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로가기메뉴

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ACOMS+ 및 학술지 리포지터리 설명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서울분원 대회의실(별관 3층)
  • 2024년 07월 03일(수) 13:30
 

logo

정소라(중앙대학교 심리학과) ; 현명호(중앙대학교) pp.703-717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1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SNS 이용자가 SNS 공간에서 경험하는 상향비교와 우울의 관계에 열등감과 자기개념명확성이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페이스북을 이용하는 184명의 남녀 대학생을 대상으로 각 변인을 측정하는 질문지를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상향비교와 열등감, 우울은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상향비교와 자기개념 명확성은 부적 상관이 있었다. 전체 참가자를 대상으로 상향비교와 우울의 관계에서 열등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열등감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결과는 SNS를 사용함으로서 이용자가 상향비교 장면에 노출되어 우울이 유발되는 상황에서 열등감을 다루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상향비교와 우울의 관계를 자기개념 명확성이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단순기울기 검증을 통해 자기개념이명확할수록 상향비교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력이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이는 SNS를 이용자가 자신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 및 추후연구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explored whether inferiority feeling and self-concept clarity had any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depression of Facebook users who experienced on Facebook. To examine this, 184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participants were asked to complete questionnaires of upward social comparison, inferiority feeling, self-concept clarity and depression. As a result, upward social comparison was positively related to inferiority feeling and depression, but negatively related to self-concept clarity. Based on these correlations, we tested the mediating effects of inferiority feeling and moderating effects of self-concept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depression. Our results showed that inferiority feeling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depression, suggesting that it was helpful for SNS users to deal with inferiority feeling at depression-arising situations from upward social comparison. Our results also revealed that self-concept clarity could moderate the relationship between upward social comparison and depression. Furthermore, a simple slope test suggested that the effects of upward social comparison on depression is decreased when the scores of self-concept clarity were high. These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for SNS users to understand himself or herself better.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future directions for this research were provided.

신민정(인제대학교 상계백병원) ; 최지영(인제대학교부속상계백병원) pp.719-738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2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우울장애 환자군에서 아동기의 외상적 경험이 성인기에서의 성격병리를 예측하는지를탐색하였다. 구체적으로 아동기 외상의 하위 유형인 학대와 방임이 개인의 성격병리에 어떻게 다른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우울장애로 진단 받은 환자 269명을 대상으로아동기의 외상경험을 학대와 방임으로 구분해 두 하위 유형의 영향을 비교하였으며, 성격병리 5 요인을 사용해 병리적인 성격특성을 탐색하였다. 연구 결과, 아동기 학대 경험과 다섯 가지 성격병리(공격성, 정신증, 통제결여, 부정적 정서/신경증, 내향성/낮은 긍정적 정서)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보였고, 아동기 방임 경험은 공격성을 제외한 나머지 네 가지 성격병리와 모두 유의한 상관을 나타냈다. 또한 위계적 중다회귀분석을 통해 성과 연령, 우울 증상을 통제한 후 병리적인 성격특성에 대한 학대 및 방임의 예측력을 살펴본 결과, 학대의 경험은 정신증을, 방임의 경험은 내향성/낮은 긍정적 정서를 각각 유의하게 예측하여, 외상의 하위유형에 따라 성격병리에 서로 다른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함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hood trauma and adulthood pathological personality in depressive patients. In particular, this study was an examination of how the subtypes of childhood trauma (abuse and neglect) affect pathological personality. Childhood abuse and neglect were evaluated using the Childhood Trauma Questionnaire (CTQ), and pathological personality was evaluated using the PSY-5 dimensional scale. A total of 269 depressive patient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Childhood abuse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all five pathological personality traits, while childhood neglect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psychoticism, disconstraint, negative emotionality/neuroticism, and introversion/low positive emotion. After controlling for demographic variables (gender and age) and depressive symptoms, the results of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both childhood abuse and childhood neglect significantly predicted a pathological personality in adulthood. In detail, childhood abuse affected psychoticism, whereas childhood neglect affected introversion/low positive emotion. The clinical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강원덕(강남대학교) ; 안귀여루(강남대학교) pp.739-764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3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 양육태도가 어떠한 경로를 통해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탐색하고, 부모 양육태도와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의 관계에서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 부모 양육태도,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행동, 자아정체감, 정서지능으로 설정한 연구모형이 적합한지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기도 성남시, 용인시, 수원시에 소재하고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 재학 중인 학생으로 성별과 학년을 고려하여 650명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여, 부모양육태도, 자아정체감, 정서지능, 진로태도성숙, 진로준비행동의 수준을 측정하였다. 각 변인들 간 단순상관 분석, 독립표본 t-test, 중다회귀분석을한 결과 각 변인들 간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변인에 대해 남학생보다 정서지능과 진로태도성숙에 여학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변수들의 상관관계와 선행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설정한 연구모형과 경쟁모형에 대한 모형검증을 통해 최적 모형을 선정해서 개별변수의 영향력과매개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이를 통해 부모양육태도가 직접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주기보다는 자아정체감과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쳐 진로태도성숙과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시사점과 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1) to investigate how parental nurturing attitude perceived by highschool students would influence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reparedness behavior, 2)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ego ident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A total 625 students from high schools in Gyeonggi Province were chosen as subjects. Study Instruments included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scale, ego identity scale,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and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preparedness behavior scale. Our results revealed that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had a direct influence on ego ident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In addition, ego ident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had a direct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Moreover, parental nurturing attitudes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had an indirect rather than a direct influence on career attitude maturity and career preparedness behavior via ego-identity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significances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정경미(연세대학교) ; 이춘매(연세대학교) pp.765-783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4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폐 스펙트럼 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 아동의 수면 패턴 및 수면 시간을 탐색하였으며, 연령 별 집단에 따라 학령전기(4-6세), 저학년(7-9세), 고학년(10-12세) ASD 아동의 수면 패턴을 알아보았다. 만 4세에서 12세의 ASD 아동(N=159)을 둔 부모와 연령을 매칭한정상발달한 (Typically Developing) 아동의 부모(N=146)를 모집하고, 부모보고식 설문지인 아동수면 습관척도(Children’s Sleep Habit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ASD 아동의 수면 문제를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 ASD 아동이 TD 아동에 비해 수면 시간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수면문제가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취침시간 저항, 수면 착수 지연, 수면 불안과 밤 동안 깨기 등 네 가지 수면 문제를 보고하였다. 또한 연령 별 수면 패턴을 비교한 결과, 4세에서 9세의ASD 아동은 TD 아동에 비해 CSHQ의 하위영역인 수면 착수 지연에서만 차이가 보이는 반면, 초등학교 고학년 ASD 아동은 9세 이전의 ASD 아동에 비해 수면 문제가 증가한 것이 확인되었으며 수면 착수 지연뿐만 아니라 취침 시간 저항, 수면 불안 및 수면 호흡 장애도 나타났다. 따라서 ASD 아동이 TD 아동에 비해 전반적으로 수면문제가 심각하며 연령이 많을수록 수면문제가증가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연구에 따른 의의 및 한계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1) investigate sleep patterns and sleep dura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ASD), 2) explore differences in sleep pattern by age in children with ASD(4-6years, 7-9 years, 10-12 years). Parents of 4-12 years children with ASD(N=159) and parents of age-matched typically developmental(TD) children(N=146) were recruited, and the sleep problems were measured with the Children’s Sleep Habit Questionnaire(CSHQ). The children with AS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s than the TD group in four of eight subscales(bedtime resistance, sleep onset delay, sleep anxiety, and night wakings), but no group differences were found in sleep duration. Also, additional analysis comparing the sleep patterns in age groups indicated that the sleep problems increase as age in children with ASD. there were found more serious sleep problem in sleep onset delay in 4-9 age groups, but the 10-12 age groups reported more problems with bedtime resistance, sleep anxiety, and sleep disordered breathing in children with ASD. This findings suggest that the children with ASD have more various sleep problems, and there are differences of sleep pattern as ag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are discussed.

원성두(계요의료재단 계요병원) ; 오송인(계요병원) ; 박선희(계요의료재단 계요병원) ; 이민규(경상대학교) pp.785-802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5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self-regulation as a major predictive factor of addictive behaviors, including alcohol use problems, smoking, impulsive and compulsive buying, and mood disorders such as major depressive disorder and anxiety disorders. Responding to this interest and need, we created the Goal-Focused Self-Regulation Scale (GF-SRS), a self-report instrumen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elf-regulation was defined broadly, incorporating concepts of goal orientation and the implementation thereof, emotion regulation, and positive thinking. A cross-validation study was conducted on the GF-SRS using university students and non-clinical samples. In the study 1, preliminary questions were selected based on the operational definition of self-regulation followed by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which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university students. The results confirmed four underlying factors of the 13-item GF-SRS: goal orientation, goal implementation, positive thinking, and emotional regulation. Furthermore, the results generally showed internal consistency, ranging from .76 to .88. Self-regulation was observed to converge with self-control and executive functioning and diverge from emotional suppression and social desirability. In study 2,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on a sample of 275 university students and 272 adults. According to the results, the four-factor model of the GF-SRS had the best fit compared to other competing models. A criterion-related validation study was also conducted to evaluate the incremental validity of self-regulation. Self-regulation demonstrated a 22% overall incremental relationship with mental health after controlling for depression. Lastly, the study discusses the clinical utility and limitations of the GF-SRS.

신성만(한동대학교) ; 김병진(켄터키대학교 재활상담학과) ; 이도형(켄터키대학교 재활상담학과) ; 박명준(서강대학교 심리학과) pp.803-819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6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는 Miller와 Tonigan(1996)이 알코올 의존자의 변화동기를 측정하기 위해 개발한SOCRATES를 국내 인터넷 중독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제작하여 그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기위해 실시되었다. 이를 위해 원척도의 19문항 모두를 인터넷 중독 관련 문항으로 수정하여 인터넷 중독 변화동기 척도(SOCRATES-I)를 구성하였다. 경북 P시의 중학생 579명에게 설문조사를실시하였으며, 이 중에서 잠재적 위험 사용자군과 고위험 사용자군으로 평가된 100명만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인터넷 중독행동에서의 변화동기를 측정하기 위한 SOCRATES-I 에서도 원논문과 같이 인식, 양가성, 실천으로 분류되는 3개의하위요인이 추출되었고 내적일치도가 적절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해타당도와 준거관련 타당도검증 역시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SOCRATES-I 척도의 각 하위 요인이 독립적으로 변화동기를 설명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끝으로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한 시사점과 제한점에 대해 논의하였다.

Abstract

This article verifies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tages of Change Readiness and Treatment Eagerness Scale (SOCRATES), which focuses on Korean adolescents with Internet addiction. The scale was developed by Miller and Tonigan (1996) to measure an individual’s motivation to change when confronted with the issue of alcohol addiction. In this study, 19 items of the original scale are modified into items related to Internet addiction; the Korean version SOCRATES-I is composed of the modified items. 579 junior high school stud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from P city in Korea. Among 579 students, only 100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a potential risk group and a high risk group. Using the data from the 100 students, this study was able to draw a conclusion. The result shows that the same three sub-factors were extracted from the original version of SOCRATES: Recognition, Ambivalence, and Taking steps. The scale also shows a proper Cronbach’s alpha, and both the nomological validity and criterion-related validity showing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Each sub-factor of SOCRATES-I independently explains the motivation to change. The end of this article discusse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박도현(아주대학교 심리학과) ; 김완석(아주대학교) pp.821-838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7
초록보기
초록

사무량심이란 네 가지 심리적 속성으로 자애심, 연민심, 동락심, 평정심을 말한다. 자애심은 사랑과 친절한 마음, 연민심은 타인의 고통에 공감하는 마음, 동락심은 다른 사람의 성공을 함께 기뻐하는 마음, 평정심은 성냄과 집착 없는 중립적인 마음상태를 의미한다. 사무량심을 측정하는 척도개발을 위해 사전 연구를 통해 선별된 12문항을 가지고 대학생 표본(N=350)을 이용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자애심, 연민심, 동락심, 평정심의 네개의 하위요인 구조가 확인되었다. 하위요인별 신뢰도는 .76에서 .90사이였다. 자애심과 동락심은사회적 바람직성, 마음챙김, 자기-연민, 정적 정서, 공감, 이타성과 유의한 정적 상관을, 부적 정서와는 부적 상관을 보인 반면, 연민심은 공감, 이타성과 정적 상관을 나타냈다. 평정심은 공감을제외한 다른 모든 척도와는 유의한 정적 상관을, 부적 정서와는 부적 상관을 나타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 결과, 가까운 사람에 대한 이타성에는 동락심의 영향력이 가장 큰 반면, 잘 모르는 타인에 대한 이타성에는 연민심의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들로 볼 때, 본 척도는 사무량심의 네 가지 의미를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다른 사무량심 요인과비교하여 연민심만의 독특한 심리적 특성이 나타난 점은 사무량심에서 연민심이 가장 핵심적인요인일 수 있음을 암시하는 결과이다. 사무량심의 계발이 자비명상의 핵심목적이라는 점에서, 본결과는 아주 사무량심 척도(AFIS: Ajou Four Immeasurables Scale)가 최근 심신건강과 관련하여주목받고 있는 자비명상과 관련된 연구에 유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Abstract

Four immeasurables are loving-kindness, compassion, empathetic joy, and equanimity. In this study, we performe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examined the reliability and the validities of the 12 items scale derived from the results of a pilot study with new sample of a college students(N=350).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revealed that the four factors_-structure(- loving-kindness, compassion, empathetic joy, and equanimity)– was acceptable. Cronbach’s alpha values of each factor was between 0.76 and 0.90. Loving-kindness and empathetic jo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ocial desirability, mindfulness, self-compassion, PANAS, empathy, and compassionate love. Equanimity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all variables but empathy. In contrast, compas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mpathy and compassionate love. Results from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or compassionate love for close others, empathetic joy had the greatest influence among the four immeasurables. However, for compassionate love for strangers and humanity, compassion was the strongest predictor variables. These results were similar to our theoretical predictions, suggesting that Ajou Four Immeasurables Scale could be an useful tool to measure the concepts of Four Immeasurables that are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and immediate goals of practicing loving-kindness and compassion meditation.

서원진(Univ. of Western Ontario) ; 채드E(덕성여자대학교) ; 김미리혜(덕성여자대학교) ; 이든샘(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pp.839-854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8
초록보기
초록

사이버폭력 척도는 미국에서 Stewart 등(2014)이 개발한 척도로 온라인상에서 일어나는 사이버폭력 피해 경험의 빈도를 측정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 척도를 한국 문화와 실정에 맞게 번안 및타당화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중학생 481명에게 한국어로 번안한 사이버폭력 척도와 외로움 척도, 우울 척도, 대인불안 척도 및 섭식 태도 척도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원척도의 결과와 일관되게 1요인이 적절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토대로 교차타당화를 위한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요인 모델의 적합도가 모두 합당한 것으로 나왔다. 내적 합치도는 적절한 수준이었으며, 외로움과 우울 및 대인불안과 유의한 상관을 보여 공존타당도를 충족시켰다. 또한, 섭식 태도와는 낮은 상관을 보여 변별타당도를 충족시켰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제한점을 논의하였다.

Abstract

The Cyberbullying Scale was previously developed to measure the degree to which adolescents experience cyberbullying via the internet. The aim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Cyberbullying Scale in a South Korean sample. The Cyberbullying Scale was administrated to 481 middle school Korean students. These students also completed the UCLA Loneliness Scale (LS), Eating Disorder Inventory-2 (EDI-2), Social Anxiety Scale for Adolescents (SAS-A), and the Korean Form of the 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 (K-CDI). Both exploratory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supported a one factor solution. The Cyberbullying Scale total score also demonstrated satisfactory convergent validity an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the LS, K-CDI and SAS-A. The Cyberbullying Scale total score also evidenced satisfactory discriminant validity with the EDI-2. The Cyberbullying Scale total score was also associated with good reliability, as estimated via internal consistency.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se results are discussed.

신민섭(서울대학교) ; 이미소(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최자연(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서성민(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노은정(서울대학교) ; 조지훈(서울대학교병원 소아정신과) ; 오서진(서울대학교병원 정신건강의학과) ; 권준수(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정신과학교실) pp.855-872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09
초록보기
초록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폰 기반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이 장·노년층의 인지기능 향상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지를 알아보았다. 이를 위해 주의력, 기억력, 작업기억력을 훈련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개발하였고, 만 50세에서 69세의 일반 성인 54명이 스마트폰을 이용하여 총 8주 간 훈련을 개별적으로 수행하였다. 인지기능의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훈련 시작 전과 후 전산화된 기억력 평가 시스템을 통해 인지기능을 평가하였다. 연구 결과, 훈련에 참여한 집단은 기억력과 작업기억력, 실행기능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스마트폰 기반 기억력 훈련 프로그램이 일반장·노년층의 기억력을 포함한 인지기능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향후에는이러한 프로그램의 효과를 명확하게 확인하기 위해 통제집단을 포함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a smartphone-based memory training program on the cognitive functioning of old-aged adults. The authors developed a smartphone-based program for attention, memory, and working memory training. A total of 54 participants (ages 50-69) were observed individually for 8 weeks. Cognitive functioning was measured with the Memory Diagnostic System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Results indicated that the training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memory, working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ing. The results suggest that a smartphone-based memory training program can enhance cognitive functioning, including memory in old-aged adults. Additional controlled study is needed to confirm the present results.

김현미(연세대학교) ; 송동호(연세대학교) ; 천근아(연세대학교) ; 임우영(건양대학교) pp.873-891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10
초록보기
초록

Abstract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a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victims of school bullying. This work outlined the development and initial administration of a 5-week, 10-session group-based program, which was designed to cultivate the character strength and enhance subjective happiness. Seven 7th grade students who identified with “being bullied” took part in this program. They completed Character Strength Test for Adolescents, Self-Esteem Scale, Daily Hassles Coping Scale, and the Children's Depressive Inventory at the beginning and the end of the program.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the character strengths: social intelligence and bravery. The subjective happiness of participant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program. The positive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adolescent victims of school bullying was effective in building character strengths and boosting happiness.

권윤나(덕성여자대학교 심리학과) ; 최승원(덕성여자대학교) pp.893-912 https://doi.org/10.17315/kjhp.2015.20.4.011
초록보기
초록

인터넷 중독은 물질 사용 장애, ADHD, 충동 조절 장애 등 다양한 장애와 관련된 것으로 알려져있다. 이렇게 다양한 장애와의 관련성은 인터넷 중독에 대한 명확한 개념화 및 진단 준거 마련을어렵게 만들고 있다. 본 연구는 휴식기 정량적 뇌파 분석을 통해 공존질환을 지니지 않은 인터넷중독 집단 고유의 심리생리학적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20명의 인터넷 중독 집단과 연령, 성별, 교육연한이 일치하는 20명의 통제 집단이 본 연구에 참가하였다. 휴식기 뇌파를 측정한 뒤, 주파수 대역 별 절대파워와 영역 간 시간적 동조성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인터넷 중독집단은 Beta1 및 Gamma 대역에서 통제 집단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진폭을 나타내었으며, 인터넷 중독의 심각도는 Beta1 대역 진폭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이는 물질 사용 장애에서 나타나는뇌파 패턴과 유사한 것으로, 인터넷 중독이 중독 장애의 하위 장애로 개념화되는 데에 대한 한가지 근거가 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Abstract

Internet Addiction(IA) is associated with various disorders such as substance use disorder, ADHD, and impulse control disorder. In the present study, we purposed to investigate the resting state EEG pattern of an IA group, without any other psychiatric disorders, to identify psychophysiological characteristics of IA. Twenty adolescent patients with IA were compared to 20 healthy controls, matching for age and sex participated this study. A resting state EEG record was obtained through 30 sites of the whole scalp. In comparison with the control group, the IA group showed a significant higher beta1 and gamma EEG amplitude. This activation pattern has proven to be similar to substance use disorder.

한국심리학회지: 건강