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중고등학생들의 사과에 대한 탐색적 연구

An Exploratory Study of Apologies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8, v.23 no.4, pp.835-858
https://doi.org/10.17315/kjhp.2018.23.4.002
오영희 (덕성여자대학교)
  • 다운로드 수
  • 조회수

초록

본 연구에서는 학교폭력을 예방하고 치유하기 위해서 어떻게 사과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것인지에 대해서 탐색해 보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고등학생들은 친구에게서 심각한 상처를 받았을 때 어떤 사과의 구성요소들을 원하는지와 사과의 구성요소들과 상처의 치유(분노감소, 용서, 관계회복)는 어떤 관계에 있는지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참여자는 중고등학생 680명이었다. 연구 도구는 상처 시나리오, 사과 전 분노 척도, 사과 구성요소 척도, 상처 치유 척도, 한국인 용서 척도-단축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이 심각한 상처를 받았을 때 가장 중요하다고 평가한 사과의 구성요소는 책임 인정, 후회와 공감 표현, 보상, 재발 방지 약속, 용서 요청의 순으로 나타났다. 사과 구성요소 문항들에 대한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5개의 사과 구성요소들은 2개의 요인으로 구분되었다. 1요인은 ‘보상 요소’ 요인이고, 2요인은 ‘보상외 요소’ 요인으로 보상을 제외한 4가지 구성요소들이 포함되었다. 요인 점수들을 분석한 결과 참여자들은 보상 요소보다는 보상외 요소 요인을 더 많이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과의 구성요소들과 상처 치유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총 사과 요소는 분노 감소, 용서, 관계 회복 변인들과 모두 유의한 상관을 가지고 있었다. 사과 구성요소 요인별로 더 자세히 점검해 보면 보상외 요소는 모든 상처 치유 변인들과 유의한 상관이 있지만, 보상 요소는 관계 회복하고만 유의한 상관이 있었다.

keywords
중고등학생, 학교폭력, 사과 구성요소, 용서, 관계회복,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apology components, forgiveness, relationship restoration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how apologies can be used effectively for prevention and treatment of school-based violence among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More specifically, the study examined the components of apology students wanted when they are hurt seriously by their friends and how those apology components were related to healing. Criterion variables of healing were anger reduction, forgiveness and relationship restoration. The study sample consisted of 680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measures included two harm scenarios, the Anger before Apology Scale, the Apology Components Scale, the Healing Scale, and the Korean Forgiveness Scale-Short Form. Results showed that participants’ evaluation of the significant components of an apology were as follows in descending order of their significance: taking responsibility, expressing remorse and empathy, offering compensation, promising forbearance, and a request for forgiveness. Exploratory factor analyses on the Apology Components Scale(ACS) suggested that the ACS had two factors. ‘Compensation Component’(CC) included only offering compensation and ‘Components except Compensation(’CEC) included four components. Also the students wanted more CEC than CC. Finally, the apology componen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of criterion variables of healing. Closer examination on the factors related to the apology components showed that CEC ha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all criterion variables. However, CC had a significant correlation only with relationship restoration.

keywords
중고등학생, 학교폭력, 사과 구성요소, 용서, 관계회복,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chool violence, apology components, forgiveness, relationship restoration

참고문헌

1.

강인 (2017, 9, 12). “딸의 죽음, 진실을 밝혀 주세요” 전주서 옥상 투신 여중생 아버지. 뉴시스. http://vmedia.daum.net에서 2017, 11, 3 자료 얻음.

2.

교육과학기술부 (2012). 학교폭력 사안대응 기본지침.

3.

김기범, 임효진 (2006). 대인관계 용서의 심리적 과정탐색: 공감과 사과가 용서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20(2), 19-33.

4.

김은경 (2009). 회복적 사법 실천모델의 효과성 연구:공식소년절차 참여집단과 ‘대화모임’참여집단 간의비교연구를 중심으로. 형사정책연구, 20(3), 239-272.

5.

김은경, 이호중 (2006). 학교폭력 대응방안으로서 회복적 소년사법 실험연구(I). 서울: 한국형사정책구원.

6.

김호, 정재승 (2011). 쿨하게 사과하라. 서울: 어크로스.

7.

대구신문 (2017, 1, 5). “미안해”···먼저 사과하고 학교폭력 예방하자. 대구신문. http://www.idaegu.co.kr에서 2017, 3, 5 자료 얻음.

8.

배원섭, 성희자 (2014). 학교폭력 가해학생의 조치에 대한 연구-학교폭력예방법을 중심으로. 사회과학연구, 25(4), 269-287.

9.

오영희 (2012). 한국인 용서 척도 단축형의 타당화: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7(2), 399-413.

10.

오영희 (2015a). 한국 대학생의 용서구하기에 대한 조사. 청소년학연구, 22(1), 81-110.

11.

오영희 (2015b). 상처의 덫에서 행복의 꽃 피우기. 서울:학지사.

12.

오영희 (2016). 용서구하기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1(3), 549-569.

13.

오윤주 (2016, 10, 24). ‘사과 데이’···사과주고 사과하세요. 한겨레. http://www.hani.co.kr에서 2017, 3, 5자료 얻음.

14.

유경애 (2013). 한국 대학생들의 사과화행 인식과 평가:공손선이 범문화적 비교 가능성의 탐색. 영어학, 13(3), 601-625.

15.

이미경 (2011). 의료사고 상황에서 사과와 일반적 신뢰가 분노와 용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황성혜 (2014). 위반사건 유형과 사과 유형이 용서에 미치는 영향. 중앙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17.

황춘화, 홍석재 (2018, 8, 1). 학교폭력 해결? 학폭위 때문에 되레 아이들이 멍든다. 한겨레. http://www.hani.co.kr에서 2018, 8, 2 자료 얻음.

18.

Chapman, G., & Thomas, J. (2012). 5가지 사과의 언어 [The five languages of apology]. (김태곤 역). 서울: 생명의 말씀사. (원전은 2006년에 출판)

19.

Darby, B. W., & Schlenker, B. R. (1982). Children’s reactions to apologie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43(4), 742-753.

20.

Fehr, R., & Gelfand, M. J. (2010). When apologies work: How matching apology components to victims’ self-construals facilitates forgiveness.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Decision Processes, 113(1), 37–50.

21.

Fehr, R., Gelfand, M. J., & Nag, M. (2010). The road to forgiveness: A Meta-analytic synthesis of its situational and dispositional correlates. Psychological Bulletin, 136(5), 894-914.

22.

Hu, M., Cotton, G., Zhang, B., & Jia, N. (2018). The influence of apology on audiences’ reactions toward a media figure’s transgression. Psychology of Popular Media Culture. Advance online publication. doi: 10.1037/ppm0000195

23.

Kirchhoff, J., & Čehajić-Clancy, S. (2014). Intergroup Apologies: Does It Matter What They Say? Experimental Analyses. Peace and Conflict:Journal of Peace Psychology, 20(4), 430-451.

24.

Kirchhoff, J., Wagner, U., & Strack, M. (2012). Apologies: Words of magic? The role of verbal components, anger reduction, and offence severity. Peace and Conflict: Journal of Peace Psychology, 18(2), 109-130.

25.

Lazare, A. (2010). 사과 솔루션 [On apology]. (윤창현 역). 서울: 지안출판사. (원전은 2004년에 출판)

26.

Ohbuchi, K., Kameda, M., & Agarie, N. (1989). Apology as aggression control: It's role in mediating appraisal of and response to har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6(2), 219-227.

27.

Worthington, E. L., Jr. (2006). 용서와 화해 [Forgiving and reconciling]. (윤종석 역). 서울: Ivp. (원전은2003년에 출판)

28.

Zehr, H. (2010). 회복적 정의란 무엇인가? [Restorative justice]. (손진 역). 서울: Korean Anabaptist Press. (원전은 2005년에 출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