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KOREAN
  • P-ISSN1229-070X
  • E-ISSN2713-9581
  • KCI

The influence of narcissism on character maturation: Focusing on the role of anger rumination and self-compassion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P)1229-070X; (E)2713-9581
2019, v.24 no.1, pp.95-116
https://doi.org/10.17315/kjhp.2019.24.1.005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confirm the mediating effect of anger rumination and the moderation effect of self-compass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overt and covert narcissism and character maturation, and to verify the difference in the influence of overt and covert narcissism on character maturation. 470 adults were survey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anger rumination was fully mediated through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overt narcissism and character maturation. Covert narcissism was partially mediated only by subscales of character maturation. Secondly, self-compassion showed a moderating effect on both character maturation and subscale cooperativeness in both overt narcissism and covert narcissism. Lastly, the higher the overt narcissism, the more negative influence on the cooperativeness than the self-directedness, and the higher the covert narcissism, the more negative impact on self-directedness than the cooperativeness.

keywords
외현적 자기애, 내현적 자기애, 분노반추, 자기자비, 성격적 성숙, Overt Narcissism, Covert Narcissism, Anger Rumination, Self-compassion, Character Maturation

Reference

1.

강선희, 정남운 (2002). 내현적 자기애 척도의 개발 및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14(4), 969-990.

2.

고은정 (2014). 자기자비와 자존감이 부정적 생활사건경험시 정서에 미치는 영향. 고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

고종숙 (2016). 내현적 자기애와 대인관계문제: 자기자비와 내면화된 수치심의 이중매개효과. 가톨릭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4.

권석만, 한수정 (2000). 자기애성 성격장애. 서울: 학지사.

5.

김경의, 이금단, 조용래, 채숙희, 이우경. (2008). 한국판자기-자비 척도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13(4), 1023-1044.

6.

김성주 (2014). 내현적 자기애, 자기자비 및 공격성간의관계.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7.

김송이 (2012).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주관적 안녕감의관계에서 자기자비의 매개효과. 홍익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8.

김한주 (2010). 부정적 평가에 대한 공격적 반응과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자기애적 성격과 자기자비의 중재효과. 고려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9.

민병배, 오현숙, 이주영 (2007). 기질 및 성격검사 매뉴얼. 서울: ㈜마음사랑.

10.

박세란, 신민섭, 이훈진 (2005). 외현적, 내현적 자기애의 자기평가와 정서 특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4(2), 255-266.

11.

박세란, 이훈진 (2013). 자존감, 자기자비와 심리적 부적응 및 안녕감의 관계.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2(1), 123-139.

12.

박세란, 이훈진 (2015). 부정사건에 대한 자기조절과정에서 자기자비의 역할: 자존감과의 비교.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4(4), 877-907.

13.

박세란 (2016). 자기자비가 타인의 안녕에 대한 관심에미치는 영향. 인지행동치료. 16(2), 187-212.

14.

박영주, 정남운 (2013). 내현적 자기애가 사회적 상호작용 불안에 미치는 영향: 평가염려완벽주의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4(1), 55-74.

15.

백승혜, 현명호 (2008). 내현적,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적대감, 분노경험 수준 및 분노표현양식.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7(4), 1001-1017.

16.

서수균 (2007). 자존감과 자기애 수준에 따른 분노사고, 신념, 분노표현의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19(3), 719-734.

17.

신정미, 조성호 (2014). 정서인식명확성과 분노표현방식관계에서 분노반추의 매개효과. 인간이해, 35(1), 129-148.

18.

안양규 (2014). 자기자비(self-compassion)에서 본MBCT(Mindfulness-Based Cognitive Therapy, 알아차림 명상에 기초한 인지치료)의 치유기제. 불교학보, 69, 147-168.

19.

유성진 (2010). 불안증상의 발현에서 위험회피 기질과체험회피 시도의 역할: 불안감내력장애의 개념화.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

유연화, 이신혜, 조용래 (2010). 자기 자비, 생활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증상들의 관계. 인지행동치료, 10, 43-59.

21.

이근배, 조현춘 (2008). 한국판 분노반추척도의 타당화연구. 정서·행동장애 연구, 24(1), 1-22.

22.

이상현, 성승연 (2011). 분노사고와 분노표현에 있어서의 자기-자비의 완충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심리치료, 23(1), 93-112.

23.

이준득, 서수균, 이훈진 (2007). 내현적 · 외현적 자기애성향자의 자기개념 명료성과 부정적 정서특성.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26(2), 463-477.

24.

이주연 (2011). 사적 자의식과 심리적 안녕감 간의 관계에서 자기-자비의 조절효과. 가톨릭대학교 대학원석사학위 청구논문.

25.

조영일, 김지현, 한우리, 조유정 (2015). 임상 연구에서조절효과 및 매개효과의 비교 및 통합.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34(4), 1113-1131.

26.

조현주 (2014). 자비 및 자애명상의 심리치료적 함의. 인지행동치료, 14(1), 123-143.

27.

하승수 (2012). 청소년의 성격강점과 기질이 정신건강에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8.

한수정 (1999). 자기애적 성격성향자의 외현적, 내현적자기관련 인지특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9.

홍이화 (2011). 하인즈코헛의 자기심리학이야기Ⅰ. 서울:한국심리치료연구소.

30.

황성훈 (2010). 자기애성 성격 성향자들의 자기구조 특성: 외현형 및 내현형 자기애의 하위분류에 따른접근.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29(3), 507-531.

31.

황순택 (1995). 전형성 평정에 의한 성격장애 진단준거개발.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32.

황순택, 조혜선, 박미정, 이주영 (2015). 성격장애와 기질 및 성격특질 간의 관계.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및 성격, 29(2), 1-13.

33.

Akhtar, S., & Thompson J. A. (1982). Overview: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American Journal of Psychiatry, 139(1), 12-20.

34.

Bursten, B. (1982). Narcissistic personalities in DSM-Ⅲ. Comprehensive Psychiatry, 23, 409-420.

35.

Cloninger, C. R, Bayon. C., & Svrakic, D. M., & Wetzel, R. D. (1994). The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A guide to its development and use. St. Louis, Missouri.

36.

Cloninger, C. R. (2004). Feeling good: The science of well-being. NY: Oxford University Press.

37.

Cohen, S., Doyle, W. J., Turner, R. B., Alper, C. M., & Skoner, D. P. (2003). Emotional Style and Susceptibility to the Common Cold. Psychosomatic Medicine, 65(4), 652-657.

38.

Cooper, A. M. (2000). Further developments in the clinical diagnosis of narcissistic personality disorder. In E. Ronningstam (Ed.), Disorders of narcissism: Diagnostic, clinical, and distress: A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pproach, Cognitive Therapy and Rearch, 24, 713-730.

39.

Depue & Morrone-Strupinsky (2005). A neurobehavioral model of affiliative bonding:implications for conceptualizing a human trait of affiliation. Behavior Brain Science, 28(3), 313-350.

40.

Gilbert, P. (2014). 자비중심치료. (조현주, 박성현 역). 서울: 학지사. (원서출판 2010).

41.

Jylhäa, P., Ketokivi, M., Mantere, O., Melartin, T., Suominen, K., Vuorilehto, M., & Isometsäa, E. (2013). Temperament, character and personality disorders. European Psychiatry, 28(8), 483-491.

42.

Kohut, H. (1971). The analysis of the self. NY:International University Press.

43.

Leary, M. R., Tate, E. B., Adams, C. E., Batts Allen, A., & Hancock, J. (2007). Self-compassion and reactions to unpleasant self-relevant events: the implications of treating oneself kindl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92(5), 887.

44.

Neff, K. D. (2003). Self-compassion: An alternative conceptualization of a healthy attitude toward oneself. Self and Identity, 2(2), 85-102.

45.

Neff, K. D. (2011). Self-compassion, self‐esteem, and well‐being. Social and Personality Psychology Compass, 5(1), 1-12.

46.

Patalano, F. (1997). Narcissism and hostility. Psychological Reports, 62, 879-882.

47.

Robbins, S. B., & Dupont, P. (1992). Narcissistic needs of the self and perceptions of interpersonal behavior.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2, 221-231.

48.

Sukhodolsky, D. G., Golub, A., & Cromwell, E. N. (2001).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anger rumination scal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1(5), 689-700.

49.

Svrakic, D. M., Whitehead, C., Przybeck, T. R., & Cloninger, C. R. (1993). Differential diagnosis of personality disoders by the seven-facter model of temperament and character. Archives of General Psychiatry, 50, 991-999.

50.

Wink, P. (1991). Two faces of narcissism.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61, 590-597.

The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