구들의 게임에 대한 긍정적 태도, 공격성, 충동성, 부모의 감독과 통제, 대인관계기술 수준만이 게임중독 고 위험 집단과 저 위험 집단을 유의미하게 판별하였으며, 이들 다섯 변인에 의한 판별함수에 의해서 86.6%를 정확하게 변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차타당화 집단인 1,092명의 학생들을(고 위험 게임중독 집단 208명, 저 위험 게임중독 집단 224명) 대상으로 판별분석을 실시한 결과 동일한 판별함수에 의해서 게임중독 고 위험 집단과 저 위험 집단을 84.3%를 정확하게 판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공격성과 충동성 수준이 높고, 부모의 감독과 통제가 심하며, 대인관계기술이 부족하고, 친구들이 게임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보인다고 지각하는 청소년들이 게임중독 경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결과가 청소년들의 게임중독 예방프로그램의 개발과 상담분야에 어떻게 활용될 수 있는지와 연구의 제한점 및 앞으로의 연구방향이 논의되었다.

Abstract

We attempted to find out, and validated, discriminant functions to differentiate high-risk adolescents of game addiction and low-risk adolescents of game addiction. The participants were 2,197 junior high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rom 32 schools in Gwangju metropolitan city, Suncheon, Yeosu, Mokpo city through the stratified sampling. We divided participants from the 2,197 into two samples (1105 for research, 1092 for cross-validation). We classified high and low risk group as the mean +1 standard deviation (SD) and -1 SD among the 1,105 participants. this yielded 205 adolescents as high and 206 adolescents as low in game addiction. Stepwise discriminant function analysis yielded a function containing 5 variables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 aggression, impulsivity,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 interpersonal skills), which was 86.6% accurate in classifying the sample into either high or low in game addiction. To test the validity of the discriminant function, we used 1,092 participants. This yielded 208 adolescents as high and 224 adolescents as low in game addiction. On this validation sample, a function containing 5 variables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 aggression, impulsivity,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 classifying 84.3% accurately into either high or low in game addiction. Results suggested that high-risk group of game addiction and low-risk group of game addiction can be differentiated with the measure of friends' positive attitudes to the game, aggression, impulsivity, supervision and control by the parents. Implications for a model of adolescents' game addiction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김교헌(충남대학교) ; 권선중(침례신학대학교) ; 심미영(충남대학교) pp.113-12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아동의 시험스트레스와 신체증상 간의 관계 및 그 관계를 중재하는 자아탄력성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450명의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자아탄력성(부모평정)을 측정하였고, 그 중에서 상위 20명과 하위 20명을 선별하여 실험 및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실험집단은 3일 후에 시험을 실시할 것이라는 안내를 받았으며, 통제집단은 단순한 심리 및 신체 증상에 관한 평가라는 안내를 받았다. 실험결과, 시험스트레스에 의한 신체증상 변화와 자아탄력성의 중재 효과가 모두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아탄력성 수준이 높은 아동이 낮은 아동에 비해 시험스트레스 및 신체 증상(소화기 증상, 두통, 불면증)을 더 적게 경험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의 시사점을, 장래 연구와 실용적 측면을 고려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stress and physical symptoms. 450 elementary students were examined in Parent Form Ego-resilience Scale. 40 students who scored highest or lowest in ego-resilience were divided into the experimental or control group matched on their ego-resilience score. Experimental group was expected to take an examination in the near future whereas control group was not. After the intervention, participants were answered on the Test Stress Scale and Physical Symptom Scale.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est stress and physical symptom experience was found. The high ego-resilient group experienced less stress and physical symptoms during the test period than the low ego-resilient group. Result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previous studies and application to elementary school students' education.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