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강간통념척도의 개발과 타당도 검증

Development of a Rape Myths Scale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 Korean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P)1229-0653;
1999, v.13 no.2, pp.131-148
이석재(Suk-Jae Lee) (한국전산원)

초록

본 연구의 주된 목적은 (a) 강간통념수용도를 측정하는 척도(Burt, 1980)를 수정하고 보완하여 새로운 척도를 개발하고, (b) 개발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 (c) 강간통념의 개념적 구조를 밝히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남자 대학생(66명)과 남자 죄수(54명)를 대상으로 그들이 강간통념을 수용하고 있는 정도와 아울러 그들의 성행동 및 성폭력 경험을 설문으로 조사하였다. 조사자료의 분석 결과는 본 연구에서 개발된 강간통념척도가 높은 신뢰도와 타당도를 가지고 있으며, 강간통념은 6개의 하위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피해자의 성경험, 여성의 행동에 대한 오해, 성폭행 피해의 책임귀인, 피해자의 경솔, 피해자의 강간 정당화 및 피해자의 음란성과 출신배경. 강간통념은 성행동 및 성폭력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러한 상관관계는 대학생과 죄수들간에 다르게 나타났다. 대학생의 경우, 피해자의 성경험, 여성의 행동에 대한 오해, 성폭행 피해의 책임귀인에 대한 통념이 성행동 또는 성폭행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을 보였으나, 죄수의 경우 이러한 상관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이 결과는 조사집단에 따라서 강간통념과 성행동 및 성폭행의 관계에 내재하는 심리과정이 상이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논의에서는 이러한 심리과정에 대한 대안적 해석들이 제시되었다.

keywords

Abstract

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a) to develop a Rape Myths Scale by revising the Burt s Rape Myths Acceptance Scale(Burt, 1980) and including more rape myths, (b) to asses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new scale, and (c) to examine the underlying nature of rape myths. Data collected from male undergraduate students and incarcerated criminals showed that (a) a Rape Myths Scale is highly reliable and valid, and (b)rape myths consist of 6 factors: Victim s sexual experience, misperception of woman s behavior, attribution of rape responsibility, victim fabrication, and victim pleasure.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ly correlated relationships between rape myths and sexual behaviors were found to be important. Undergraduate students differed from the criminals in that relationships. In the undergraduate students, victim s sexual experience, misperception of woman s behavior, and attribution of rape responsibility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sexual behaviors. However, the relationships were not obtained in the incarcerated criminals. These results indicated that psychological processes involved in the relation between rape myths and sexual behaviors are different across the two respondent groups. Discussion focuses on the plausible underlying psychological processes between rape myths and sexual behaviors.

keywords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