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Influence of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on Adolescence's Social Anxiety: The Double Mediating Effects of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Related Self Discrepancy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9, v.24 no.1, pp.165-189
https://doi.org/10.17315/kjhp.2019.24.1.00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maladaptive and perfectionism and the achievement related self-discrepancy between parenta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in high school students. Data from 387 high school students were used for analysis. In addition, the questionnaires consisted of a Korean version of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K-SAS-A),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SPAI-C), the Dependency-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Scale (DAPCS), Multidimensional Perfectionism Scale (FMPS) and Achievement Self-Discrepancy Scale (ASDS). The SPSS 21.0 and AMOS 18.0 were used in this study. Using these program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 bootstrapping method based on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ere used to analyze the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arenta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had a significant and a direct effect on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related self-discrepancy. In addition, achievement-related self-discrepancy had a significant direct effect on social anxiety. However, parenta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didn’t have an effect on social anxiety directly. Secondly, maladaptive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 perfectionism and achievement-related self-discrepancy had a complete double mediating effect between parenta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and social anxiety.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present study were discussed with the suggestions for the further study.

keywords
Parental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Social Anxiety, Maladaptive Perfectionism, Achievement-Related Self Discrepancy, 부모의 성취지향 심리적 통제, 사회불안, 부적응적 완벽주의, 성취관련 자기불일치

Reference

1.

강민지, 김광웅 (2008). 사회적 상황에서의 외상경험에따른 청소년의 사회불안: 또래관계의 중재 효과. 청소년상담연구, 16(1), 87-101.

2.

김대현 (2016).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관계: 성취-관련 자기불일치와 속박감의 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

김상희, 한기순(2017).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등 영재자녀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영재교육연구, 27(3), 277-297.

4.

김성주, 이영순 (2013). 대학생의 평가염려 완벽주의와사회불안의 관계: 부정적 및 긍정적 평가에 대한두려움과 인지적 정서조절의 매개효과. 상담학연구, 14(3), 1919-1938.

5.

김송아 (2009). 아동이 지각한 부와 모의 심리통제가 아동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6.

김완태 (2016). 실제-의무 자기 불일치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부정적 평가에 대한 두려움의 매개효과.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윤희, 서수균 (2008). 완벽주의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20(3), 581-613.

8.

김지연 (2013).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 유형이 청소년의완벽주의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문혜신, 오경자 (2002). 한국판 아동ㆍ청소년용 사회 불안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1(2), 429-443.

10.

박선영 (2003). 사회불안 유발 상황의 구분 및 사회불안하위 유형의 차별적 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박수자 (1996). 지각된 부모의 성취압력과 아동의 학습소외 및 대응행동과의 관계.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박신영 (2014).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거부민감성과 역기능적 완벽주의의 역할.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3.

박영신, 김의철 (2003). 청소년의 일탈행동의 형성과 변화에 대한 고찰. 한국심리학회지 : 문화 및 사회문제, 9(1), 81-114.

14.

박효정 (2015).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남녀 중학생의 자기효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5.

배효숙, 홍혜영 (201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심리적통제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24(8), 27-54.

16.

송은영, 하은혜 (2008). 청소년의 외상경험, 완벽주의 성향 및 부정적 사고가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8(1), 41-56.

17.

신혜린 (2003). 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자의식에 따른성적하락과 시험불안의 관계 모형 검증: 영재교육기관 고등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8.

신혜진 (2005). 자기 불일치와 목표성향 및 자기효능감이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9.

안명희, 신희수 (2012). 어머니의 심리적 통제가 초기청소년 자녀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19(2), 227-253.

20.

안현선, 박성연 (2010). 행동억제 완벽주의가 여고생의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인간발달연구, 17(1), 209-225.

21.

안희정 (2012).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아동과 청소년의죄책감, 수치심 및 자기비난에 미치는 영향: 정서표현양가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명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양재원, 양윤란, 오경자 (2008). 아동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측정: 한국판 청소년 사회불안척도(K-SAS-A)의 타당화.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7(4), 861-878.

23.

오경자, 양윤란 (2003). 청소년기 사회불안의 발생과 유지의 심리적 기제Ⅰ: 행동억제 기질, 부모양육태도및 외상경험의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2(3), 557-576.

24.

오언, 방명애 (2012). 사회불안장애 위험 청소년의 사회불안정서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분석. 정서·행동장애 연구, 28(2), 235-253.

25.

우종필 (2012). 우종필 교수의 구조방정식 모델 개념과이해. 서울 :한나래.

26.

윤선숙 (2005).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양육행동과 자기개념, 자의식 및 사회불안의 관계. 서강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27.

이가은, 강민주 (2011). 중,고등학생의 자기 불일치가 우울 및 불안에 미치는 영향: 대처방식과 희망적 사고의 조절효과. 아동학회지, 32(6), 141-155.

28.

이국화, 하은혜 (2009). 청소년의 외상경험과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자기 효능감의 매개효과. 한국심리학회지: 학교, 6(1), 1-18.

29.

이유진 (2013). 청소년의 부적응적 완벽주의와 사회불안의 관계에서 수치심의 매개효과.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0.

이정윤, 조영아 (2001). 사회공포증과 완벽주의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3(2), 93-104.

31.

정소희, 양성은 (2011). 부모의 성취압력과 청소년의 자기불일치가 학업적 성취동기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 49(3), 23-37.

32.

정승아, 오경자 (2005). 자기 불일치가 사회불안에 영향을 미치는 기제. 한국심리학회지: 임상, 24(4), 887-901.

33.

정승진, 연문희 (2000). 완벽성 감소를 위한 인지행동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2(2), 147-167.

34.

조용래, 표경식 (1996). 성취관련 자기불일치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에 관한 연구.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제39차 학술대회 초록집. 서울: 대한신경정신의학회.

35.

조은주, 이은희 (2013). 부와 모의 심리적 통제와 청소년의 우울 및 불안: 비합리적 신념의 매개역할. 청소년학연구, 24(1), 35-70.

36.

최은경 (2017). 부모의 심리적 통제가 청소년의 사회불안에 미치는 영향: 내적 통제성의 매개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37.

통계청 (2010). 사회조사 등을 통해 바라본 우리나라 고3의 특징.

38.

표경식, 조용래, 이무석, 김학렬, 박상학, 김상훈 (1998)성취관련 자기 불일치와 평가위협 스트레스가 수행불안에 미치는 효과. 신경정신의학, 37(6), 1174-1185.

39.

허심양 (2011). 완벽주의와 심리적 부적응의 관계에서인지적 유연성의 역할.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40.

홍영근, 이경숙 (2013). 사회공포 및 사회불안 관련 변인에 관한 메타분석: 2011년에서 2013년 연구를 중심으로. 정서․행동장애연구, 29(4), 295-310.

41.

홍영근, 이경숙, 송호준, 백미숙 (2012). 자기초점주의, 특성 불안, 자기효능감이 사회공포에 미치는 영향.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 51(1), 267-286.

42.

황혜리 (2001). 적응적 완벽주의와 부적응적 완벽주의의심리적 특성 비교.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3.

Anderson, J. C., & Gerbing, D. W. (1988).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in practice: A review and recommended two-step approach. Psychological Bulletin, 103(3), 411-423.

44.

Arim, R. G., & Shapka, J. D. (2008). The impact of pubertal timing and parental control on adolescent problem behaviors. Journal of Youth Adolescence, 37, 445-455.

45.

Ballash, N., Leyfer, O., Buckley, A. F., & Woodruff-Borden, J. (2006). Parental control in the etiology of anxiety. Clinical Child and Family Psychology Review, 9(2), 113-133.

46.

Barber, B. K., & Harmon, E. L. (2002). Violating the sel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of children and adolescents. In B. K. Barber (Eds.), Intrusive parenting: How psychological control affects children and adolescents (pp. 15-52).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47.

Beazley, M. B., Glass, C. R., Chambless, D. L., & Arnkoff, D. B. (2001). Cognitive self-statements in social phobia: A comparison across three types of social situation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5(6), 781-799.

48.

Beidel, D. C. (1991). Social phobia and overanxious disorder in school-age children. Journal of the American Academy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iatry, 30, 545-552.

49.

Beidel, D. C., Turner, S. M., & Dancu, C. V. (1985). Physiological, cognitive and behavioral aspects of social anxiety. Behaviour Research and Therapy, 23(2), 109-117.

50.

Beidel, D. C., Turner, S. M., & Morris, T. L. (1995). A New Inventory to Assess Childhood Social Anxiety and Phobia: The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Psychological Assessment, 7(1), 73-79.

51.

Blatt, S. J. (1995). The destructiveness of perfectionism. American Psychologist, 50, 1003-1020.

52.

Chang, L., Schwartz, D., Dodge, K. A., & McBride-Chang, C. (2003). Harsh parenting in relation to child emotion regulation and aggression. Journal of Family Psychology, 17(4), 598-606.

53.

Clark, D. M., & Wells, A. (1995). A cognitive model of social phobia. Social phobia: Diagnosis, assessment, and treatment, 41(68), 00022-3.

54.

Curran, P. J., West, S. G., & Finch, J. F. (1996). The robustness of test statistics to nonnormality and specification error i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sychological Methods, 1(1), 16-29.

55.

Davila, J., & Beck, J. G. (2002). Is social anxiety associated with impairment in close relationships?: A preliminary investigation. Behavior Therapy, 33(3), 427-446.

56.

Dumas, J. E., & Nilsen, W. J. (2005). 청소년 이상심리학. (임영식, 김혜련, 설인자, 조미자, 한상철, 공역). 서울: 시그마프레스. (원전은 Allyn & Bacon에출판).

57.

Enns, M. W., Cox, B. J., & Larsen, D. K. (2000). Perceptions of parental bonding and symptom severity in adults with depression: Mediation by personality dimension.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45, 263-268.

58.

Essau, C. A., Conradt, J., & Peterman, F. (1999). Frequency and co-morbidity of social phobia and social fears in adolescents. Behavior Research and Therapy, 37, 831-843.

59.

Frost, R. O., Marten, P. A, Lahart, C., & Rosenblate, R. (1990). The dimensions of perfectionism.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14, 449-468.

60.

Gaudiano, B. A., & Herbert, J. D. (2006). Self-efficacy for social situations in adolescents with generalized social anxiety disorder. Behavioral and Cognitive Psychotherapy, 35(2), 209-223.

61.

Hankin, B. L., Roberts, J., & Gotlib, I. H. (1997). Elevated self-standards and emotional distress during adolescence: Emotional specificity and gender differences. Cognitive Therapy and Research, 21(6), 663-679.

62.

Higgins, E. T. (1987). Self-discrepancy: A theory relating self and affect. Psychological Review, 94, 319-340.

63.

Higgins, E. T., Bond, R. N., Klein, R., & Strauman, T. (1986). Self-discrepancies and emotional vulnerability: How magnitude, accessibility, and type of discrepancy influence affect.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51, 5-15.

64.

La Greca, A. M., & Lopez, N. (1998). Social anxiety among adolescents: Linkages with peer relations and friendships. Journal of Abnormal Child Psychology, 26(2), 83-94.

65.

La Greca, A. M., & Stone, W. L. (1993). Social Anxiety Scale for children-revised: Factor structure and concurrent Validity.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2, 17-27.

66.

Mendlowicz, M. V., & Stein, M. B. (2000). Quality of life in individuals with anxiety disorders.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57(5), 669-682.

67.

Morris, T. L., & Masia, C. L. (1988). Psychometric evaluation of the social phobia and anxiety inventory for children: Concurrent validity and normative data. Journal of Clinical Child Psychology, 27(4), 452-458.

68.

Schlenker, B., & Leary, D. (1982). Parental support, power, and control techniques in the socialization of children. Comtemporary Theories about The Family, 1, 317-364.

69.

Soenens, B., Vansteenkiste, M., & Luyten, P. (2010). Toward a domain-specific approach to the Study of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Distinguishing between dependency-oriented and achievementoriented psychological control. Journal of Personality, 78(1), 217-256.

70.

Strauman, T. J. (1989). Self-discrepancies in clinical depression and social phobia: cognitive structures that underlie emotional disorders.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98, 5-14.

71.

Turner, S. M., Beidel, D. C., & Townsley, R. M. (1992). Social phobia: A comparison of specific and generalized subtypes and avoidant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01(2), 326-331.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